스틸 앨리스
리사 제노바 지음, 민승남 옮김 / 세계사 / 2015년 4월
평점 :
품절


스틸앨리스를 읽었다.

저명한 학자이자  하버드대 심리학과 교수로 제자의

연구논문을 지도하고 세미나와 학술회 연구회등으로 각 지역에 출장을 다니는 하루하루의 연속


같은 대학의 교수인 남편과 의사인 아들 로펌에 다니는 딸 배우를 꿈꾸는 막내딸

그렇게 모든걸 자기의 방식과 자기가 원하는 이상으로 잘 이뤄온 여자 앨리스


평소와 같이 달리기를 하다 길을 잃고 헤매는 시간을 겪고 자신에게 이상을 느낀다.

폐경기 증상으로 오인을 하고 지내다 머뭇거리는 단어를 생각해내지 못하고 했던 질문을 다시하는 일이 생긴다.

발췌논문을 죄다 외우고 학생들 이름을 다 외우는 그런 똑똑한 앨리스가 그런 일을 겪는것에

신경과 진료를 받은뒤 조발성 알츠하이머 진단을 받는다.


최고의 대학에 최고명성의 교수가 아무도 아닌 사람이 돼가는 과정을 읽는 일이 안타깝고 먹먹하게 느껴졌다.

의외로 초반주터 알츠하이머에 대해 긴장감 있게 쓰여져 속도감 있게 느껴지긴 했지만 이후의 과정은

점점 느려지는 그녀의 기억의 되살리는 일 결국엔 잊어버리는 일 점점 아이가 되어가는 그녀의 기억을 보는 일이었다.


그 과정과정의 예들을 현실적으로 그대로 드러내고 사실적으로 그려서 

내가 앨리스 딸이었다면, 내가 앨리스의 남편이었다면, 내가 앨리스였다면 수없이 되새기며 읽게했다.


존재감이 엷어지는 과정속의 앨리스가 치매학회에 대표로

언젠가 자기 자신이 누구인지도 모를 나이지만

그래도 나는 나이고 우리인 것이니 우리에게도 관심을 가져달라는 메시지를 연설하는 장면이 감동적이었다.


자신이 누구인지 딸도 손녀도 못 알아보는 상태로 그들의 가족으로 여전히 앨리스인채로 살아가는 것이 끝이긴 했지만

그녀가 마지막까지 그래도 행복했길 바래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