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P의 최대 단점은 잡음 발생이다.

한번도 바늘을 올려 놓지 않은 새 음반도 10번 정도 듣고 나면 그때부터 잡음이 발생하기 시작한다. MM형 바늘을 최초 개발한 Shure사가 권장하는 1.25g 침압을 기준으로 할 수 있는 말이다.

MC형의 원조인 오르토폰(Ortofon=정확한 음)1.5g정도이지만 바늘 끝이 다르기에 마모도는 조금 다르다고 볼 수도 있다.

이러한 잡음은 언뜻 장작 불타는 소리처럼 들릴 정도로 심해지기도 한데,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개발된 것이 일본 Sony사와 네덜란드 Phillips사가 공동 개발한 CD음반이다.

-------------------------------------------------------

CD는 아날로그 방식을 디지털 방식으로 바꾼 것이다.

초창기에는 그 정확성 때문에 느껴지는 차가움 때문에 외면을 받았지만, 샘플링이나 비트방식의 개선등으로 이제는 CD음반이라서 LP적 아쉬움이 있다고 느껴지지는 않는다

더군다나 SACD등은 LP보다 더 뛰어난 음질이라 할 것이니. 어쨌거나 요즘의 디지털화 된 음반들은

충분히 만족한 음악 감상용 오디오 구실을 하고 있다.

----------------------------------------------------------

아쉬운건 LP 시대에 나온 소위 명반들이 클래식에선 많이 복고 되고 있으나, 대중음악 분야에서는 아쉬움이 남는 레파토리들이 보인다는 것이다.

-----------------------------------------------------------

아무리 뒤져봐도, 서너군데 이상의 판매 사이트를 찾아봐도 품절이나 절반 내지 비싼 중고 상품으로나 보이는 레파토리들!

-------------------------------------------------------

허밍이니 스캇이니 루이 암스트롱을 많이 거론하지만, 그렇지만 고급 스킬로 스캇송을 대중적으로 폭발 시킨 사람이 다니엘 리까리의 <목소리를 위한 협주곡> 이다.

 

이미 40년 전에 한번 출반된 후 아직 시중에서 보기도 어렵고 CD음반은 더 찾기 어려운 베스트 모음반이다. 이제는 하도 많이 들어서 잡음이 더 거슬릴 정도의 음반이 되었지만, 기도하고 싶은 마음이 들 정도의 그녀의 목소리는 가히 천상급이다.

 

<목소리를 위한 협주곡> 중간부 트럼펫이 리얼한<천사의 입맞춤>, 마광수 교수의 언급으로도 유명한 <O양의 이야기>.

그 외에도 겨울연가 배경곡 <하안연인들>, 우리나라에 노브라 차림으로 와서 화제가 되고 멘사클럽 회원이란 말이 있던 올 누드 최초의 여신 실비아 크리스탈의 영화 <임마누엘 부인>, 교과서에도 실리고 칸느 영화제 수상식에서 늙은 모습이나마 선 보였던 카드린느 드뉘브 주연의<셀부르즈의 우산>, 모두 스캇의 진수를 보여준다.

언제 CD 음반이 출연될지 아쉬운 레퍼토리이다.


책과 음반만 취급하던 그 오랜 시절의 아마존 사이트! 배를 타고 한 달 걸려 오던 이미지가 각인된 수고로움까지 감수하고 싶지는 않기에 하는 말이다. 이는 ‘가방을 든 여인을 연주한 파우스토파페티의 색소폰 연주를 듣다 보면 생각나는 기억이기도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언젠가 프랑스 논술 바카롤레아 서적에서 읽은 생각이 난다.

모든 것이 해피엔딩으로 끝나지 않고, 작품을 비극으로 끝낸 것은

인간의 노예 근성에서 자유로워지기 위한 것이라는 글귀!

 

Francis Lai 하면 떠오르는 <Love story> 영화!

그리고 배경에 쓰인 주제 음악

주제 선율에 붙혀진 가사

‘where do I begin ~~ to tell the story about ~~’

우리 사랑이 어디서부터 시작되었는지~~’

Andy Williams의 절절한 감성으로 부른 노래가

깊게 각인되어 모든 가수들이 부른 노래들은 앤디 윌리암스의 감성에

덧 붙혀져 감상되곤 한다.

그리고 프란시스 레이의 가장 대표적인 ‘snow floric’

그야말로 스캣송의 차가운 공기에 눈발이 휘날리는 감성에

낭만까지 보태주는 명곡이다.

<남과여> 주제음악도 그렇고, 사춘기 성에 눈뜨는 소녀의 감성 표현한

<Billitis> 모두 프랑스의 에스프리한 서정성의 독특함을 보여준다.

