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입] Hot Rocks 1964-1971 (Dsd Remastered) (2Cd)
롤링 스톤스 (Rolling Stones) 노래 / Abkco / 2002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A rolling stone gathers no moss’ 구르는 돌에는 이끼가 끼지 않는다 에서 그룹명을 정해 왔다는 

롤링스톤즈.

이 지식은 월간 팝송 잡지가 절정을 이루던 시절의 기사 내용에서 기억하는 내용인데, 소개 글에는 

다르게 적혀 있다

월간 오디오로 변했다가 월간A&V로 바꾸었다가, 다시 월간 오디오로 명칭을 바꾸고, 용산 상가 지하에 자리한, 사명은 변치 않은 월간 팝송사

당시 대부분의 기사는 미국 잡지나 빌보드지를 참조해서 구성을 했으니 

어느 것이 진실인지 의혹은 간다.

 

비틀즈보다 1년 늦게 출발했지만 지금도 존재하는 그룹 롤링스톤스

리더인 미크 재거를 선두로 기타리스트 키스리처드로 유명한 그룹

 

언젠가 방송에 우리나라 3대 기타리스트를 김도균, 신해철, 김태원이라고 하는데

70년대만 해도 그런 지칭에 앞서 셰계 3대 기타리스트란 말은 있었다.

에릭클랩튼, 제프백, 지미페이지 또는 지미핸드릭스

 

세계 3대 록 보컬은 누구였나!

롤링스톤즈 그룹의 미크 재거, 에어로 스미스의 스티븐 타일러, 레드제플린의 로버트 플랜트

그러고 보니 레드제플린 그룹은 보컬과 기타리스트로 두 명이나 명물을 보유한 셈이다.

 

예전 북경 올림픽 폐막식 후 다음 올림픽 개최지 런던을 대표하는 일행에 지미패이지가

들어와 버스에 올라 돌면서 연주하던 기억도 난다. 곡명은 whole Lotta love 였던가!

* 두 번 째 앨범의 대표곡으로 ‘women you need....... L~~0~~VE’ 이렇게 외치는 한 마리 수컷의 

마초적 울부짖음은 같은 남자가 들어도 경탄할 지경이다.

기회가 되면 막말로 볼륨을 이빠이 올려서 15인치 우퍼급 이상 되는 스피커로 들어보라.

내 말이 백발 백중 같을 것이니.. 그렇게 듣고도 하드록의 진가를 못 느꼈다면 당신에겐 록 스피릿은 눈꼽 만치도 없다고 말해줄 것이다.

체격에서 오는 차이인지, 사회적 배경과 관련이 있는건지 로버트 플랜트 같은 마초적 보컬리스트가 우리에겐 요원해 보이기 까지 한다.

 

비틀즈는 70년경 해산 했지만 롤링스톤즈는 아직도 활동하고 있다.

잘 알다시피 <Sticky finger> LP처럼 자켓에 지퍼가 달리고 열면 하얀 천이 보이는 앨범도 유명하지만, 롤링스톤즈의 진가를 한 장 추천하라면 이 앨범을 꼽을 것이다.

비틀즈가 폴매카트니, 존레논 같은 신사풍의 내음도 풍기며 애잔함도 띤 록그룹이라면,

롤링스톤즈는 더욱 반항적이고 거친 록을 보여준다.

 

이 앨범에 든 그들의 데뷔곡이라 할 수 있는 ‘Satisfaction’

나는 만족을 못하겠네(I can't get no satisfaction)라며 시작하는 가사는

마치 팔을 휘둘러가며 나는 불만이 많아! 나는 반항적이야! 만족 못해 하는 느낌으로

불러 대는 것이다.

이 곡 말고도 오래전 SBS 초기 방영된 <머나먼 쏭바강>의 시그널 음악인 ‘paint it black’

이 곡은 인도 고유 악기인 시타로 전주가 시작된다.


