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일시라는 말은 나를 확장해 당신과 연대한다는 의미이며, 당신이 누구와 혹은 무엇과 스스로를 동일시하느냐에 따라 당신의 정체성이 구축된다. - P158

자아의 경계가 당신이 느끼는 것에 의해 정해진다면, 자신을느낄 수 없는 사람들은 그들의 경계 안에서 수축할 것이다. 반면에 - P158

다른 이의 것까지 느끼는 이들은 확장할 것이며, 모든 존재에 공감하는 이들의 경계는 아예 없다고 할 수 있다. 그들은 분리되어 있지 않고, 홀로 있지 않으며, 외롭지 않고, 우리 자신이라는 섬에 발이 묶여 버린 이들과 달리 취약하지 않다. - P159

타인에게 공감함으로써 자아는 확대되지만 그다음엔 자아도 위험과 고통을 분담하게 된다. - P170

건강할 때 당신의 몸은 깊이 파고들 필요가 없는 한 덩어리의영역일 뿐이다. 하지만 건강하지 않을 때는 당신의 몸이 장기와 체액, 화학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몸이 작동하는 방식에 탈이 날 수도 있음을 인정할 수밖에 없다. 건강한 사람들은 아무것도 느끼지 못하는 부위에서 통증을 느낄 수도 있고, 상처를 입고나서 자신의 뼈를 직접 보게 될 수도 있다. 혹은 엑스레이 사진을보며 살아 있는 살덩이 아래 있는 죽음의 뼛조각들을 떠올릴 수도있다. 불구가 될 수도 있고, 신체 일부를 잃을 수도 있고, 관(管)이나, 혈류의 방향을 바꿔 놓는 측로, 판 같은 기구들을 달고 다녀야할 수도 있다. 당신의 몸에 있는 화학 성분이나 호르몬이 변하고, 약물이 투여될 수도 있다. 몸이라는 체계가 그렇게 열리고, 그와함께 몸에 대한 의식도 깨어난다. - P191

실잣는 이는 형태가 없는 것에서 형태를, 조각들로부터 연속된 것을,
흩어진 사건들에서 서사와 의미를 만들어 내는데, 왜냐하면 이야기꾼은 또한 실을 잣는 이, 혹은 천을 만드는 이이기 때문이다. 이야기는 우리의 삶을 굽이굽이 흐르며 우리들 각각을 서로에게 이어 주고, 목적과 의미, 우리가 반드시 가야만 하는 어떤 길처럼 보이는 그곳으로 이어 준다. 그것은 그날 늦은 밤까지 해변에서 우리가 했던 일처럼 우리 뒤로 바늘땀 같은 발자국을 남기는 일이다. - P195

해가 갈수록 나는우리가 감정을 나타낼 때 다른 표현을 쓰고 싶어 하는 게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한다. 깊은, 혹은 얕은이라는 표현은 어떨까?
사람들은 종종 기뻐서 눈물을 흘리기도 하고, 또 슬픔을 날려버리려다가 딴 데 정신이 팔려 그 깊이까지 함께 날려 버리는경우도 많기 때문이다. 어떤 아름다움은 사람들을 울게 한다.
"희망이 곧 역사로 이루어지는 순간, 아주 오랫동안 찾으려고 노력했던 어떤 우주의 법칙을 발견하는 그와 함께 어떤 질서를 알아보고 또 만들어 내는 우리 자신의 능력이 드러나는순간, 그저 놀랄 만큼 아름다운, 도덕적인 아름다움까지 포함하는 어떤 순간, 정의가 행해지고 진실이 존중받고 질서와 일체성이 회복되는 순간이 있다. 어쩌면 거기서부터 우리는 어떤깊이 있는 아름다움의 정의를 발견하는지도 모른다. - P207

유한함, 덧없음, 불확실성, 고통, 변화의 가능성 같은 것이 찾아와 삶을 그 전과 후로 나누어 버리는 때가 있다. 수없이 들은 사실과 생각이, 생생하고 급박하고 실감 나는 현실이 되는 순간이다. 이전부터 알고 있던 것들이지만 그 순간부터는 정말로 중요해진다. 이 순간은 갑자기 목소리를 높이며 우리에게 무언가를 요구하는 손님처럼 찾아온다. 그 손님은 때로는 안내인처럼 친절하기도 하지만, 때로는 과거의 시간을 모조리 부숴 버리고 우리를 문밖으로 난폭하게 밀어내기도 한다. 우리는 그런 순간에 반응하고, 그 - P223

반응이 바로 그 순간 이후에 살아가게 될 삶이다. - P224

불교에서 말하는 차가움은 무관심이 아니라 감정으로부터 거리를 두는 것, 소란을 관조할 수 있는 조용한 공간을 의미한다. 거리를 두고 보면 어떤 법칙이나 관련성을 보게 되고, 대상을 전체적으로 볼 수 있게 된다. 너무 가까이서 보면 대상은 그저 표면밖에없거나, 무질서하게 한데 뒤섞여 버리고 만다. - P251