------------------------------

프랑스의 독특함은 영국의 정확한 축구, 독일 식의 투박한 축구에 비해

뭔가 흐르듯이 부드러운, 누군가는 아트 축구라 표현한 예처럼 음악 역시

그런 면이 매우 강해 보이고 그 중심에 프란시스 레이가 있다고 보인다.

------------------------------------------------------

뭔 거창한 이야기를 하고 싶은 걸까?

70년대 말 한국에서 유행한 <Emotion> 이란 곡이 있었다.

당시 경음악 붐이 있어 캠퍼스 마다, 음악다방 마다 리챠드 클레이드만의 <야생화>

클로드 치아리의 <첫발자국>이 대세였는데 여기에 프란시스 레이의 곡도 일조를

하고 있었다.

그 음반의 추억이 서린 Lp의 뒷면에는 영화 <프랑스에서의 13>이라는

다큐 영화에 삽입된 배경음악이 있었는데, 일본에서 <하얀 연인들> 이라는

제목으로 소개되며, 동계 올림픽 이미지는 겨울 연인의 주제로 이미지

메이킹하며, 공전의 히트작 <겨울 연가>를 통해 더 더욱 알려지게 되었다.

그런 연휴로 베스트 모음집 CD를 구했지만, 70년대 그 시절의 감성연주가 아니었다.

내가 듣는 최고의 연주는 이 LP에 소개 된 피아노 연주반이다.

약간의 하이톤으로 메마른 듯 연주되는 전주부터 하연 연인들 이미지에

잘 부각되어, 센치하고 감성 주체를 하지 못해 내가 왜 이러나 할 정도의 멜랑꼬리한

세계로 이끌어 준다.

-------------------------------------------------------------

우리도 우리 식 정서로 세계인을 감동 시킬 연주자가 나와 줄 수는 없을까

이미 영화 수준은 세계 무대를 휩쓸고 있건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미리보기는 한결같이 맨 앞 장에서 일정 페이지 수 까지만 보인다.

그나마 나름 지명도가 있는 책만 그렇지 모든 책에 미리보기가 설정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그런데 왜 어디든지 다 똑같은 방식일까?


대략 30페이지 정도 분량의 미리보기 중 1/3 정도는 중간 중간에 

무작위로 펼친 부분을 찍어 보여주면 안될까!


서양이나 동양이나 공통적인 '권복'이란 말이 있다.

책을 들고 무작정 아무 곳이나 펼쳐서 보여주는 식 말이다.

결론은 무작위로 펼쳐서 중간 중간 군데 군데 찍은 사진도 미리보기에

올려 놓으라는 말을 하는 것이다.


지금은 까마득한 기억이 되었고, 점을 치듯이 펼치는 권복이란 말에, 어릴 적 국민학교로 불리던 시절!

그렇게 친구들과 책을 가지고 권복놀이를 하던 기억도 같이 떠오르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요즘은 lp라는 것을 아주 귀한 보물이나 고상함의 상징처럼 취급하는 경향이 있다.

일명 백판이라 부르는 부트렉(해적판)이라 하여 원반이 수입이 안되던 시절 미군부대 등지에서 흘러나온 원반(가수가 속한 나라의 소속 레코드회사에서 직접 찍어 낸 것)을 가져다 턴테이블을 통해 재 녹음해서 그 녹음본을 가지고 lp레코드를 만들어 팔던 시절이 있었다.


레파토리는 거의 대부분 미국 팝송이었으니 원반 하면 made in U.S.A 가 찍힌 LP반이면 원반이라 불리던 시절이었다

지금처럼 독일 Gramophon이나 영국 DECCA 같은데서 발매한 원반 보다 무조건 미제라면 인정받던 시절이었는데, 그런 시절 지방이나 웬만한 레코드 가계는 전부 이 백판을 팔고 있었고 장당 200원이던 시절이 있었다

그 당시 국내 굴지의 메이저 레코드 회사에서 파는 라이센스반(외국에서 정식으로 돈을 지불하고 녹음본을 사와 그걸로 찍어내는 방식의 lp)은 레파토리도 다양하지 못했고, 금지곡으로 곡명이 중간에 빠진 음반도 종종 있었으며, 음질도 오히려 백판이 좋다는 품평마저 있었다

백판의 단점은 사용한 원반을 녹음한 거라 잡음이 그대로 녹음되어 처음부터 잡음이 들리는 것이 흠이었다. 당시에 마니아 중에는 음에 심취하다 보면 이 소리를 마치 장작불 태울 때 나는 탁탁 소리로 들린다고 하여 현실과 상상을 혼돈하는 세계관에 빠지기도 하였다