비틀즈가 인도를 다녀 오면서 대마초 라는 것을 세계적으로 유명하게 만들었고, 그 당시 멤버들은 스스로 우리는 예수보다 유명하다라는 말을 할 정도였으며.... 지금 80에 가까운 70대 팝 마니아들은 회고하길 엣날엔 길거리서 대마를 팔기도 했었다고 한다.


산업화를 이루기 위해 금지곡을 만들며, 표현의 자유 같은 것을 억제하고 대마는 마약으로 분류되어

왔지만 일에 전념시키기 위한 정부의 긍정성으로만 보기엔 비판이 더 쎄긴 하지만서도, 지금도

종종 정치 분야에선 자기 표현의 자유를 매우 강조하고 중시 하는건 이러한 억제적 정책과도 무관하지 않았을 것이다.

 

롤링스톤즈 역시 인도 음악의 영향을 받아 시타를 연주한 레가뮤직(확실치 않음, 기억상 자메이카 레게뮤직이 처음 나올 시기라 비슷한 용어 였다는 기억만 있다)이 유행했었고 레비 상카라는 연주자도 유명했다.

As tears go by, Get off of my cloud, under my tumb, ruby Tuesday, Let’s spender night together, Jumping jack flash, Honk tonk women, 등등 10곡 정도가 알려진 2장짜리 대작인 셈이다.

 

CD로 출간은 늦게 된 건지 2002로 적혀 있지만, 오리지날 lp와 구성이나 앞뒤 사진도

똑같이 발매 되었다.

 

아직도 왕성한 스케즐로 활동하는 세계 최장수 그룹!


그 스케즐 상 한국에 오기가 힘든 것인지, 한국의 매니지먼트들은 롤링스톤즈를

불러 들이지 않는건지, 초청 공연이 가능하다면 한번쯤 코로나로 위축된 분위기를

폭발적으로 업 시켜볼 기폭제 구실로 한번 초빙해 보는건 어떨까 하는 생각을 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수입] Don McLean - American Pie [LP]
돈 맥클린 (Don Mclean) 노래 / Capitol / 2016년 11월
평점 :
품절


별이 반짝이는 이 밤

당신의 팔레트에서 파란색과 회색으로 칠을 하시고~~

 

이렇게 시작되는 노래

외로운 다방 구석에 앉아 DJ의 소개 멘트를 들어가며

고독을 삼키며 듣는 노래 Vincent!

 

우리나라 대통령이 백악관 만찬에서 불렀다는 American pie 를 만든 가수

Don Mclean의 노래이다.

인상파 화가로 대변되는 빈센트 반 고흐를 주제로 만든 곡이다.

 

아메리칸 파이는 버디할리 라는 록큰롤 스타의 죽음을 토대로 만든 노래이고

드 넓은 대륙에서 정처없이 뒹굴며 살아가는 아메리칸 드림적 상징인

&롤의 번성기의 중단 같은 안타까움을 내포한다고 보여진다.

 

영국이라는 좁은 땅에서 점점 강렬해지는 폭발성이 록이나 하드록헤비메탈등으로

커졌듯이 록큰롤은 뭔가 정통적인 아메리칸의 내음을 내포하고 있는 것이리라.

 

우리에게도 더 이상 뻗을 곳 없어 위로 뛰어야만 하는 생각이 드는 젊은이의

k-팝이라는 현상 역시 젊음의 분출구 현상으로 보여지는데....

 

아메리칸 파이는 1971년 11월 27일 빌보드 차트 처음 등장 후 

사라지기까지 19주 간 머물고 1위까지 오른 곡인데

빈센트는 12주 간 머물며 12위까지 오른 곡이다.

같은 앨범에서 연속한 힛트 곡인 것도 알 수 있다.

 

반면에 우리나라 다운타운가에서는 빈센트가 단연코 인기 곡이었다.