어둠 속에서는 여러 가지가 하나로 섞인다. 그렇게 열정은 사랑이 되고, 사랑을 나누는 행위의 결과로 모든 자연과 형체가 생겨난다. 섞이는 것은 위험하다. 적어도 자아를 규정하는 경계의 차원에서는 그렇다. 어둠은 무언가를 낳고, 그렇게 생겨나는 것은 그것이 생명이든 예술이든, 미지의 것에 대한 애정 어린 관심을 요구한다. 그것은 당신 스스로도 정확히 알지 못하는 어떤 영역, 다음에
"무슨 일이 이어질지 알 수 없는 영역으로 들어가는 것을 의미한다.
창조는 언제나 어둠 속에서 일어난다. 무언가를 만들어 내는 일은 - P271

당신이 무슨 일을 하고 있는지 정확히 모르고 있을 때만 일어난다.
창조는 그렇게 어둠 속으로 들어감으로써, 빛 속에만 머물지 않음으로써 가능하기 때문이다. 빛이 비치면 생각의 구체적인 생김새나 그림자가 드러나고 다른 이들도 알아보겠지만, 그것이 만들어지는 곳은 그 빛 속이 아니다. - P272

먼 거리를 작은 공간에 압축시켜 놓았다는 점에서 미로는 인간이 만들어 낸 다른 두 고안물과 닮았다. 하나는 실타래고, 다른하나는 단어와 문단과 쪽을 하나로 묶어 놓은 책이다. 책의 문장이 실타래에 감긴 한 가닥의 실이라고, 그 문장도 실처럼 풀 수 있는 것이라고 상상해보자. 그렇게 풀린 문장이 만들어 낸 선 위를걸을 수 있다고, 실제로 걷고 있다고 말이다. 독서 또한 하나의 여정이다. 눈은 선처럼 펼쳐진 생각을 따르고, 책이라는 압축된 공간에 접혀 있던 그 생각들이, 당신의 상상과 이해 안에서 다시 차근차근 풀려 나간다. - P278

듣는다는 것은 귓속의 미로에서 소리가 사방으로 돌아다니게허락하는 것이며, 귀를 기울인다는 것은 거꾸로 그 길을 되돌아서그 소리를 만나는 것이다. 이것은 수동적이기보다는 능동적이다.
이 듣는다는 행위 말이다. 이는 당신이 각각의 이야기를 다시 하는 것, 당신의 고유한 언어로 그것을 번역하는 것, 당신이 이해하고 반응할 수 있게 당신의 우주에서 그 자리를 찾아 주는 것, 그리하여 그것이 당신의 일부가 되도록 하는 것이다. - P284

감정이입은시각예술에도 조예가 깊던 한 심리학자가 만들어 낸 용어다. 이 단어가 본격적으로 사용된 것은 100년 남짓밖에 되지 않는데, 1909년 에드워드 티치너가 처음 제안하기 전까지는 ‘공감‘, ‘친절함‘, ‘안쓰러워함‘, ‘동정‘, ‘동질감‘ 같은 단어가 그 일반적인 의미를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다. 독일어로는 ‘Einfühlung‘으로 번역되는데, 마치감정 자체가 다가가는 것처럼 ‘들어가 느끼다‘라는 뜻이다.
이 단어의 어근은 ‘path‘인데, 그리스어로 열정이나 괴로움을뜻한다. 비애, 병리학, 동정같은 단어의 어원이 모두 같다. 감정이입이 ‘오솔길‘을 뜻하는 고대 영어 단어 ‘path‘와 동음이의어를 어원으로 가지는 것은 순전히 우연의 일치다. 엘린이 만든 어두운 미로의 제목이 ‘진로‘였던 것도 마찬가지다. 감정이입은 당신이 무언가에 관심을 기울일 때, 그것을 보살피며 그곳에 가보고 싶은 욕망이 생길 때 나서는 여정이다. 눈앞에서 괴로움을 직접 목격할 때 - P286

도 그 사람이 관절에 끔찍한 고통을 겪고 있는지, 최근에 집을 잃어 버렸는지를 알고 싶다면 말이 필요하다. 머나먼 곳의 괴로움은예술 작품을 통해, 이미지나 음성 기록, 아니면 이야기들을 통해당신에게 와 닿는다. 그런 정보들이 당신을 향해 출발한다. 그리고당신이 그것들을 만난다면, 그 만남은 여정의 중간 지점에서 이루어진다. - P287