술이나 마약이 온전한 판단의 정신을 가져다 주지 않기에 사회에서 비난을 받듯이, 이렇게 젊은 청춘들은 현실 도피적인 몽환의 상상 셰계를 동경하는 성향이 있어서 자기들끼리 자랑하거나 어떠한 멘탈의 척도처럼 재보는 도구로 가능하기도 하였다

 당연히 어른들은 그거 모아서 돈이 되냐 떡이 되냐 식으로 비판 하면서 잔소리를 하지만 산업 사회의 복잡한 시대가 깊어 갈수록 정신의 고향은 뭔가 도피처를 필요로 하는 듯 한데, 어째든 그렇게 모은 백판도 몇 백장을 넘어가면 또래들의 자랑거리이고 몇 천장 수준이 되면 탄성과 부러움 그리고 알 수 없는 신비함의 대상으로 올려 부치게 되는데, 어찌 보면 이제 막 인생을 시작한 인간에게 인생은 무한한 것처럼 보이고, 인생을 하직하려는 사람에겐 인생은 아무것도 아니라는 페트라르카의 언급이 생각나게 한다

최초로 중세를 암흑시대라 일컫고, 흔히 최초의 르네상스 인간이라는 그의 언급이니 설득력도 있다 할 것이다. 누구에겐 소중하나 누구에겐 부질없는 것 이라는 ......


 

며칠전엔 세운상가 근처 레코드 상점을 돌아 볼 기회가 있었다. 세운상가 일대가 재개발 되며

먼저 아세아 극장 쪽 부분의 상점들이 세운상가와 대림상가의 빈곳에 다 들어 차다 보니 그나마 유지되던 가운데 통로의 수입 오디오 상가는 상당히 축소된 느낌이 들었다

금새 끝나는 아이쇼핑이 아쉬워 근처 레코드 가게에 들렀는데, 그 두곳의 상점은 J음악사와 S음반도 족히 40여년 이상은 넘은걸로 기억되는데, 요즘 들러보면 CD가 대세이나 리이슈된 LP반도 상당히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이것 저것 둘러보다 팝LP가 놓인 라이센스를 들춰보니 기본이 만원이 가장 싼게 특징이다

웬만하면 모조리 2만원대이니 한편으론 기가 차기도 하고 한편으론 아쉬움도 들고, 들었다 놨다 몇 번을 반복하다 그냥 말고, 어쩌다 LP 가격이 - 그것도 국산 라이센스 가격이 - 이렇게 올라갔는지 도무지 그 원인을 정확히 찾아낼 수가 없다

그나마 짚히는건 수요가 없으면 공급의 가격이 정해지지 않듯이 한 장에 몇 만원씩 하는 반을 무슨 수집가 마냥 고상한 멋처럼 구입하는 수요자가 있어서 그런게 어닌가 추정을 하게 하는데

 

몇 년 전 강동구에 있는 지하 LP 가게에서 심포니록이라 불리던 Procul harum 반을 5만원에 서슴없이 사가는 청춘을 보고, 도대체 음원만 따지면 별 차이 없을 음반 한 장이 아날로그 반이란 타이틀로 저리 비싸게 팔리냐! 입맛이 쓴 경험을 하게 되니 LP 가격이 오르는 이유를 알 것도 같다.


정작 모니터 하면서 판이 미세하게 휘어져 바늘이 튀는걸 모르고 바늘만 열십히 가는 마니아나, 침압 주는 것도 모르며 판 위로 바늘이 주루룩 미끄러지는걸 질문하는 마니아들 보면

도대체 LP가 뭐라고 음을 듣는게 중요하지, 깨끗한 음원의 디지털 음원으로 풍부한 감성을 살리는게 좋지 굳이 LP로 감성을 채우려는지 이해가 되질 않는다


리마스터 처리된 음원이면 디지털로 충분하다. 아니 뒤집어 썼다 벗었다 좌우로이동했다 갖다 놔도 꿀리지 않을텐데 무슨 멋이 들어 LP를 고집하는지, 아래 블로그처럼 저음만 강조해 빈약한 중고음의 음원이라면 몰라도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채색의 관구앰프
스즈키 타츠오 지음, 진영호 옮김 / 신일서적 / 2023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덮석 구입은 했지만 가성비 조금 후회되는 책. 일본인들 편의 위주로 되어 있고
어느 정도 자작 중급인 수준이면 다 아는 내용. 초보의 배선 가이드에 유용할 듯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