어코스틱 기타 반주에 부드럽고 또렷한 맥클린의 목소리로 불러주는 분위기는

상념에 잠기게 하기 충분했기 때문이다.

 

무려 50여년 전 노래이지만 스탠다드 팝 적인 노래로써 지금도 사랑 받는

이유는 그 가사가 주는 서정성과 노래 운율이 제대로 우리 정서에 맞았기 때문이 아닐까 생각된다.

 

 

오리지날 LP는 사이트에 보이는데, 

LP 그대로 CD 로 발매된 음반은 없어 평점에 관여없이 이곳에 올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요즘은 컴을 통해 마음만 먹으면 야동이라는걸 보는 듯하다

소위 포르노 책자라 하여 플레이 보이지나 팬트하우스 잡지에

호기심을 갖고 접근하던 세대로는 야동은 오로지 비디오를 통해서

보았을 뿐인데, 그때 동물과 수간을 하는걸 보고

세상에 얼마나 동물을 좋아하면 저럴까 하는 생각이 들기도 하였다.

 

그 시절 대중음악에도 이러한 성적 표현을 하는 음악을 남몰래 들으며

혼자 상상의 나래를 펴게 해주는 음악들도 기억이 난다.

 

지금 70대 중반은 되었을 세대에게는 Chakachas‘Jungle Fever’가 있고

이후 기독교 신자인 어느 교인은 너덜너덜베이비라 부르는

Donna summer ‘Love to love you baby’ 등장하는데,

이 곡은 애시당초 스튜디오 녹음 할 때부터 녹음 습관처럼

졸던 관계자들의 정신을 번쩍 들게 해 집중하게 만들었다는

일화로도 유명하다.

이런 음악으로 유명한 것 중에는 소위 버킨백이라는 별칭이 붙은

에르메스백을 만들게 한, 기다리는데만 2년이 걸리고 가격도 몇 천을 한다는

그 가방을 탄생 시킨 제인버킨(Jane BIrkin)‘Je t’eime... moi non plus’가 있다.

도나써머나 제인버킨이나 성적 강렬함은 도진 개진 수준이다.

제인버킨 곡은 폴모리아가 경음악으로 연주하기도 했는데 이 곡을 들어보면

뭔가 상큼한 아침 공원을 걸어가는 남녀의 장면을 공중에서 내려다 보는

느낌을 주어 폴모리 연주로 자주 듣는 애청곡이기도 하다.

 

존 레넌의 ‘women’이나 ‘starting ove’r를 히트시킨 앨범에는

‘Kiss kiss kiss’ 라는 곡이 있는데,

이것도 요노요코의 목소리로 추정되는(확실치 않음)

야리꾸리한 성적 흥분을 상상케 하는 뒷 부분이 나온다.

 

그 즈음 해서 <666>이란 두 장 짜리 앨범을 발표한

아프로디테스 차일드의 곡에는 무한대 표시인

이 곡을 들어보면 남자 목소리 같은데 매우 난해한 신음 소리 같은게 나온다.

비슷한 시기에 모나코라는 유명한 곡을 부른 쟝프랑소와 모리스의 ‘Monaco’에서

여성 코러스를 담당했다는 Saint Tropez‘Belle De Jour’를 들어보면

프랑스적 내음이 물씬 나는 남녀의 야시시한 소리가 나온다.

원어의 뜻보다 소리에만 집중하게 하는 .....


 

애정이 없는 포르노냐 사랑이 들어있는 에로티시즘이냐.

마치 문학적 표현일 뿐이라 해도, 음란물로 구속까지 되었던

마광수 교수 적 주장을 대입해, 음악적 표현일 뿐이라는

관념이 받아 들여진다면, 지금처럼 포르노가 공공연히 활개 치는 시대에

우리에겐 아직도 요원한 예술을 시도한 음악도 꽤나 되는 듯 하다.

