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프카 평전]을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
-
카프카 평전 - 실존과 구원의 글쓰기 ㅣ 서강인문정신 16
이주동 지음 / 소나무 / 2012년 2월
평점 :
10기 신간평가단의 마지막을 장식하는 책 중 하나로 카프카 평전이 선정된 것은 어떤 운명이었을까. 신간 추천할 때 이 책을 발견하지 못 했기에 나는 다섯 권의 추천 목록에 카프카 평전을 넣지 못 했다. 이번에도 내가 추천한 다섯 권 중 어느 것도 선정되지 않았지만 그 전 달에 비해서는 그나마 마음에 드는 책 두 권을 읽을 수 있었다. 게다가 카프카 평전은 그나마가 아니라 정말 마음에 드는 책이었다.
평전, 전기류의 책은 초등학교 때 위인전을 열심히 본 이후 남은 것이 하나도 없어서인지 잘 안 보게 된다. 근래 가브리엘 가르시아 마르께스의 전기를 보긴 했다. 외국 문학가의 평전을 국내 학자가 쓴다고 할 때 기대가 별로 안 되는 것도 사실이다. 더구나 그 난해하다는 카프카의 평전을 썼다? 회의적 예상과 반대로 오랜 세월 카프카 연구를 한 이주동 교수의 이 책은 상당히 세세한 부분까지 카프카의 삶을 조명하고 있다. 또 가장 결정적이게도 내가 본 바로는 카프카의 작품을 이해하는데 꽤 도움이 된다.
카프카를 제대로 만났던 건 예전에 전영애 교수님의 독일 문학 수업을 들었을 때다. 선생님 본인이 민음사판의 카프카 단편을 번역하시기도 했지만 카프카에 애착을 가지셨는데 그 사랑이 나에게도 전염이 되었는지 아니면 카프카 작품이 원래 마력이 있기 때문인지 카프카는 한 학기 동안 접한 수많은 독일 명작들 중 손에 꼽을 만한 작가였다. 지금은 꼭 그렇진 않지만 당시엔 헤세, 귄테 그라스, 카프카가 마음에 들었다.
나중에 체코, 프라하에 갔을 때도 카프카가 살던 집에 가봤고, 카프카의 '변신'의 독어판을 사기도 했다. 하지만 아무리 카프카가 살던 현장에 가봤다고 해도 그의 삶의 경험에 대한 이해가 없다면 단순한 관광에서 한 발자국도 더 나아진 게 아니었을 테다.
전영애 선생님의 수업을 들을 때 '변신'을 읽으며 이런 서평을 썼다. 벌레로 변한 그레고리 잠자를 보며 경제 능력을 상실한 젋은 노동 인력은 식충이, 그것도 최악의 식충이 취급을 다름 아닌 가족으로부터 받기 때문에 각성해야한다고. 아마도 취업 전선 투입이 다가오던 시절의 압박감에서 그런 부분이 크게 다가왔던 것 같다. 이 책을 보며 '변신'에서 그레고리 잠자의 고립은 카프카 자신이 가족 즉 아버지와 여동생들로부터 비난 당하고 외면 받던 그 시절의 변형임을 알게 되었다.
약간은 비천한 출신이기에 돈을 벌어야한다는 강박 관념에 평생을 보냈던 아버지 밑에서 카프카는 어린 시절부터 외로움을 느껴야했고, 문학을 하고 싶다는 자신의 소망은 아버지의 가치관과 배치될 뿐이었다.
카프카의 젊은 시절에 대한 이야기들을 보면 그가 그다지 괴팍한 인물이었다고 보기도 어렵다. 남들 하는 '짓'들도 잘 했으니까. 당시 가치관에선 이상할 것도 없다. 또 법학 박사였던 경력, 하기 싫었어도 회사에서 열심히 일했던 것들이 소설에서 어떻게 녹아들어가는지 보는 것도 재미있다.
최근에 공부하는 1차대전사와의 연관성도 눈에 들어온다. 우선 '프란츠'라는 이름 자체가 당시 체코, 즉 보헤미아 지방을 지배하던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황제 프란츠 요제프의 이름을 딴 것이다. 지구상에서 사라져가던 제국의 '황제'의 마지막 세대로서 오랜 기간 통치했던 프란츠 요제프의 이름을 따며 카프카의 부모는 무슨 생각을 한 것일까. 문득 김영삼이라는 이름을 가진 중학교 친구가 생각나기도 하고, 임금의 이름은 문서에 쓸 수 없었던 한국의 전통 사회의 관행이 떠오르기도 한다. 1911년 카프카가 군대의 기동연습의 엄격한 시간표에 맞춰 글쓰기를 했다는 대목도 재미있다. 1차대전의 주요한 원인으로 지목되는 것 중 하나가 당시 유럽 강대국들의 경직된 군사계획이다. 그만큼 엄격했다는 건데, 문학이라는 게 그런 식으로 되는 걸까? 여하간 직장 생활과 글쓰기를 병행했던 카프카로서는 그만큼 시간을 조금도 낭비할 수 없었던 것일지 모른다.
가장 위안이자 절망인 부분은 카프카가 글다운 글을 자신있게 내놓기까지 엄청난 글쓰기 과정을 거쳤다는 대목이었다. 내가 소설을 쓰지는 않지만 카프카 정도의 작가조차 조잡한 글들을 수도 없이 불태워버리고 나서야 작품이 나온다고 했을 때 이렇게 인터넷에 끄적이고 있는 이 글은 가치가 있긴 한 것인지 자괴감에 빠지지 않을 수 없다.
내 기대만큼 제대로 활동을 하지 못 하는 것 같아 알라딘 11기 신간평가단엔 지원도 하지 않았다. 아무래도 내 삶의 우선순위에서 밀리게 되기 때문인데 10기 활동의 마지막으로 카프카 평전을 만난 건 행운이다. 앞으로 카프카의 글을 다시 읽게 될 때 이 책이 많이 도움이 될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