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미 슈퍼스타즈의 마지막 팬클럽
박민규 지음 / 한겨레출판 / 2003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요즘 내 관심은 온통 자본주의가 이 나라에 가져온 폐해에 쏠려 있다. 책을 읽을 때도, 영화를 볼 때도, 자신의 권리를 찾기 위해 경찰이 쏘아 대는 물대포와 최루액을 온몸으로 받아내며 전진하는 노동자들의 모습이 보이곤 한다. 반면 힐링이라는 유행에 휩쓸려 모순적인 사회 구조가 안긴 상처조차 당연하게 생각하는 사람들의 모습을 볼 때도 있다. 이상하게도 그들은 상처를 치료하는 것도 힐링에 관련된 소비 행위로 해결한다. 뺨 때린 사람은 생각도 못 하고 내 지갑을 열어 치료하는 게 유행처럼 번져 있는 아이러니한 상황. 아침 출근길, 라디오에서 들려오는 코레일 파업과 공권력에 짓밟힌 민주노총의 이야기는 남의 일이 된 지 오래다. 오늘은 회사에서 어떻게 버텨낼지 중요한 사람들에게 그건 마치 길에서 만난 다른 나라 사람의 알아들을 수 없는 질문처럼 변해버렸다. 현재 우리의 삶은 이렇게 돌아가고 반복되는 도돌이표에 갇혀 있는 셈이다.


 '프로' 야구가 처음 시작했던 1982년. 인천에 연고를 둔 야구팀 삼미 슈퍼스타즈가 창단한다. 그리고 그 삼미 슈퍼스타즈를 열렬히 사랑하고 응원했던 소년. 이제 막 중학생이 된 소년에게 삼미는 그야말로 슈퍼맨과도 같은 존재였다. 프로야구 역사에도 기록돼 있지만, 이후 시간이 흐르고 꼴찌가 보여줄 수 있는 모든 기록을 갈아 치우던 삼미를 보며 소년은 단순히 노력하는 것만으로는 '프로' 세계에서 살아남을 수 없다는 불안감을 느낀다. 이내 자신은 절대 삼미 슈퍼스타즈와 같은 삶을 살지 않을 것이라 다짐한다. '프로' 세계는 열심히 하는 사람을 원하지 않고 '잘' 하는 사람만 반긴다는 것을 세상은 어린 소년에게 가르치고 있었고 자신의 야구를 하던 삼미 슈퍼스타즈는 소년의 기억에서 그렇게 지워졌다.



평범한 야구 팀 삼미의 가장 큰 실수는 프로의 세계에 뛰어든 것이었다. 고교야구나 아마야구에 있었더라면 아무 문제가 없었을 팀이 프로야구라는 실로 냉엄하고, 강자만이 살아남고, 끝까지 책임을 다해야 하고, 그래서 아름답다고 하며, 물론 정식 명칭은 '프로페셔널'인 세계에 무턱대고 발을 들여놓았던 것이다. 마찬가지로 한 인간이 평범한 인생을 산다면, 그것이 비록 더할 나위 없이 평범한 인생이라 해도 프로의 세계에서는 수치스럽고 치욕적인 삶이 될 것이라 나는 생각했다. (126p)


이것이 프로의 세계다. 평범하게 살면 치욕을 겪고, 꽤 노력을 해도 부끄럽기 마찬가지고, 무진장, 눈코 뜰 새 없이 노력해봐야 할 만큼 한 거고, 지랄에 가까운 노력을 해야 '좀 하는데'라는 소리를 듣고, 결국 허리가 부러져 못 일어날 만큼의 노력을 해야 '잘하는데'라는 소리를 들을 수 있다. (127p)



 실로 그렇다. 우리 사회는 열심히 하는 사람보다는 잘하는 사람을 우선시한다. 전문가라면 물론 자기가 하는 분야에서 일을 잘해야 하는 건 어쩔 수 없지만, 비전문가에게도 사회는 '프로 정신'을 운운하며 열정과 재능을 강요하고 그에 따른 교육을 만들며 노동을 착취한다. 1980년대 대한민국은 평범한 삶을 용납하지 않았던 것이다. 슬프게도 2013년 현재 나아진 것은 아무것도 없다. 평범한 것은 수치스러운 일이라고 배우며 자란 사람들은 이제 기성세대의 자격으로 사회 새내기들을 반기고 있다. 아무것도 나아진 게 없으며 더 나아질 기미도 없다. 이게 2013년 대한민국 현실이다.