 

설령 용납이 되는 그런 시대가 온다고 해도 별 관심이 없을

나이가 된 입장에선

새삼 마 교수의 죽음이 아무도 책 한 권 찾아주지 않는 데서 비롯된

좌절이 아니었을까 상상을 해봐도...

인간이 추구하는 욕망은 어디까지 일까 도 생각해 본다.

 

모든 동물은 성 행위 후에 허무하다는 표현에는

인간은 계속 갈 수 있는 목표를 추구해야지 목표가 되어서 채우고 나면

허무해진다는 말로 들린다.

 

* 재미 삼아 검색을 해 볼 방문객도 있을 듯 하여 곡 명은 일부러 진하게 표시해 놓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e Jeremy Spencer Band - Flee - 24bit 디지털 리마스터링 / 가사 수록
제레미 스펜서 밴드 (Jeremy Spencer Band) 노래 / 빅핑크뮤직(Big Pink Music) / 2023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남녀 7세 부동석이라는 말처럼 엄격한 유교적 풍습이 남아있던 시절에, 서구의 사랑 영화는 

충족 되지 않는 남녀 간의 애정적 욕구를 영화로나마 채워주고 대리 만족 시켜주는

 그런 공간이었다.

그 당시 문학 선생님 표현처럼 해변을 달리며 '나 잡아봐라' 하며 금발의 긴 웨이브 

머리카락을 휘날리며 아리따운 여성이 뛰는 장면과 

그를 뒤 쫒는 젊은 청년의 모습에서 사랑하고픈 로망의 장면들을 상상하게 한다. 

그런 로망을 연상케 해주는 여성적 목소리! 

마로니에의 '칵테일 사랑'의 여성 보컬 소리가 그렇고 이 곡의 여성 또한 그런 목소리로 

남심을 자극한다. 

사라브라이트만의 여신 같은 목소리와는 결이 조금 다르다.

----------------------------------------------------------------------------------------

'Cool Breeze'와 더블어 히트챠트에 오른 곡


'travellin'  (여행중) 이라는 남녀의 로망스는 막바지 여성의 I want, I need, your love~~ 라는 

가사에서 상상의 절정에 치다른다. 

제르미 스펜서는 fleetwoodmac 이라는 70년대 말 <Rumors> 라는 앨범으로 

천만장 이상 판매고를 올려 이목을 끌었던 그룹인데 이때는 이미 탈퇴한 상태였다. 


이 판매 기록은 디스코 붐을 일으킨 존트라볼타 주연의 <Saturday night fever> 사운드 트랙이 

2천만장 판매고로 기록이 깨졌지만

( 후일 이 기록 역시 <GREASE>라는 영화의 2,500만장 판매로 기록이 깨짐)

천만장 판매가 쉬운 일은 아닐 것이다.


당시 정통록 하면 스티브 밀러 밴드(당시 A사 화장품 CF에 쓰인 SWINGTOWN) 같은 그룹도 있었고

플리트우드맥은 정통 팝 적인 그런 그룹이었으니 제르미 스펜서 역시 그런 정통 팝적인 

가벼우면서도 경쾌한 그런 사운드를 보인다.


이 CD는 24BIT 리마스터링 이라는 소개 글 처럼 음질이 상당히 좋다.

마치 LP의 초반 같은 냄새가 난다. 


LP시대 라이센스 반은 오리지날 원반에 비해 음이 살짝 뭉개지는 그런 면에서 

오히려 백판보다 못하다는 평가도 받곤 했는데


이 디지털 음반은 그간 CD가 얼마나 많이 발전해 왔는지를 선명하게 표현해 준다고 여겨진다.

지금은 초반의 개념이 리이슈반에 대한 처음에 찍은 음반이란 의미가 대세적 의미로 굳혀졌지만

초반은 오래 찍어 낼수록 미세하게 음원 그루브가 뭉개져 음이 살짝 혼탁해지는 

런 점에서 그루브가 전혀 뭉개지지 않고 동판의 그루브 그대로 찍어내는 한계를 

5천장 까지로 보는데, 


그 처음부터 5천 장까지 찍어 내는 범위 안에 든 LP를 초반이라 일컫는 것이다.