우리는 정상적인 것과 미친 것, 좋은 것과 파괴적인 것 사이의 미세한차이를 인정하기보다는, 그 사이에 마치 뚜렷한 경계가 있다는 듯 - P301

이분법적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나는 식인 풍습 역시 정도의차이라고 생각한다. 당신은 얼마만큼, 어떤 방법으로 식인을 하고있는가. 그리고 당신이 취하고 있는 그 타인을 얼마나 의식하고 있는가. 우리는 수천 가지 방식으로 서로를 취하고 있으며, 누군가는그 덕분에 즐거움을 얻고, 누군가는 범죄를 저지르고 악몽을 꾼다. - P302

아직 아무것도 적지 않은 종이의 흰색과 무언가를 썼다 지운후의 흰색은 같으면서 같지 않다. 말을 하기 전의 침묵과 말을 한후의 침묵도 같은 침묵이면서 같은 침묵이 아니다. 눈은 만물이성장하는 시기의 앞과 뒤에 내린다. 내가 어머니와 화목한 관계를유지했던 시기는, 나의 기억이 시작되기 전과 어머니의 기억이 희미해진 후였다. 어머니 당신이 지워지고 있었다. 다시 흰색으로 돌아간 부재를 향해 가는 종이처럼. - P325

과거라는 짐에서 벗어나자 세상은 비교할 수 없는 것이 되었다.
각각의 케이크 한 조각은 가장 맛있는 케이크였고, 각각의 꽃 한송이는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꽃이었다. 어머니는 치매 환자 요양병원에서 지내면서 많은 것에서 즐거움을 얻었고, 어떤 때는 너무 좋아서 어쩔 줄을 몰라 했다. 알츠하이머병이 얼마나 끔찍한 병

가끔씩, 어머니의 병이 갑자기 닥쳤더라면 더 충격적이었을 거라는 사실을 깨닫곤 한다. 대신 어머니는 아주 천천히 변해 갔고,
또 다른 전환점에 이르기 전까지는 그 변화를 알아차리지 못하는일도 잦았다. 어머니가 초반에는 내게 애정과 관심을 보인 탓에,
그 어느 때보다 부모 같은 느낌이 제대로 들기도 했다. 그런가 하면많은 일에 다른 이의 도움을 받아야 했다는 점에서는 어린애이기도 했다. 그러고는 모든 것이 말 그대로 사라지기 시작했다. 시력이나빠진 것은 아니었지만 당신이 본 것을 해석하는 뇌의 능력이 점 - P331

점 떨어지고 있었다. 알츠하이머병 환자에게 일어나는 ‘아그노시아‘, 즉 알아보지 못하는 증세였다. 당시어머니는 사람을 얼굴이아니라 목소리로 알아본다고 했다. 얼굴은 이제 없었다. 독서는 이미 오래전부터 불가능했다. - P332

이제는 완전히 다른 모습이 되어 버렸는데도 나는 멸종해 버린 과거의 어머니와 여전히 다투고 있고, 과거를 해결하고 싶어 하고, 과거를 생각한다. 그렇다고 해서 그게 어머니를 돌보는 일을 방해하지는 않았다. 너무 작아졌지만 여전히내게 무언가를 가르쳐 주는 어머니를 나는 진심으로 걱정하고, 열린 마음으로 대할 수 있다.
과거의 어머니와 과거의 나는 더이상 존재하지 않지만, 독특한방식으로 서로가 서로를 불러낸다. - P339

어머니가 내가 자신과 다르다는 이유로 화를 내던 시절, 나 역시 내가 어머니와 비슷하다는 사실에 끔찍해하고 비슷해지지 않으려고 애를 쓰던 그 시절을 되돌아보면, 우리가 사실은 얼마나 닮았는지, 어머니가 나의 가장 본질적인 취향이나 관심사 혹은 가치체계에 얼마나 큰 영향을 끼쳤는지 알게 된다. 어머니는 평생 동안 도덕적인 질문과 원칙에 사로잡혀 있었고, 사람의 삶은 그가 이룬 것과 그가 기여한 것에 따라 평가되어야 한다고 생각했다. 그리고 나는 그런 점을 물려받았다. 좀 더 작은 것들도 있다. 꽃이나 메마른 나뭇가지를 보고 즐거움을 얻는다든가, 책을 좋아하는 점, 일종의 불안감과 불확실성 같은 것들. 물론 외모도 어머니를 많이닮았다. - P340

우리가 도입부만 원한다면 어떻게 될까. 끝나지 않는 것, 자르지 않은 끈, 미완의 무엇, 열린 문, 탁 트인 바다의 불멸을 원한다면? 우리가 여전히 백조인 오빠들을 더 좋아한다면, 아직 윗도리로 완성되지 않은 쐐기풀을, 황금보다 지푸라기를, 성배보다는 거기에 이르는 모험을 더 좋아한다면 어떻게 될까. 모험 자체가 성배이고, 바다가 곧 신비의 묘약이다. 당신이 운이 좋다면 예배당에놓인 잔 앞에 이르기 전에 그 사실을 깨달을 수 있을 것이다. - P363

