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역사
수키 김 지음, 이은선 옮김 / 황금가지 / 2005년 9월
평점 :
품절


외국작가에 외국어로 쓰여진 외국작품이지만 또 다른 한국문학이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들었다.작가의 자전적 이야기인걸로 착각할 만큼 주인공의 이력은 어쩐지 작가와 비슷하다. 

수지는 아침 9시의 담배를 피는 절망에 빠져있다. 5년전 부모님이 죽은 후 언니와의 연락은 끊겼고 담당교수의 남편이던 남자와 이별을 했지만 그를 잊지 못하고 있고 또 언제나 바쁜 남자와 불륜관계에 있다.

 침묵의 전화가 걸려오고 아이리스가 배달된다. 아이리스는 엄마가 좋아했던 꽃이다. 고독감 외로움 절망감의 밑바닥엔 가족이 가라앉아 있다. 자신의 직업인 통역사의 일을 통해 우연히 부모님의 총기사건에 대한 사건의 일부를 듣게되고 그때부터 그녀는 부모님이 돌아가신 5년동안 한번도 가져보지 않던 사건에 대해 궁금증을 느낀다. 대학교수와 사랑에 빠져 도망을 친후 그녀는 부모님에 대한 죄책감이 있었다. 소식을 듣고 장례식에 찾아가지만 사건에 대한 이야기는 누구에게도 물어 볼 수 없었을 뿐 아니라 언니와의 관계도 그런 궁금증을 해결 할 수 있을만큼 좋지 않았다.

 한 사람씩 사건에 관련된 인물을 만나고 사건이 일어난 시간으로 돌아가보지만 정작 내막을 정확하게 알고 있는 언니는 만날 수가 없다. 5년이 지난 일이지만 그날의 일에 대한 사람들의 기억은 부분적이지만 정확하게 박혀있었고 그 부분적인 기억들을 짜맞춰감에 따라 부모님의 이민생활을 자세하게 알게 된다.

 이민초기 힘든 상황을 헤쳐나가기 위해 부모님은 교포사회에서 암적인 존재가 될 수 밖에 없었고 많은 사람들의 원망을 사게될 일들을 한다. 더 나은 삶을 바랐던 이민은 이민 그자체로 혼란스럽고 섞이지 못하는 상황을 만들었고 자식들에겐 끊임없이 한국인임을 강요하고 한국방식을 고집하지만 자식들은 그런 부모님이 부담이 될 뿐이다. 사건의 전말을 수지가 모두 알게되고 자신의 또다른 부모님과 같은 사건을 계속 들을 수 밖에 없는 통역사일에서 이제는 더이상 냉정해지지 못하게 됨으로써 책은 끝이 난다.

 사건을 풀어내는 큰 줄거리를 읽는것도 재밌었지만 통역사에서 1.5세대의 미묘한 감정을 묘사하는 부분이 잘 표현됐다. 일주일에 7일을 일하고 수시로 이사를 하고 영어때문에 겪게되는 불편함 미국인도 아니고 그렇다고 절대 한국인도 아닌 그들의 이야기를 배경을 훑어가듯 이야기했는데 그런 부분을 읽으면서 아메리칸 드림의 허상이란 것도 조금 알꺼 같았다. 수키김의 이 책때문에 언제 나올지 모를 다음작품이 기다려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