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간공감]을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공간 공감
김종진 지음 / 효형출판 / 2011년 9월
평점 :
절판


공간이라...문득 이 단어가 주는 의미를 생각해봤다. 공간이란것은 그야말로 눈에 겨우 보일 정도의 크기부터 내 몸 자체가 감당하기 힘들 정도로 거대한 크기까지 다양하다. 한편으론 나이가 먹어가면서 우리가 느끼는 공간은 점점 더 커간다. 어렸을때 느끼는 길이와 넓이는 커서 느끼는것과는 차원이 다른것이다. 

우리는 늘 공간속에서 산다. 하루의 시작과 끝을 함께 하는 방, 직장에서의 공간, 거리를 지나칠때의 공간 등. 그런데 그 공간들이 누구에게나 같이 느껴지진 않을것이다. 아무리 작고 초라해도 어떤 사람에게는 그 무엇보다 아늑하게 느껴질수 있고, 아무리 크고 웅장하다고 해도 어떤 사람에게는 한낱 티끌같이 느껴질수도 있는것이다. 이것은 바로 '경험'의 차이에서 오는것이리라. 

경험에 따라서 동일한 사물에 대한 인식이 달라지는것이다. 책으로 둘러싸여 좁아터진 내 방이 다른 사람의 눈에는 정리되지 않은 지저분한 곳이 될지 몰라도 나한테는 수만시간을 버틸수있고 무한대의 상상력을 소비할수있는 수단이 준비된 소중한 공간인것이다. 경험에 따른 공간에 대한 철학, 이것이 이 책이 쓰고자 하는 얼개다. 

책은 논리적으로 쓰여진것은 아니다. 큰 주제를 잡아서 글을 모아놓기는 했으나 기본적으로 글 하나하나가 독립적으로 읽혀진다. 먼저 지은이는 공간이란 것에 대해서 주의를 환기시킨다. 공간이란것이 단순한것이 아니라 의미를 가진다는 것을 알려준다. 엄마 품속의 아기를 생각해보라. 대부분의 우리는 엄마 품속을 느끼면 거의 비슷하게 느낄것이다. 포근하고 따뜻하고 보호받는 그런 느낌...이것이 그 공간에 대한 공감일것이다. 인간이 존재해서 처음으로 느끼는 공간감에 대한 것인데 점점 성장하면서 대하게 되는 공간은 더 많게 된다. 

책은 많은 곳의 공간을 이야기 하고 있다. 건축가답게 세계 곳곳의 여러 건축물들을 소개하고 그 공간이 주는 의미와 느낌을 다각도로 이야기하고 있다. 이름만 들어본 그냥 스쳐지나갔던 어떤 건축물이 주는 의미에 새삼 고개를 끄덕이기도 했다. 

공간은 존재만 하는것이 아니라 만질수도, 소리를 들을수도, 향기를 맡을수도 있다. 매일 샤워하는 욕실이라고 해도 사람들이 일어나지 않은 새벽시간의 샤워소리는 색다르게 들릴수 있다. 독경소리 그윽한 절에서 한줄기 흩어지는 향 냄새는 그 공간을 특별한 느낌이 오게 한다. 오랜 시간 노동을 한 사람에게는 아무리 작은 공간이라도 몸을 뉘일수만 있다면 그처럼 그윽한 곳이 없을것이다. 

지은이는 결국 공간을 '느껴보라'는 이야기를 하고 있다. 자신이 사는 곳의 진정한 아름다움을 느끼라는 것. 누구나 경험이 다르기에 공간을 느끼는 감정은 다를것이다. 그냥 무미건조하게 지나치지 말고 작은것 하나라도 의미를 가지는 연습을 하는 뜻이겠다. 쉽진 않다. 삶의 여유를 가지지 않은 사람에게 공간을 느끼는 연습을 하라니. 하지만 그 자체가 삶을 좀더 성찰하게 하는 계기가 되지 않을까. 

이 책은 빨리 읽으면 별로인 책이다. 천천히 야금야금 읽어야 느낌이 좋은 책이다. 공간에 대한 다양한 스펙트럼을 많은 사진과 평면도등으로 편하게 읽을수있게 한다. 다만 원래 건축학도들을 위한 글을 일반인도 읽을수있게 썼다고는 하나 그리 쉽게 읽어지진 않는다.좀더 쉽게 쓰여졌음 더 좋았을꺼란 아쉬움이 남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