응급 상황이란 무언가 갑자기 나타나는것이다. 옥스퍼드 영어사전에 나오는 ‘응급 상황‘의 첫번째 정의는 "가라앉았던 사체가 수면 위로 떠오르는 것, 현재는 많이 쓰이지않음"으로, 이는 ‘부상‘의 정의와 동일하다. 두 번째 정의는 "가려져 있던 것이 드러나는 과정"이다. 마치 물놀이를 하던 사람이 갈대를 헤치고 나오는 것처럼, 누군가의 입에서 비밀이 새어 나오는것처럼. 그다음에 가서야 우리에게 익숙한 정의가 나온다. "예상치못했던 일이 발생한 상태, 즉각적인 대처를 서둘러 해야 하는 상태." - P364

북미 원주민들의 설화에서는 인간이 세상의 중심이라는 확신이 없고, 여정을 나섰던 이가 돌아온다는 확신도 없다. 잠든 새의 눈물을마시는 나방. 계속 자고 있는 새는 무심하게 자신을 내어 주고, 배를 채운 나방은 날아간다. 우리는 슬픔을 먹고 살고, 이야기를 먹고 산다. 그 이야기가 열어 주는 널찍한 공간에서 우리는한계를 넘어 상상력을 여행한다. 이야기가 우리의 경계를 무너뜨리고, 우리의 불완전하고 조각난, 미완의 자아의 가능성을넓혀 보라고 재촉한다. - P37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4.비행
5.숨

우리는 모두 이미지와이야기의 세계에 살고 있고, 대부분은 이런저런 이야기에 상처를입으며 살아간다. - P93

도서관은 세상으로부터 벗어난 성지이며 세상을 통치하는 지휘소다. 이 고요한 방들에 크레이지 호스와 아웅산 수치의 삶이있고, 백년전쟁과 아편전쟁을 포함한 추악한 전쟁이 있고, 시몬 베유와 노자의 사상이 있으며, 당신이 탈 배를 만드는 법과 결혼 생활을 잘 끝내는 법이 있고, 독자들이 다시 현실 세계로 돌아갈 수있게 무장시켜 주는 허구의 세계와 책들이 있다. 도서관은 이상적으로는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는, 하지만 일어났던 모든 일이 저장되어 기억되고 삶을 되찾는 장소, 종이가 가득한 상자에 세상이차곡차곡 담겨 있는 곳이다. 책 한 권 한 권이 다른 세상으로 이어지는 문이며, 어린이 책에서 말하는 마법이라는 것도 그에 대한 비유일지 모른다. 도서관은 세상으로 가득 찬 은하수다. - P99

우리가 책이라고 부르는 물건은 진짜 책이 아니라, 그 책이 지닌 가능성, 음악의 악보나 씨앗 같은 것이다. 책은 읽힐 때에만 온전히 존재하며, 책이 진짜 있어야 할 곳은 독자들의 머릿속, 관현악이 울리고 씨앗이 발아하는 그곳이다. 책은 다른 이의 몸 안에서만 박동하는 심장이다. - P99

보이지 않는 힘이 짝으로 만나는 순간, 생명이만들어질 때의 온기가 있는 순간, 우리의 부모일지도 모를 알 수없는 이들 사이에서 은밀한 연애가 이루어지는 순간 그 순간 우리삶의 패턴은 완성된다. - P107

"마치 내 인생과 비슷한 것 같아. 이 살구 더미 말이야. 너무 많아서 다른 상황이었다면 엄격하게추려서 솎아 줘야 했겠지만, 지금은 진액이 방바닥에 흘러나오고냄새까지 나면서 조금 역겨워지고 있거든. 마치 덩어리 전체가 하 - P123

나의 유기체가 된 것 같아. 악취가 나는 덩어리가 살구 점령군처럼계속 늘어나면서, 마치 자신만의 규율에 맞춰 움직이는 것 같아이제 썩은 녀석들을 골라내는 건 도저히 불가능해." - P124

아마도 그의 시신은 참나무로 변할 것이다. 하지만 그 나무가 다시 그의 책이 되어, 분노에 차고, 파괴적이며, 생산적이었던 그의 삶이 사라지지 않게 지켜 줄 것이다. - P124

어제의 저녁 하늘, 사랑의 밤, 산속에흐르는 시냇물 소리, 내 정신에 불을 댕겼던 어떤 깨달음, 춤, 조화로웠던 어느 날, 근사한 구름이 있었던 수천의 나날, 결국 사라져버릴, 다시 볼 수 없을 그 순간들을 후손을 위해 유리병에 차곡차곡 담아 둘 수 있으면 좋겠다. 후손이 때때로 그것을 경외의 눈길로 바라보고, 필요할 때마다 다시 맛볼 수 있게 말이다. 꼭 나나 당신을 위해서가 아니더라도 아름다운 구름과 나날은 앞으로도 얼마든지 있을 것이다. 하지만 역사가로서 나는 이 모든 것이 나타났다 사라진다는 사실이 쓸쓸하다. 사진이 순간의 조각을 보존해 주더라도, 이메일이나 편지를 수천 통 가지고 있더라도, 다시 그때로돌아갈 수는 없다. - P126

