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만화의 이해
스콧 맥클루드 지음, 김낙호 옮김 / 시공사 / 2002년 3월
평점 :
절판
이책을 덮고서 일단은 보관함에 여러종류의 만화들을 포함시켰다.
이책 한권을 읽고 더 궁금해지고, 다른 책들을 한권 더 읽게 만드는 묘미가 있는 것 같다.
이책은 저자가 만화라는 쟝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자신의 그림을 만화라고 불리는 것이
마치 자신의 작품이 저급한 문화쟝르에 포함된것인 마냥 거부하던 작가들의 작품도 나열되어 있다.
그러나, 반대로 굳이 만화라고 자신의 작품을 얘기하는 부류도 있다. 내쪽에서 생각하면 이쪽이든
저쪽이든 재밌으면 그만이다, 라고 생각했는데 저자는 그런 뜨뜨미지근한 생각마저도 확 바꿔버렸다.
만화는 '의도된 순서로 병렬된 그림 및 기타 형상들'이라고 정의하면서 글과 그림의
위대한 균형예술이라는 칭찬까지 아끼지 않았다.
이책은 글을 주로 하고 그림을 부가적으로 넣는 식의 설명이 아니라,
만화로 그려진 설명, 이해서 이다. 시각적인 만화는 즉각적인 설명이 될수 있어 이해가 빠르다는 것을
알고 있었던 것이다. 볼링에서만 거터(홈)가 있는 줄 알았는데, 만화의 프레임 프레임 사이를 거터라고
매니아들은 부른다고 한다. 그 홈이 상상의 나래를 펼치게 해주는 일종의 암시이며, 그 공간으로 하여
사람들은 제멋대로 자기가 상상하고 싶은대로 맘껏 상상 할수 있는것이다.
책 페이지 60쪽과 61쪽에는 캐릭터의 피라미드가 나온다. 각종 캐릭터가 116가지가 나오며,
각각의 이름이 좁쌀만하게 적혀져 있다. 설마! 이걸 다 읽으란 건 아니지...했다.
작가는 나같은 독자들을 위해 61쪽 밑부분에 한컷의 만화로 배려를 해주고 있다.
'뭐..하여튼..! 나중에 천천히 읽으세요.'라고..
제목이 말해주듯이 이책은 '만화의 이해'이다. 확실한 만화의 지침서임에 틀림이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