그런 초반은 구하기도 상당히 어렵고 가격도 비싸다.

---------------------------------------------------------------------------------------

나중에 음골이 닳아 잡음이 생길걸 우려해 두장씩 구해 놓았는데

이번에 이렇게 LP를 능가하는 좋은 음질의 CD를 출반해서, 

기획하신 분들께 감사의 인사를 전하고 싶다. 

부디 다른 좋은 음반들도 좋은 음질로 많이 출반해 주시길 간곡히 염원하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요즘 오디오계에서 웨스턴 일렉트릭사 레벨만 붙으면 가격이 상종가를 친다.

지난 시절 한 때 오디오 파워 케이블에 의한 음질 변화 논란이 이슈가 된 적도

있었고, 거슬러 올라가면 스피커 선재에 대한 찬반 논란도 있었다.

 

선재란 내부 심선을 감싼 겉 피복이 무엇이냐에 따라 음질 차이가 생기는데

이는 유전율이라 하여 굳이 쉽게 풀이 하자면 신호가 정체 되지 않고 매끄럽게 흐르는 정도를 나타낸다고 보면 될 것이다.

검색해 찾다보면 진공 상태나 공기 상태를 1로 칠 때

cotton(목화, 면화)1.3 내외이고 가장 유전율이 낮다는 테플론이 2.0 수치로 검색된다. 폴리플로필렌 재질 보다 발전형이 테플론인데 유전율은 오히려 폴리플로필렌(흔히 pp로 표현)1.6 내외로 낮게 나와 있기도 하다.

이런 이유로 빈티지 선재 중에 면 재질의 피복 선을 가장 선호하는 걸 볼 수 있다.

이는 마치 콘덴서의 박막 재질 원리를 생각해 보면 된다.

현재 필름 콘덴서의 경우는 가장 뛰어난 음질을 보여 주는 것으로

테플론 재질을 최고로 친다.

테플론 박막(얇은 막)에 구리를 입힌 재질이 최고라고 보면 되고, 굳이 최고를 꼽자면 테플론 박막에 은을 입힌 콘덴서가 나와 있긴 하나 도저히 범용성이 없다고 볼 것이다.

선재 내부의 구리 심선의 경우 신호는 심선의 표면으로 흐른다고 하는데, 이때 표면을 감싸 접촉하는 재질이 신호 흐름에 영향을 미치게 되고, 유전율이 가장 낮은 것이 우수한 음질을 보이게 된다는 논리가 성립되는 것이다.

 

 

내부 심선의 경우에 무산소 동선을 처음 개발한 오리지날 시초는

일본의 히다찌 사가 원조이다.

구리를 제련 할 때 내부에 산소 입자가 생겨서 이것이 신호 흐름을 막는데,

이를 제거한 것이 무산소 동선이라는 것이다. (OFC=Oxyzen Free Copper)

기준은 m당 산소 입자가 어느 정도 분포 하느냐에 따라 2N 이니 ···· 6N 이런 식으로 표현하는데 산소 입자 포함 정도가 몇 % 이냐에 따라

0.1%부터 시작해 0.01, ···· 0.0001% 이런 식으로 0의 숫자가 늘수록 N 앞에 붙는 숫자가 높아진다.

 

그런데 산소만 제거 한다고 음질이 좋다고 할 수 있을까?

구리 안에도 구리가 아닌 다른 성분, 즉 금으로 치면 순금이 아닌 니켈이나 구리, 아연 이런 것이 미세하게 섞여 있듯이 무산소동이라 해도 산소 입자가 제거된 것 일 뿐 다른 불순물은 섞여 있게 마련일 것이다.