‘바니타스는 라틴어다. 이는 공허라는 뜻으로, ‘비어 있다(vacant)‘는 단어와 맥락이같다. 거의 1000년 동안 유럽 대부분 지역에서 통용되었던 불가타라틴어 성서는 그리스어로 된 70인역 성서를 기반으로 하는데, 이그리스어 성경에는 전도서 부분에 ‘마타이오테스(mataiotes)‘라는단어가 38회 등장한다. 이 단어 역시 공허함, 의미 없음, 혹은 일시성이라는 뜻이다. 일시성은 모든 것을 무의미하게 만드는 걸까? 원 - P135

본인 히브리어 전도서, 현대에 들어 사막 한가운데서 수기로 적은두루마리가 발견되고 나서야 밝혀진 그 원본에서 쓰인 단어는 ‘헤벨(hevel)‘이었다. 이는 숨, 또는 수증기를 뜻하는 단어로 여기서는그 일시성의 의미가 더욱 분명하지만, 그에 대한 거부감은 찾아볼수 없다.
홉킨스 주교의 "신의 숨결로 허공에 불어 만든 커다란 비눗방울"이라는 표현과 아이들이 부는 비눗방울을 묘사한 그림 모두가이 원래의 의미를 환기한다. 각각의 숨은 그 순간이 지나면 사라지지만, 그 숨은 또한 생명 자체이기 때문이다. - P13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흉노의 선우가 글을 올려 조회할 것을 원한 지가 5년이었다. 소들이 말하기를 "國庫만 허비하니 우선 허락하지 말아야 합니다." 하였다. 이에 揚雄이 글을 올려 간하였다.
"신이 듣건대 六經의 다스림은 혼란하기 전에 다스리는 것을 귀하게 여기고, 兵家의 승리는 싸우기 전에 이기는 것을 귀하게 여긴다고 하였습니다.
이제 單于가 글을 올려 조회하기를 요청하는데 국가에서 허락하지 않고 거절하니, 어리석은 신은 漢나라와 흉노가 이로부터 틈이 생길까 염려됩니다.
흉노는 본래 五帝도 신하로 삼지 못하였고 삼왕도 제재하지 못하였으니, 틈이 - P161

생기게 해서는 안 됨이 매우 분명합니다. 秦나라 始皇의 강함과 蒙恬의 위엄으로도 감히 西河를 엿보지 못하여 마침내 長城을 쌓아서 경계로 삼았고, 마침 漢나라가 처음 일어남에 의 위엄과 30만의 병력으로도 平城에서 곤궁하였으며,高皇后 때에 匈奴가 도리에 어긋나고 오만한 짓을 하였는데 대신들이 權書(임시방편으로 둘러댄 글)를 보낸 뒤에야 화해할 수 있었습니다.
孝文帝 때에 匈奴가 북쪽 변경을 침략하여 정탐하는 기병이 雍州와 甘泉에이르자 京師가 크게 놀라서 세 장군을 출동하여 細柳,棘門,霸上에 주둔시켜 대비한 지 수개월 만에야 비로소 파하였고, 孝가 즉위함에 馬물의 속임수를 써서를 유인하려고 하다가 한갓 재물을 허비하고 군사들을 수고롭게 하기만 해서 한 명의 오랑캐도 볼 수가 없었는데 하물며 單의 얼굴이겠습니까. 그 뒤에 社稷을 위한 계책을 깊이 생각하고 의 계책을 계획하고 확대하여 마침내 수십만의 군대를 크게 일으켜 靑과 去病으로 하여금군대를 조련하게 한 지가 전후로 십여 년이었습니다. 이에 西河에 배를 띄우고 大幕(沙漠)을 횡단하며, 顔山(連山)을 격파하고 王庭(單于가 있는곳)을 습격하여 그들의 땅 끝까지 이르러서 도망하는 자들을 추격하고 패배하는 자들을 쫓아가서 狼居山에 하고 姑衍에서 禪하며 海에 임하였으니, 이후로 匈奴가 두려워하여 더욱 화친하기를 구하였으나 臣이라고 칭하려하지는 않았습니다. - P162

