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Book] 선화 [할인] 은행나무 노벨라 3
김이설 지음 / 은행나무 / 2014년 10월
평점 :
판매중지


선화는 얼굴에 화염상모반을 지니고 태어났다. 화염상모반이란 마치 불꽃이 타오르는 듯한 형태의 질환으로 몸의 특정 부위에 혈관이 지나치게 몰려서 생겨나는 증상이다. 하나의 질병일 뿐 무슨 천륜을 어기거나 패륜을 저질러서 새겨진 ‘낙인’이 아니다. 미국의 사회학자 어빙 고프만은 ‘어떤 사람의 인격 전체를 뒤덮어서 그가 자연스러운 방식으로 자신을 타인들 앞에 제시하는 것을 불가능하게 만드는, 돌출적이고 부정적인 속성’(김현경, 『사람, 장소, 환대』, p.121)을 스티그마 즉, 낙인이라 정의했다. 선화에게 화염상모반은 이 낙인이다. 가족에게 선화는 저주였고 선화에게는 세상이 곧 저주다.


평화학자 정희진이 지적했듯 훼손, 돌출, 함몰, 나약함 등 주류 사회가 권장하는 정상 기준이 아닌 ‘매끄럽지 못한 몸’은 곧 무질서와 비정상을 상징한다. 연민은 괜찮고 혐오는 안 된다 누가 그랬던가? 혐오든 연민이든 타인에게 비치는 자신이 그런 감정으로부터 시작된다는 것 자체가 폭력이다. 화염상모반은 선화가 동등한 성원으로서 타인에게 현상하지 못하는 일종의 장벽처럼 작용한다. 고작 오른쪽 얼굴을 덮은 그것이 자신의 인격과 앞으로의 삶 전체를 덮어버린 것이다. 소설 속 화염상모반은 단순히 하나의 질환이 아니라 사회가 아니, 우리가 수없이 보고도 고개를 돌렸던 그들의 고통을 은유한다.




학교의 선생들이나 동급생들에게 받았던 왜곡된 시선이나, 멸시, 조롱 따위는 차라리 나았다. 세상은 나 같은 존재 자체를 아예 인식하지 못했다. 대꾸할 가치조차 없는 존재, 쳐다볼 이유조차 없는 존재, 신경쓸 겨를도 없는데다, 필요도 없는, 어느 날 갑자기 사라져도 하등 이상할 게 없는, 한낱 먼지와 같은 것이었다. 그걸 처음 깨달은 게 그 나이 무렵이었다. 아무리 내가 당당하게 고개를 들어도, 아무리 내가 성적이 좋아도, 아무리 내가 멀쩡한 정신을 가지고, 올바른 성격을 소유했다 해도, 그건 아무런 필요가 없는 항목이었다. 그러니까 나는 애초에, 처음부터, 이 따위의 얼굴을 가졌다는 이유만으로 존재해서는 안 될 괴물이었다.


p.86



김이설은 이렇게 우리가 애써 덮어두고 무시했던 문제들과 서슴없이 대면하는 작가다. 장편 소설 『환영』이 그랬고 『선화』 역시 마찬가지. 끊임없이 쓰면서 그것들을 응시한다. 화염상모반을 꽃으로 환원한 부분이 특히 좋았다. 낙인이 아니라 꽃. ‘예쁜 꽃다발은 원래 꽃이 예뻐서이거나, 예쁘게 보이기 위해 규칙을 잘 지켜 묶었기 때문’(p.16)이지 거창하게 무언가를 상징하거나 대체하는 존재가 아니다. 김이설에게, 그리고 선화에게 화염상모반과 꽃은 다르지 않다. 선화가 꽃을 그저 있는 그대로 대하는 듯 세상이 그녀의 상처를 모두가 하나쯤 지닌 생채기로서 대할 수 있는 날이 오길 잠시나마 꿈꿔 보았다.


이렇게 주변부의 삶을 무시하지 않고 응시하는 것, 응시함으로써 개선을 도모하는 것. 그것만이 그녀가 작가로서 할 수 있는 문학적 도리인 듯 보인다. 다만, 그녀의 의도와는 달리 완성도가 조금은 아쉽다. 중편이라는 형식이 주는 제한적 어려움 때문일까? 후반부로 갈수록 애초 소설이 가진 문제의식이 어떤 ‘적당한 선’을 갈구하는 느낌이 들었다. 예상 건대 선화는 이런 결말을 바라진 않았을 듯싶다. 깔끔한 마무리를 원한 건 아니지마는 작가가 조금 더 힘을 냈으면 어땠을까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