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 개의 찬란한 태양
할레드 호세이니 지음, 왕은철 옮김 / 현대문학 / 2007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연을 쫓는 아이에 이어 아프가니스탄의 현실을 담은 소설. 사실 전개부분에서 몰입이 잘 안돼 읽기가 자꾸 미뤄지는 책이었다.

이슬람 민족의 종교간 분쟁은 서로를 미워하는것을 넘어서 씻을 수 없는 고통을 남기곤 하는데 이 책 역시도 그 전쟁들에서 벗어날 수 없는 배경이 이야기의 한 축을 이룬다. 해서 아직도 시아파니 수니파니 하는 민족들의 갈래가 왜 생겨났는지조차 가물한 지식으로 소련 공산정권이 들어섰을때 이 나라안 각 민족 대한 설명들이 늘어지는 부분때문에 와닿을래야 와닿을 수가 없었다,

그렇지만 그런 배경지식 없이도 책속의 주인공인 마리암과 라일라의 한스럽고 도저히 받아들여지지 않는 삶을 이해하고 공감하는것엔 문제가 되지 않았다. 천천히 그들의 시선으로 말해지는 처음과 끝이 너무 안타깝고 슬펐기때문에 집중할 수밖에 없었다.

남자를 대동하지 않으면 밖으로의 출입이 자유롭지도 공부를 하는것도 춤이나 노래를 부르는것도 하지 못 한다. 남편 라시드의 폭력을 견디지 못해 얼마간의 돈을 모아 탈출을 계획해 보지만 그마저도 남자없이 밖을 나선 여자란 이유로 경찰에게 붙잡히고 만다. 다시 돌아오는 쉼없는 폭력.
참는게 당연하고 참지 않아도 어디 한곳 마음 놓을데가 없는 집에서 그나마 같은 처지의 마리암이 있지만 첩이란 이유로 라일라를 멀리한다. 남편의 폭력이 마리암에게 극에달한날 라일라는 마리암을 도왔고 그로부터 둘은 마음을 내놓고 지내는 사이가 된다.

라일라의 딸인 아지즈는 라일라가 사랑했던 타리크의 딸인데 임신사실을 알았던 때 이미 타리크는 전쟁을 피해 파키스탄은보 떠난후였고 라일라 역시 부모와 함께 떠나려던즈음 폭격으로 집과 부모님을 잃고 겨우 목숨을 구한다. 마리암과 그녀의 남편은 라일라를 간호해줬고 전쟁통에 집도없이 여자 홀몸으로 살아내는건 할 수 없으리라는걸 미끼로 라시드는 자신의 첩으로 들어오길 권한다. 타리크가 죽었다고 꾸민 이야기를 라시드는 사람을 통해 시켰고 라일라는 모든걸 포기한채 아기만 생각하고 결혼에 몸을 맡긴다.

죽은줄 알았던 타리크가 돌아오자 남편은 질투로 라일라의 목을 조르는데 그때 마리암이 라시드를 죽인다. 이후의 타리크와의 삶은 행복해지지만 마리암은 끝내 사형을 당하고 만다.

이슬람문화권의 나라에서 여자로 사는걸 책으로나마 읽게됐는데 우리나라 역시도 남존여비가 있었지만 이들 나라에 비하면 정말 아무것도 아닌 느낌이었다. 그마저도 조선시대느낌일정도로 좀 고리타분한 말인데 이천년도인 21세기에 아직도 그런 동물학대 수준의 일이 벌어지고 있다는것이 거의 쇼크 수준이었다.

제발 전쟁이 끝났으면 좋겠고 그 전쟁 끝에는 더이상 라일라와 마리암의 눈물도 없는 세상이 되면 좋겠다. 저렇게 캄캄한 그녀들에게 삶의 희망과 구원은 찾아질수 있을까? 그녀들의 태양이 있긴한걸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