또 前代에 어찌 한량없는 경비를 쓰고 죄 없는 백성들을 부역시켜서 狼望의북쪽에서 마음을 유쾌하게 하는 것을 좋아했겠습니까. 그러나 한 번 수고롭지않은 자는 오랫동안 편안하지 못하고 잠시 허비하지 않는 자는 오랫동안 편안하지 못하다고 생각하였습니다. 이 때문에 백만의 군사를 차마 버려서 굶주린호랑이의 입에 넣고, 府庫의 재물을 운반하여 廬山과 같은 골짜기를 메우면서 - P163

도 후회하지 않은 것입니다. 本始의 初年에 이르러 가 건방진 마음이 있어서 烏孫을 침략하고 公主를 빼앗아 가고자 하자, 마침내 다섯 장군의 군사15만 기병을 징발하여 공격하였으니, 이때 노획한 것이 적고 다만 위엄과 무력을 떨치고 드날려서 漢나라 군대가 우레와 바람처럼 신속함을 보여 주었을뿐입니다. 비록 거저 갔다가 거저 돌아왔으나 오히려 두 장군을 처형하였기때문에 북쪽 오랑캐들이 복종하지 않아 중국 사람들이 베개를 높이 베고 편안히 잘 수가 없었습니다. 그러다가 과이르러 큰 교화가 신명연간에하고 큰 은혜가 널리 흡족하며,
내란이 일어나서 다섯 선우가 왕위를다투었습니다. 日逐과 呼韓邪單于가 저들 나라의 사람들을 이끌고 돌아와목숨을 바쳐서 부복하여 이라 일컬었습니다. 그러나 아직도 매어두기만 하고 계책은 우리 마음대로 제재하지 않았으니, 이후로부터 조회 오려고 하는 자를 거절하지 않고 하고자 하지 않는 자를 억지로 시키지 않았습니다. 지금 單于가 에 돌아오는데 어찌하여 의심하고 틈을 두어서 원망하는 마음을 품어이로 인해 스스로 단절하여 끝내 할 마음이 없게 하십니까."
글을 아뢰자,天子가 깨닫고 다시 單于에게 답서를 써서 보내었다. - P16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호메이니와 추종자들은 그들의 혁명을 더 넓은 이슬람 세계로 확산하고자 하는 욕망을 숨기지 않았다.
인접한 이라크와 그 시아파 다수 국민(국민의 약 3분의 2)이 테헤란의명부 최상위에 올라가 있었다. 호메이니가 이슬람 혁명의 선봉에 섰던 반면 사담 후세인은 세속적 아랍 민족주의 혁명의 리더십 도전자였다. - P724

이스라엘은 레바논에서 치러진 전쟁으로 곤혹스러워진 유일한 행위자가 아니었다. 시리아의 대통령 하페즈 알아사드는 작은 인접국에 자신의 의지를 강제하고, 다마스쿠스의 영향력을 확대하며, 레바논의 혼란이 국경을 넘어 시리아로 슬그머니 확산하는 것을 막기 위해 1976년 레바논에 개입했다. 하지만 몇 년간 전투가 벌어졌으나, 이 목표 중 어느 것도 달성하지 못했다. 시리아의 개입은 국가의 재정을 상당히 고갈시켰다. 게다가 폭력과 불안정이 지속되면서 피난민들이 계속 시리아로 유입되었고, 이는 시리아의 침체한 경제를 더욱힘들게 했다. 아사드는 또 레바논에서 노선을 완전히 바꿔 보수적인마론파와의 곤혹스러운 동맹을 그만두고 무슬림 및 팔레스타인해방기구와의 관계를 미봉책으로나마 개선하기로 작정했다. 하지만라파트는 완강한 독자 세력으로 남았고, 다마스쿠스의 의지를 따르지 않으려 했다. 개입으로 인한 긴장 때문에 시리아에서는 국내 분규도 더욱 격화했다. - P746

1985년 1월에 케이시는 뉴욕의 정책들에게 워싱턴은 "공산주의 정권에 저항하는 자유의 전사들"을 지지해야 한다고 말했다. 다음 달에 대통령은 연두교서에서 의회와 국민에게 미국은 "아프가니스탄에서 니카라과에 이르기까지 모든 대륙에서 소련이 지원하는 침공을 저지하기 위해 죽음 - P776

을 각오하는 사람들과의 신의를 저버려서는 안 된다"라고 말했다. 몇달 뒤 보수적 칼럼니스트인 찰스 크라우트해머"는 이 정책을 ‘레이건독트린‘이라고 불렀다. - P777

"테러리스트" 절멸이라는 샤론의 논리로부터 사브라와 샤틸라의학살에 대한 팔랑헤당 당원들의 정당화로 나아가는 데는 거대한 인식적 비약이 필요 없었다. 한 민병대원은 학살을 목격한 어느 이스라엘 방위군에게 다음과 같이 말했다. "임신한 여성들은 테러리스트를 낳을것이고, 아이들은 자라면 테러리스트가 될 것이오." 미국 정부는 팔레스타인해방기구를 베이루트에서 소개하는 하비브 계획의 일부로 피난민보호를 보장했고, 이스라엘 방위군은 서베이루트에 진입하지 않겠다고 약속했다. 사브라와 샤틸라의 전쟁범죄는 예견되었지만 막지 못했다. - P785

