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문화유산답사기 8 - 강물은 그렇게 흘러가는데, 남한강편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8
유홍준 지음 / 창비 / 2015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30-14. 나의문화유산답사기 8 - 유홍준

와유는 유람을 좋아하는 선비가 나이가들어 밖에 나가질 못하자 누워서 그림으로 경치구경을 하는것으로 동양화중 산수화의 유래가 됐다고 한다.

지은이가 책머릿말에 책을 읽으며 와유하기 바란다 적어놓았는데 딱 그말이 책을 읽으며 느꼈던 적확한 말이라 생각했다.

지방으로 이사를 온지 한달여만에 읽은 답사기라 더 와닿게 느꼈을테고 또 한달도 안된 옛곳(?)이 그새 잊혀질리 만무하니 자꾸 연결돼 생각이 나 이런저런 그리움같은걸로 변해서 떠나고싶은 그런 마음을 책이 대신하는 느낌이어서 좋았던듯하다.

유홍준의 답사기가 어느새 8권이 나왔다. 3권까지 읽고는 참 세상에 갈데가 많지마는 우리나라에 이렇게 갈데가 많았던가, 우리나라에 이런 사연들이 쌓이고 쌓였던가 했었다.

이런저런 생활들로 이후 저작들을 눈여겨 볼수가 없었는데 언젠가 음악영화축제때문에 가봤던 제천의 그 시원한 물소리며 풍광을 그대로 옮긴 이야기들이 많은 남한강 일대라서 반갑기가 그지없었다.

이전 답사기가 넓은지역을 두루두루 살폈다면 이번 답사기를 비롯한 앞으로의 답사기는 특정한 지역을 중심으로 좀 더 깊이 살핀다고 하니 앞으로의 답사기도 더 기대해 볼 만하다.

이번지역은 단양8경을 비롯 제천 영월 충주등 충북 강원도 일대의 유적과 사적위주로 답사기가 꾸며졌는데,

특히 동강 서강으로 유명한 영월 일대와 한벽루나 삼봉 등 티비 예능프로나 드라마 배경으로 잊힐만하면 한번씩 나오는 풍경들 구경으로 눈이 쉴 틈이 없었다.

흔한 돌비석이 그냥 빈 마당이 교수의 눈길만 스치면 마술같이 담고있던 그 오랜 이야기를 한번에 다 들을수도 없을만큼 하고싶어 하는듯 했다.

중원고구려비나 각처의 사적터에 있는 이름 당연히 몰랐던 승탑들의 내력들을 듣고 보면 한참을 요모저모 쳐다보게되니 그야말로 책으로 떠나는 여행이나 다름이 없으니 그곳에 직접 눈으로 보면 또 얼마나 가슴에 남을까.

특히 이번 답사기를 읽으면서 감동한 또다른 부분은 답사객들과의 만담같은것들을 에피소드식으로 엮어주셨는데 그런 곁가지로 듣는 이야기속에서도 들을 이야기가 생기고

특히 신경림 시인의 시나 도종환 시인의 시들은 풍경과 어울려 감동을 더 전했다.

또 김홍도의 풍속화뿐 아니라 절정일때의 풍경화를 감상할수 있는것도 득이라면 득. 미사학자로서의 박학함을 여지없이 발휘하였지만 한시절 문화재청장으로 다 할수 없었던 점들에 아쉬워 하는점등도 많이 느낄 수 있었다.

아는만큼 보인다더니 교수의 책을 읽다보면 그 말이 이해가 되는 부분을 여기저기에서 느끼게된다.

폐사지터나 각 마을마다 펼쳐진 풍광의 내력을 그 어찌 알았겠으며 알았다고 한들 이만큼 재미나게 얘기해주는 이가 있었을까?

요즘 티비만 틀면 맛집정보가 대유행이지만 이 답사기가 맛집을 대신한 대유행이 됐으면 하는 바램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