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독서달인이 말하는 업무달인 되는 법
나카지마 다카시 지음, 김주영 옮김 / 교보문고(단행본) / 2008년 6월
평점 :
품절
저자는 일본의 유명 경영 컨설턴트로, 일년에 3천권의 책을 읽는다고 한다. 대단하지 않은가? 일년에 300권도 대단한데, 그 열배라니!!
독서방법에 관심이 많은 터라 옆자리 동료 서가 꽃혀있는 책에 자연스레 손이 갔다. 책을 펼쳐든지 한시간만에 휘리릭 읽어내렸다(서점 등에 들렀을때 가볍게 한번 읽어주심 될 듯).
저자가 말하는 책읽기의 핵심을 궁즉통이다. 뭔가 새로운 아이디어를 창출해내야 한다면 웹서핑이 아닌, 책 읽기로 문제를 해결하라고 주문한다. 그러한 해결책을 찾으려는 자세와 노력이 두뇌를 '검색모드'로 변화시켜, 사소한 한 문장(킬러문장) 또는 한 단어(킬러단어)가 스파크 점화버튼처럼 문제해결방안을 줄 수도 있다는 것. -- 결국 문제해결 방안은 내 속에 있다라는 이야긴가? 쩝
효율적인 문제해결을 위해서라면 두뇌의 검색모드를 유지하면서 책을 읽어야 할 것이며, 책 읽는 순서도 처음부터 차근차근 읽는 것이 아니라, 저자와의 (가상)대화를 진행한다고 상상하면서, 머릿말, 목차, 맺음말 순으로 먼저 훑어 읽어봄직한 부분을 가려뽑고, 먼저 읽고 - 도움되는 부분은 포스트 잇 등을 활용해 별도 표시를 하고 - 나중에 다시 한번 표시한 부분만 먼저 읽는 것이 시간 절약에 도움이 된단다.
스스로 자신의 독서법에 이름 붙인 킬러독서법에 대한 다양한 주장을 하고는 있는데, 찬찬히 살펴보면 앞뒤가 서로 어긋나는 부분(맺음말을 어디서는 반드시 읽으라고 하더만, 어느 부분에서는 맺음말은 읽지 말라고 하더라)도 상당수 눈에 띄지만, 맥락에 맞춰 나름 해석해본다면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 절박한 순간이라면 전광석화처럼 읽어내려가다가 킬러문장과 킬러단어를 만나 상상, 공상 등을 활발히 펼쳐 문제해결방안을 창안해낼 수 있다라고 해석해 봄직하다. (근데 이게 처음부터 훑으면서 보는거랑 얼매나 차이가 있는건지는 잘 모르겠다)
아무튼.....속독법학원에 가서 자신의 독서방법이 가르쳐준 속독법과는 상당한 차이(첫날 일등을 할정도의 속도를 자랑했는데, 학원의 가르침을 따르다보니, 맨 마지막 날에는 꼴찌였단다)가 있음을 발견하고 나름 자신만의 독서방법을 맹글어내는 부분에 바로 지은이의 독서법이 존재하는 것이 아닐까 한다.
가볍게 한번 읽고 킬러문장 등은 가려서 그어봄직한 책입니다. 딱 그 뿐!!!
뱀발로 하나 덧붙이면, 자신이 절대 읽지 않음직한 분야의 책을 일부러 찾아 읽어야 한다는 주장과 양에서 질이 나온다는 저자의 주장에는 백번 쌍수를 들어 환영하는 바입니다. 저고 글케 생각하거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