1982년 9월 말 미 해병 1200명이 프랑스와 이탈리아의 평화유지군, 그리고 소규모의 영국 평화유지군 분견대와함께, ‘다국적군‘에 참가했다.
서류상으로 다국적군은 엄격하게 중립적이었으나 현장의 현실은좀 더 복잡한 것으로 드러났다. 바시르 제마엘이 암살되고 그의 형아민 피에르 제마엘이 대통령직에 올랐다. 바시르처럼 아민은 팔랑헤 소수파를 대표했고, 레바논 정치에서 중립적 인물로 여겨질 수없었다. 레이건 행정부 내의 최고 관리들이 이해하지 못한 듯한 이러한 현실은 미 해병들과 다국적군을 위험한 상황으로 몰아넣었다. 레바논 정부를 지원하는 책무를 진 다국적군은 레바논 내전으로 끌려들어갔다. - P788

적어도 이란과의 전쟁은 사담 후세인에게 이라크 국가에대한 통제를 확고히 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확신시켰다. 반란의 잠재적인 원천은 분쇄되어야 한다. 사담 후세인의 최우선 의제는 북부 이라크의 쿠르드족이었다. 쿠르드족은 이라크, 이란, 시리아, 튀르키예의 변경 지대에 흩어져 있는 고대 주민들이었다. 유럽의 강대국들이제1차 세계대전이 끝나고 오스만제국 이후의 지도를 그렸을 때, 쿠르드족은 국가 없는 민족 중 하나가 되었다. 그 후로 쿠르드족의 민족적 야망과 종족 정치는 바그다드, 테헤란, 다마스쿠스, 앙카라의 중앙정부들에 걱정거리가 되었다. 이라크의 쿠르드족은 1961~1970년,
1974~1975년, 1983~1985년 세 차례에 걸쳐 바트당 정권을 상대로반란을 일으켰다. 이란과 전쟁을 치르는 동안 북부의 쿠르드족 지역은 이라크 변경 지대에서 취약한 지점으로 드러났다. 이란과의 교전이 끝나자, 사담 후세인은 전투로 단련된 병사들에게 새로운 임무를부여할 기회가 왔음을 알았다. 이라크군은 쿠르드족에 맞서 야만적인 작전을 수행하고, 그 결과 남녀노소 가릴 것 없이 수만 명의 사람이 살해당할 것이었다. - P833

12월에 워싱턴에서 정상회담을 하면서 고르바초프는 레이건에게 늦어도 향후 12개월 안에 모든 소련군을 아프가니스탄에서 철수하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고르바초프는 "이 과정은 국민 화합 및 연립정부의 구성과 연계되어야 합니다"
라고 언급했다. 고르바초프는 크렘린이 안정되고 중립적인 아프가니스탄을 보기를 원할 뿐이라고 설명하면서, 레이건에게 모스크바는아프가니스탄 영토에 기지를 설치할 계획이 전혀 없다고 장담했다.
철군을 촉진하기 위해 고르바초프는 레이건에게 무자헤딘에 대한 미국의 지원을 중단할 것을 요청했다. 레이건은 이 요청을 회피했다. - P850

거의 14년 동안 전쟁이 지속된 후 레바논의 전투원들은 탈진 상태에 다가섰다. 하지만 종파의 원한이 계속 곪아 터졌다. 1988년 9월에, 물러나는 대통령 아민제마엘은 재임 중인 총리 셀림 아흐메드호스를 해임하고 총리직이 수니파인 호스에게 넘어가기보다 마론파 기독교도가 레바논의 국가수반이 되도록 미셸 나임 아운 장군을 총리직에 임명했다. 아운은 군사 내각을 구성하고 새 정부의 수립을 발표했다. 호스는 해임을 거부하고 자신이 합법적인 레바논 총리임을 고집했다. 거의 15년 동안 이어진 내전 이후 레바논은 서로경쟁하는 두 개의 정부를 갖게 되었다. - P853

지금까지 어떤 연구자도 워싱턴과 빈 라덴, 마찬가지로 자르카위사이에 직접적인 연결이 있다는 증거를 제시하지 못했다. 증거의 대부분이 CIA와 미래의 알카에다, 그리고 ‘이라크 시리아 이슬람 국가‘의 지도자들이 소련의 아프가니스탄 점령 동안 서로 소통하지않았음을 시사한다. 미국 관리들은 무자헤딘과의 직접적인 접촉을파키스탄 삼군통합정보부에 맡기는 경향이 있었고, 빈 라덴도 자르카위도 당시 워싱턴의 주의를 크게 끌 만큼 중요한 인물이 아니었을것이다. 그럼에도 아프가니스탄에서 미국과 소련이 수행한 작전들은냉전이 쇠퇴하던 시기에 지구적 지하디스트 운동이 대두하는 토대를 놓았다. 마찬가지로, 레이건 시대에 카터의 신속전개 합동 특수임무부대를 이어받은 중부사령부가 선봉에 섰던 미국의 이라크 침공은 ‘이라크 시리아 이슬람 국가‘가 대두하는 조건을 창출했다. - P862