 

웨스턴 선재가 각광을 받는 것은 직접 광산에서 캐내어 제련하는 과정에서, 또는 공장에서 주문 시에 순수 구리 농도를 높게 하여, 마치 제철 회사나, 제강회사 같은 곳에서 순수 철을 별도로 제련해 팔 수 있듯이, 선재용 납품 회사에서 그런 주문이 가능했으리라 보는 것이다.

웨스턴 일렉트릭 회사는 자체적으로 부품은 만들지 않았다고 한다.

 

한 때 카다스 선재가 대단한 각광을 받은 적이 있었다.

본인도 처음 카다스 선재가 나왔을 때 써 본 인상은 고역의 뻗침이 이렇게 좋은가? 과연 카다스의 명성이 헛된게 아니구나 하는 생각이 든 적이 있었다.

언젠가 지인 마니아가 내게 그냥 줄 생각으로, 실망 했다면서 한번 들어 보라고 내 시스템에 연결하여 듣게 되었는데, 그 명료성에 감탄하는 모습을 보고 본인도 멋 쩍었는지 아무 말 없이 슬그머니 도로 가져간 적이 있었다.

 

 

카다스 명성이 대단한 이유에는 선재의 무산소동 처리도 있겠지만

무엇보다 카다스 선재는 릿츠선이라 하여 내부 심선들 하나 하나를 모두 코팅 처리하여 선 간에 신호 간섭을 없앴다는 점일 것이다.

신호는 심선의 가장자리를 통해 흐르기 때문에 코팅 된 선재 하나 하나가 독립된 신호를 보내주어 카다스 만의 위력을 발휘하는 것인데, 카다스 명성이 입소문이 나면서 짝퉁이 등장하는데, 대부분 중국발 짝퉁이라서 이 소리를 듣고 카다스를 혹평하는 사람도 생겨나게 되었다.

 

진품 카다스는 내부 심선에 디지털 테스터기를 대면 도통이 되질 않는데, 가짜는 하는 도통 신호가 들리게 되는 것이다.

그러니 비싼 케이블의 겉 피복을 까서 내부 심선을 노출 시킨다는건 엄두가 나지 않는 일이고, 가장 저가형 스피커 선도 기본이 20만원대 였으니 오죽했으랴!


나 같은 경우도 한 15년전 쯤에 당시 신품 60만원대 카다스 인터케이블이 절반도 안되는 가격에 나와 직접 가서, 내부 심선을 노출시켜서 도통 테스트를 하고 진품이면 구입하겠다고 하여 단자의 씌워진 수축튜브를 조심스레 까고 뾰족한 바늘을 테스터기 단자에 접촉시켜 심선에 대보니 '삐" ~~~~


파는 분도 그런 테스트를 처음 접한지라 당황도 되고 선뜻 헐값에 던지기도 뭣하고 상당히 표정이 안좋은 모습으로 판매를 철회한 기억이 난다. 

오디오에도 공부가 필요하고 스텝 바이 스텝을 추구하라는 말이 이런데서 성립되기도 한다고 본다.


굳이 값비싼 기기 들여놓고 저가의 선이나 바늘부터 다시 단계를 밟아 올라가느니, 저가형을 가지고 온갖 액세사리로 시행 착오적 실험적 음질을 겪어 나가며 업그레이드 할 때가 훨씬 질 높은 오디오 라이프를 거친다고 말하고 싶은 것이다.

------------------------------------------------------------------------------------------------------ 

가짜라도 코팅 처리하여 진품처럼 짝퉁 흉내를 내려면 제작 단가가 높아져 저가에 판매 할 수 없고, 이익도 내기 어려울 것은 뻔하다.

중고 거래하면서 도통 실험을 해보면 몇 십만원짜리 선재도 가짜가 있었다는 말은 앞서 예를 들었으니

카다스를 혹평하는 사람들은 이런 경우를 잘 헤아려 보기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