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의 마지막 밤 민음사 모던 클래식 33
로랑 고데 지음, 이현희 옮김 / 민음사 / 2010년 8월
평점 :
품절


이 추잡한 세상에 한 줌 빛을 뿌렸던 유명(有名) 인사들이 2016년 병신년(丙申年)이 밝기가 무섭게 유명(幽明)을 달리했다. 데이빗 보위, 미셸 트루니에, 그리고 신영복.  다시 한 번 그들의 명복을 빈다.


사자(死者)는 말이 없고 우리는 죽음 이후의 세상을 알지 못한다. 우리가 알지 못하는 것에 대해 할 수 있는 것이라고는 그저 먼저 간 이들에 대한 예의를 지키는 일뿐이라고 나는 믿는다. 그러나 모든 이가 그렇지는 않은 모양이다. 특히 고종석. 그에게 사자란 그저 명복을 빌어주면 그만인 망자(亡者) 그 이상 그 이하도 아닌 것일까?




“명복을 빕니다. 또 한번 경쟁적 추모의 물결이 일겠구나. 나는 (신영복)선생을 20년 동안 가둬놓은 장군들에게 깊은 분노를 느끼고, 그 긴 옥살이를 견뎌낸 선생에게 경외감을 느끼지만, 선생의 책에서 배운 바는 거의 없다.”

_고종석, 트위터


“며칠간 꽃가게가 대목이었겠다.”

_고종석, 트위터(파리 테러 희생자들의 꽃다발 사진을 올리며)



누군가를 좋아하고 싫어함에 무슨 기준이 있겠으며 모두가 사자의 명복을 빌 이유도 없을 터. 하지만 사자에게 던지는 고종석의 저 유난한 표현 방식에는 어떤 졸렬함이 묻어 있다. 


해서 나는 고종석에게 로랑 고데의 책 『세상의 마지막 밤』을 추천한다. 이 책은 죽은 아들을 다시 한 번만이라도 보기 위해 지옥문을 넘어간 어느 아버지의 이야기다. 사후 세계가 있다는 말을 하고 싶은 게 아니다. 다시 말하지만 나는 그것에 대해 아무것도 알지 못한다. 하지만 이 책이 묘사하는 지옥과 그곳 넋의 모습에서 고종석이 보고 느낄 만한 무엇이 있다고는 생각한다.




저 망령은 두 뺨을 눈물로 흠뻑 적신 채 웃고 있다. 조금 전 산 자 중 한 사람이 자기 생각을 떠올렸다는 느낌을 받았는데, 그녀가 단 한 번도 그만 한 애정으로 자신을 떠올릴 거라고 생각조차 해 본적 없는 사람이었다. 저길 봐라. 다른 망령들은 울다가 제 머리칼을 잡아 뜯는다. 자신들에 대한 기억이 사람들 사이에서 오래 지속될 거라고 생각했으나, 실상은 반대로 그 누구도 더 이상 자신들을 떠올리지 않는다는 사실을 알고 분노하는 것이지. 가까운 이들도, 심지어 부모들도. 저들은 피를 토하며 퇴색한다. 완전히 투명한 존재가 될 때까지 점점 더 흐릿해지다가 무를 향해 사라진다.

p.227



로랑 고데는 우리가 알고 있던 지옥의 모습을 다르게 묘사한다. 그에게 지옥이란 그저 고통 받는 공간이 아니라 이승의 모든 것에 감응(感應)하며 버텨내는 곳이다. 이것은 일종의 형벌이 될 수도, 축복이 될 수도 있다. 


만약 문학에 어떤 기능이 있다고 한다면 바로 이런 게 아닐까? 우리가 알지 못하는 것을 알기 위해 기꺼이 그 세계를 창조하고 사유하는 일 말이다. 그곳을 믿으라는 얘기가 아니다. 오히려 그 반대다. 어쨌든 우리 인간은 죽을 때까지 인두겁을 쓰고 살 수밖에 없으니 최소한 그 몫은 하자는 것, 바로 '나'를 위해서다.


나를 위해서, 이제는 세상에 없는 존재들에 대해 입을 함부로 놀리는 것이 아니라, 없는 세상까지 만들어가며 그곳을 느끼고 사유하는 일. 로랑 고데는 그것만이 살아 있는 사람이 해야 할 최소한의 노력이라고 말하는 게 아닐까?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6-01-20 09:00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6-01-20 12:37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