 사회 가르침에 따라 프로가 되기로 한 소년은 일류대를 졸업하고 대기업에 취직한다. 부모가 바라고 사회가 강요하던 그 '프로'가 된 것이다. 기쁨도 잠시. 이상하게도 소년은 전혀 행복하지 않은 삶을 살아간다. 일은 하면 할수록 늘어나고 상사의 잔소리는 줄어들 기미가 없다. 프로의 영광은 행복이 아니라 마치 로봇과도 같은 일상이었다. 한 명의 인간이 아니라 자본주의를 움직이는 작은 톱니바퀴 같은 삶이 소년이 이루어 낸 '프로' 세계가 달아준 훈장이었다. 기계는 필요가 없어지면 버려지는 법. IMF는 그렇게 예고 없이 찾아왔고 치욕적인 평범한 삶을 피해 지랄에 가까운 노력을 하며 버텨 온 소년은 마치 수명이 다한 냉장고처럼 폐기처분 되고 만다. 남은 것은 없었다. 돌아보니 오히려 잃은 게 더 많은 세월을 지나쳐왔다.



그 순간 알 수 있었다. 나는 일찍 일어난 새가 아니라, 일찍 잠을 깬 벌레였다는 것을. (223p)



 이후 소년은 자신이 어릴 적 그렇게 좋아했던 야구팀 삼미 슈퍼스타즈와 재회하게 된다. 이미 세월이 많이 흘렀고 프로야구 구단 목록에는 팀의 이름이 지워졌지만, 당시 소년과 함께 삼미 슈퍼스타즈를 응원했던 팬클럽 동료이자 대학 시절 갑자기 일본으로 떠났던 친구 조성훈이 돌아온 것이다. 소년은 삼미 슈퍼스타즈를 잊었어도 조성훈은 단 한 번도 삼미 슈퍼스타즈가 보여준 자신만의 야구를 잊은 적이 없다고 했다. 조성훈은 우리가 인생을 살면서 왜 삼미 슈퍼스타즈와 같은 자신만의 야구를 해야 하는지 알려준다. 그리고 별안간 없어진 팀의 팬클럽을 만들자고 제안한다. 소년에게 조성훈의 제안은 곧 나 자신만의 인생을 살아야겠다는 결심으로 발전한다. 그리고 손에 쥔 것들을 하나씩 내려놓자 그동안 보이지 않았던, 느끼지 못했던 것들이 점차 모습을 드러내기 시작했다. 그것은 바로 '행복'이었다.



"이젠 1루로 나가서 쉬란 말이야…… 쉬고, 자고, 뒹굴고, 놀란 말이지. 정신을 차리고 제대로 봐. 공을 끝까지 보란 말이야. 물론 심판은 스트라이크를 선언했겠지. 어차피 세상은 한통속이니까 말이야. 제발 더 이상은 속지 마. 거기 놀아나지 말란 말이야. 내가 보기에 분명 그 공은―이제 부디 삶을 즐기라고 던져준 '볼'이었어." (235p)


필요 이상으로 바쁘고, 필요 이상으로 일하고, 필요 이상으로 크고, 필요 이상으로 빠르고, 필요 이상으로 모으고, 필요 이상으로 몰려 있는 세계에 인생은 존재하지 않는다. (279p)



 나는, 우리는 우리 자신만의 야구를 하고 있을까? 안타깝지만 내가 느낀 현재 우리는 자신만의 야구를 이미 오래전에 잊은 채 달려가고 있다. 손에 쥔 것을 나눠주기 싫어하는 기성세대와 공부하는 기계처럼 자라나는 학생들. 열정을 강요하며 노동자들을 노예처럼 부려 먹는 기업과 자신의 상처가 어떻게 생겼는지도 모른 채 유행에 이끌려 지갑을 열기 바쁜 사람들. 삼미 슈퍼스타즈와 같은 삶을 치욕이라 배우고 느끼며 보이지 않는 내일을 준비한다. 하지만 '치기 힘든 공은 치지 않고, 잡기 힘든 공은 잡지 않는다.'(251p)라는 삼미 슈퍼스타즈의 야구는 사실 치욕스러운 것이 아니다. 부끄러운 것은 더더욱 아니다. 아마추어로서 이 세상을 살아가는 수많은 사람이 잊지 말아야 할 당연한 진리다. 빼앗기지 말아야 할 마음가짐이다. 조금은 모자라고 조금은 평범해도 우리가 잘하는 야구를 해야 한다. 행복은 삼미 슈퍼스타즈와 같은 야구로부터 생겨난다. 나는 그렇게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