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열에 관한 검은 책]을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
-
검열에 관한 검은책
에마뉘엘 피에라 외 지음, 권지현 옮김, 김기태 감수 / 알마 / 2012년 2월
평점 :
절판
강렬한 표지 디자인에 더해 언제나 흥미롭고 또 무서운 주제이기도 한 검열에 대한 책이라 많은 기대를 했다. 그러나 읽기가 쉽지 않다. 가장 큰 이유는 책이 거의 대부분 프랑스에서의 검열 사례를 다뤘기 때문이다. 구체적 사례들이 무수히 제시되지만 여전히 그런 게 있구나 정도의 느낌만 가질 뿐 생생한 느낌을 얻기는 힘들었다.
특히 이명박 정부가 들어선 이후 정부의 인허가를 받는 언론계뿐 아니라 본래 자유로워야 할 인터넷 상의 글쓴이들이 일제히 자기검열에 들어갔다. 어떤 이들은 사찰을 받고, 사법부의 처벌을 받아야했다. 자기검열은 자연스러운 반응이었다. 그래서 나꼼수의 김총수는 쫄지 말라고 외쳐댄다. 확실히 요즘엔 검찰마저 쫄지 않는 느낌이긴 하다.
여하간 이 책이 주목을 받을만한 점은 근 몇 년 한국 사회의 검열 문화를 분석하기 위한 프랑스의 비교 사례를 제시한 면일 텐데, 책 속에 드러난 프랑스의 온갖 웃지 못할 검열들을 보면 홍세화가 예전에 설파한 똘레랑스가 과연 무엇이었는지 고민하게 만든다.
아마도 프랑스 정부 차원의 공식적 검열은 한국처럼 치사하지는 않을지 모른다. 물론 그네들은 법적 판단의 테두리를 건드리는 첨단의 예술가들에 의해 도전을 많이 받아왔기에 내성이 있기도 하겠지만, 최근 이슬람계에 대한 신경질적 반응이나 극우파에 대한 대규모 지지층을 보건대 그들 사회의 똘레랑스가 얼마나 작동하는지 의문이다.
사실 이 책이 지적한 중요한 대목은 국가기구에 의한 검열과 탄압보다도 소위 정의를 위해 뭉쳤다는 시민단체를 비롯한 각종 민간 단체의 폐해다. 많은 경우 NGO는 사실상의 이익단체로 활동하며 자신들의 입장만이 정의인 것처럼 주장하며 반대편의 입장을 탄압한다. 물론 공식적인 권위는 없기에 국가기구를 거쳐야 하지만 갈수록 자유의 이름으로 목소리를 키우는 이들 단체들로 인해 어떤 이들은 더욱 자기검열을 강화하고 있다. 책을 보며 이런 프랑스의 검열이 한국에서 이미 나타났고 미래에 증가할 모습이 아닐까 생각하게 된다.
한 사회의 소수자들은 보호받아야 할 터이지만 종종 그네들이 그 지위를 이용하여 이득을 취하려 할 경우 사회의 정의 체계가 모호해질 수 있다. 이런 식의 논의로 들어가면 판단이 상당히 애매해지기에 구체적으로 어떤 해결책이 있을지는 모르겠다. 다만 최근 한국 사회에서 종종 벌어지는 여론의 쏠림 혹인 어거지 혹은 사기적 이슈 메이킹의 행태를 탈피해야함은 분명하고 대화를 통해 상식이 지배할 수 있는 사회 분위기를 만드는 게 국가와 민간을 아우르는 저열한 검열망을 깨는 첫걸음이 아닐까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