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평이론의 모든 것 - 신비평부터 퀴어비평까지
로이스 타이슨 지음, 윤동구 옮김 / 앨피 / 2012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는 만큼 보인다’라는 표현은 이젠 너무 물린다. 이 책을 한 문장으로 요약한다면 결국 이 식상한 표현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지도 모른다. 그렇다면, 이 분야를 배우면 이걸 알 수 있고 저 분야를 배우면 저걸 알 수 있다는 하나 마나 한 이야기를 하고자 저자는 무려 900쪽이 넘는 지면에 그것을 부려 놓은 것일까? 결국, 이 책도 한때 내가 탐미하고자 했으나 이제는 먼지를 뒤집어쓴 채로 꽂힌 책들의 한켠을 차지하게 될까?

    

물론 아니다. 저자는 '아는 만큼 보인다'라는 이 상투적인 표현을 조금 비틀어 생각해보라고 권한다. 그러니까, 당신은 여기서 거기까지 어떻게 가는 지를 모를 뿐”(p.42)이라고. 해서 나는 복기해본다. 그동안 나는 아는 만큼 보기 위해 등교를 하고 책을 읽고 기술을 배워 지식을 쌓아왔다. 그런데 이상하다. 세상은 도무지 배운 만큼의 해석본을 내놓지 않았기 때문이다. 비용을 지불했으면 편익이 따라야 하는거 아닌가? 그런데 이놈의 세상은 '그게 아니야'라고 내게 말하는 듯했다. 그동안 머리에 꾸역꾸역 '욱여넣은' 지식은 다 어디로 간 것인가? 하는 의문이 들 때쯤, 저자는 여기서 한 발짝 더 나아간다. 그런데 이 한 발짝이 내게는 의미심장하다. 마치 몰이해의 불구덩이 입구에서 이해의 정원으로 나아가는 회심의 한 발짝처럼 느껴진다.

    

이 책은 존재 자체로 그 해답을 제시한 셈이었다. 그것은 바로 지식의 '이론화'다. 여태껏 나는 지식과 이론을 동일하다 생각해왔지만 착각에 불과했다. 둘은 엄연히 다른 '성질'을 가졌다. 이 책에 따르면 지식은 말 그대로 지식일 뿐이고 이론은 그것을 체계화한 '도구'인 것. 예컨대 지식이 금속 덩어리와 유리 조각이라면 이론은 그 금속 덩어리와 유리 조각으로 세공해낸 '안경'이다. 자본론으로 배운 마르크스의 통찰이 지식 그 자체라면 그것을 체계적으로 이론화한 게 마르크스주의 비평이론인 것이다. 자, 이제 자명해진다. 머릿속에 꾸역꾸역 욱여넣었던 그것들은 내가 그저 안다고 착각한 지식의 덩어리였을 뿐이라는 것을. 그렇다면 안경은 무엇에 쓰는 도구인가?

    

안경은 세상을 좀 더 명확하게 볼 수 있도록 도와주는 또 다른 눈이다. 저자는 책을 통해 이 점을 딱히 설명하진 않았으나 위에서도 잠깐 언급했듯 이 책 자체가 그 산물이다. 이론(도구)을 내 것으로 만들었을 때 비로소 삼라만상을 해석하고(이는 물론 수준 여하에 따라 다르겠지만) 거기서 무언가를 이끌어낼 수 있게 된다는 사실 말이다. 이 책은 이론화의 유용성을 존재 자체로 증명한 저작이다. 이쯤에서 드는 의문. 이론을 정해두고 세상을 해석하는 게 과연 옳은 일인가? 그 의문, 나는 접어두리라. 주지하다시피 인간은 이미 어떤 이론을 가지고 세상을 감각한다. 다만 그 이론이 뭉뚱그려져 도구로서 쓸만하지 못할 뿐이다. 그래서 이론'화'가 중요할 터. 여기서 자신을 천재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에게 이론화는 그야말로 쓸모없는 방식이겠지만 어쩔 거나. 나는 천재가 아닌데. 나는 무지몽매 덩어리다. 그래서 이 책이 알려준 이론화의 유용함이 소중한 것이다. 그리고 나는 저자가 숨겨둔 세심한 배려 하나를 더 찾았다.

    

책은 비단 수록된 비평이론뿐만 아니라 그동안 쌓은(혹은 쌓을) 지식을 이론화했을 때 어떤 도구로서 탄생하게 될지 일말의 기대감을 심어준다. 하지만 거기까지. 저자는 더 나아가지 않는다. 이것이 위에서 말했던 저자가 숨겨둔 배려다. ‘세상에는 이러한 이론들이 존재하고 수많은 문학작품이 그 이론들로 의미를 찾았다, 이상 알려주지 않는 것’ 말이다. 요컨대 맺지 않고 가능성을 넌지시 내비친 것이다. 이것은 좋은 입문서의 특징이기도 하다. 그래서 이 책이 마음에 든다. 다른 세상의 존재를 알려주고 그것을 더 깊이 알게끔 창문을 활짝 열어두었기 때문에. 그 이상의 몫은 내 일이 아니다, 라고 저자는 긴긴 페이지에 걸쳐 나를 설득하고 물러난다. 그 배려에 나는 설득당했다. 뭔가를 더 배우고 싶어졌다. 신경숙(이 아니라 미시마 유키오)의 말을 빌리자면 ‘나는 해석의 기쁨을 아는 몸이 되었다’.


댓글(7)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곰곰생각하는발 2016-01-24 17:1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ㅎㅎㅎㅎㅎ 마지막 문장 좋네요.. 그나마 신경숙이 있었기에 저 문장이 친숙한 거 아니겠습니까. 경숙 씨 고생하셨셔셔여..

5DOKU 2016-01-24 17:21   좋아요 1 | URL
신경숙 작가님께 감사드립니다.

5DOKU 2016-01-24 17:38   좋아요 0 | URL
아 갑자기 생각난 건데 혹시 이 책과 비슷한, 그러니까 비평이론을 다루는 괜찮은 책이 있으면 추천해주실 수 있을까요? 곰곰님께서는 이쪽 분야에 해박하신 듯해서

곰곰생각하는발 2016-01-24 21:36   좋아요 0 | URL
비평 개론서 말씀하시는 겁니까 ? ㅎㅎ 사실 제가 문예 이론.. 이쪽에 약합니다.
이 질문에 문득 든 책은 밀란 쿤데라의 << 소설의 기술 >> 이라는 책입니다.
개인적으로 쿤데라 책 가운데 제가 항상 3손가락 안에 드는 책입니다. 함 읽어보시지요..

가자아 유명한 것은 루카치의 소설의 이론이 아닐까 싶습니다만..

프랑코 모레티의 << 공포의 변증법 >> 도 읽을 만한 책이비다..

5DOKU 2016-01-24 21:51   좋아요 0 | URL
담아놓겠습니다. 추천 감사합니다.

곰곰생각하는발 2016-01-25 15:33   좋아요 0 | URL
프랭크 모레티의 공포의 변증법은 워낙 유명한, 전설처럼 떠돌던 논문이었습니다. 제가 봐도 기똥차게 잘쓴 비평이죠. 저도 이걸 보고 놀랐습니다. 그가 말하길
드라큘라는 자본가를 의미하고 프랑켄슈타인은 노동자를 대변한다고 하죠. 함 읽어보십시오. 무릎 탁 치게 됩니다..

5DOKU 2016-01-25 15:36   좋아요 0 | URL
자본가와 노동자라... 뭔가 월척의 기운이 느껴지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