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Book] 서유기 5 대산세계문학총서 25
오승은 지음, 임홍빈 옮김 / 문학과지성사 / 2003년 6월
평점 :
판매중지


기대가 컸던 홍해아와의 난투는 생각보다 지리했다. 그보다 뒤이어 등장하는 차지국(車遲國)의 삼청관 도사, 호력대선(虎力大仙), 녹력대선(鹿力大仙), 양력대선(羊力大仙)과의 내기 대결이 무척 흥미롭게 읽혔다. 여러모로 도교 풍자(?)적 성격이 돋보이는 에피소드였기 때문이다. 서유기는 기본적으로 도교와 불교가 혼합된 환상 소설이지만 읽을 때마다 도교에 대한 저자 오승은의 풍자가 느껴지곤 했다. 한낱 원숭이 요괴가 옥황상제의 천궁을 뒤엎는다는 설정은 말할 것도 없거니와 서천길 여정 동안 틈만 나면 소환되어 괴롭힘을 당하는 산신령과 사해 용왕의 모습만 보더라도 이 소설에서 도교가 어떻게 그려지고 있는지 알 수 있다.


삼청관 도사 에피소드에서는 이것이 일종의 확신으로 이어졌다. 세 도사의 이름에서도 짐작할 수 있듯 이들은 각각 호랑이, 사슴, 양 요괴가 둔갑한 것인데 기우제를 빌미로 스무 해 동안이나 차지국을 손바닥 주무르듯 하고 있다. 이곳에서 지내던 승려들은 비를 내리게 하지 못했다는 이유로 노예로 전락한다. 손오공은 도사들과 세 차례의 기우제 내기를 벌이는데 세 도사의 최후가 그야말로 충격적이다. 호력대선은 목이 잘리고 녹력대선은 오장육부를 쏟고 양력대선은 펄펄 끓는 기름에서 녹아 사라진다. 이전에 등장하던 요괴들이 대개 관음보살의 도움으로 적당히 수습되거나 또는 스스로 잘못을 뉘우치며 심판을 받는 게 전부였던 것을 생각해보면 세 요괴에게만은 오승은이 아주 비참한 결말을 선사한 셈. 


이뿐만 아니다. 최후를 맞이하기 전 이들은 손오공, 저오능(저팔계), 사오정 세 형제의 소변까지 성수(聖水)로 알고 받아 마시기까지 한다. 이쯤 되면 서유기에 등장하는 악당들을 통틀어도 가장 푸대접이 아닌가 싶다. 기우제부터가 도교식 제사가 아니던가? 사실 진원대선이 등장할 때까지만 해도 이 정도는 아니었는데 이번 에피소드에서는 아주 작정하고 도교를 조롱하는 모양새다. 시대가 변하면 이전의 문화는 대개 낡은 것으로 취급되곤 한다. 특히 종교는 발전한 기술력과 비교되어 배척되는 정도가 이루 말할 수 없을 정도. 어쩌면 서유기는 도교에서 불교로 옮겨가는 당시의 사회상에 대해 더 많은 것을 말해주는지 소설인지도 모르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