제3세계에서 냉전은 유럽 식민주의를 파멸시키면서 수십 개의 독립국가들을 창출하는 동시에 2000만명 이상을 죽이고 온건한 세속 민족주의의 힘을 파괴한 대량 폭력을 부채질하는 데 일조했다. 궁극적으 - P872

로 두 이야기는 냉전 시대와 21세기 국제 질서를 이해하는 데 결정적으로 중요하다. 냉전의 킬링필드에서 저질러진 격렬한 폭력은 유럽의장기 평화 못지않게 현대 세계의 형성에 주요한 요소였다. - P87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프가니스탄은 1960년대 초에 냉전 투쟁의 중심 무대가 거의 아니었지만, 크렘린의 사람들은 아프가니스탄에서 자신들의 영향력을열심히 강화했다. 1965년 아프가니스탄 인민민주당이 창당되자 소련 지도자들은 아프가니스탄의 공산주의자들과 유대를 돈독히 하 - P654

려고 애썼다. 1973년에 아프가니스탄 인민민주당은 모하마드 다우드칸 총리가 모하마드 자히르샤‘ 국왕에 맞서 무혈 쿠데타를 일으키는 것을 도왔고, 이 쿠데타로 군주정이 폐지되고 아프가니스탄은 공화국이 되었다. 다음 5년간에 걸쳐 다우드는 이 다루기 힘든 나라를좀 더 강력한 근대국가로 만들기 위해 노력했다. 파키스탄 지도자들이 양국 간 낮은 수준의 갈등의 일부로서 아프가니스탄 내의 반란자 그룹을 지지하는 동안, 1960년대에 아프가니스탄 인민민주당의파르참파"와 할크파티 사이에 시작되었던 균열이 긴장의 원천 역할을지속했다. 아프가니스탄이 사회주의국가가 되려면 먼저 근대화될 필요가 있다고 확신한 파르참파는 점진적인 개혁을 옹호했다. 이와는대조적으로, 좀 더 급진적인 할크파는 아프가니스탄에서 즉각적이고, 필요하다면 폭력적인 사회주의혁명을 모색했다. - P655

1978년 7월부터 12월 사이에 정권은 광범위한 개혁을 개시했다. 토지개혁, 농업협동조합 창설, 농촌 융자를 위한 새법규 시행, 혼인법 개정 등이 그것이었다. 이러한 변화는 전통적인 사회적·경제적 권력 네트워크를 무너뜨리고 그것을 국가 통제 메커니즘으로 대체하는 데 목표가 있었다. 정권은 이러한 정치적 변화 노력과 함께 포괄적인 억압도 시행했다. 4월 쿠데타 때부터 수십 명의 이전 관리들을 투옥하거나 처형했다. 그런 다음 정권은 잠재적인 정치적 경쟁자로 여긴 이슬람교도, 마오쩌둥주의자, 파르참파를 겨냥했다. 학생, 교사, 군 장교, 소수자들이 그다음이었다. - P661

미국의 무자헤딘 원조는 카불의 정권을 불안하게 하는 것을 넘어파키스탄과의 유대를 강화하는 쪽으로도 작용했다. 이란에서 최근혁명이 발발하고 아프가니스탄이 모스크바 쪽으로 움직이자, 이슬라마바드와 워싱턴의 관계가 더욱 중요해지는 듯했다. 카터와 다른 미국 관리들에게 이제 파키스탄은 점차 미국 당국에 적대적으로 되어가는 지역에서 소수에 불과한 워싱턴의 동맹국 중 하나로 보였다. 백악관은 또 유럽 동맹국들과 베이징으로 하여금 서남아시아에서 소련 권력의 균형을 맞춰주는 수단으로 이슬라마바드와 제휴하도록고무했다. - P670

아랍 세계의 무슬림 그룹들이 소련 개입에 반대해 조직되기 시작하는 동안, 아프가니스탄의 이웃 국가인 파키스탄은 소련 점령에 맞서 지구적인 지하드로 성장할 저항의 주요 발판을 제공했다. - P686

CIA-삼군통합정보부 프로그램은 아프가니스탄에무기를 쏟아붓는 것 말고도 군벌주의와 이슬람화, 분열을 부추기고, 아프가니스탄 내에서 파키스탄의 영향력을 끌어올렸다. - P69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