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

어머니의 ‘한쪽은 짧고 한쪽은 긴 다리‘ 이렇듯 셀린은쇼아줄 골목을 비참하기 이를 데 없는 곳으로 그린다." 무슨 목적으로 그는 어머니를 흉한 거세의 화신으로 그리려 하는가? 그것은영원한 힐책의 이미지, 아니면철이른 나르시시즘의 상처를 위로받기 위한 이미지인가? 아니면 나약한 존재만이 사랑에 빠지지 않고 아무런 위협 없이 사랑을 받아들일 수 있다는 것을 표현하는방법인가?
이같은 양면성을 지닌 어머니에 대한 주제는 삶이 죽음을 향하게 하는 여성들의 불길한 위력에 대한 표상이 될 것이다. - P241

셀린의 세계는 이분법적인 채로 남아 있다. 제삼의 것이 부재하기 때문에, 아니면 그 성이 쇠락해서인지 두 개의 말이 맞대어`개되는 것이다. 여성과 연인, 성(性)과 시체, 산모와 의사, 죽음과 말, 지옥과 작가, 불가능과 문제처럼… - P243

작가란 의사 이상의 존재일지도 모른다. 어떤 의미에서는 분리하는 아버지의 역할로, 동시에 아들과 연인으로, 결국 어머니의 자리까지 차지할 수 있는 존재로서 말이다. 그는 유일신도 ‘타자‘ 도아니므로 이탈된 자이다. - P244

여성이 어린애다움과 다른 ‘성(性)‘이 부재하는 여성성의 베일을 벗어 버리면, 그녀의 아름다움은 더 이상 셀린의 시선을 만족시 - P252

키지 않는다. 이제 사슬이 풀린 여자가 나타난다. 성과 권력에 대한 탐욕에 가득 차 있고, 살해의 야단법석에까지 이르는 강렬한 폭력 속에 하찮지만 적어도 그로테스크하고 비참한 희생자가 되는여성 말이다. - P253

자신의 성을 직업으로 삼아 이용할 때의 혐오스럽고 타락한 어두운 위력을 가진 여성은, 결혼하거나 직업을 가짐으로써 사회화되었을 때와는 사뭇 다른 효과를 지닌 두려운 존재가 된다. 그녀의 그같은 능력이 해체되었을 때는 음울한 계략이 되고, 히스테리의 최면 상태는 살해의 음모로 선회하며, 마조히스트의 비참은 상업적인 성공 속에서 살 길을 찾는다. 히스테리 환자가 도착성 속에서 교묘히 법칙을 지켜 나가려고 애쓰는 카니발의 꼭두각시에불과하다면, 편집증 환자는 법망 아래서 살해의 사회 현상을 표현해낸다. - P254

셀린에게서 나타난 아브젝시옹의 원천 중의 하나는 이같은 아버지의 몰락이다. 그의 작품에 등장하는 괴물 같은 아들은, 셀린의 눈에는 유일한 진실로 보이는 무한성이 고갈된 세상에 대해 아버지의 권력을 빼앗기에 충분한 만큼의 권력을 가장하고 나타난다. 아들이자 작가는 오귀스트가 질병에까지 이르는 비명·악몽 · 기진맥진·착란, 머리 주변의 찬 수건의 상태로 이해되도록 한다. 그리고 독자는 이같은 지옥이 페르디낭에게도 공통적이라는사실을 설명하지 않아도 알고 있다. 한편 처음부터 아버지의 모습은 어린아이와 우스꽝스런 남자다움이 혼합되어 그려진다. - P25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王이 使者를 보내어를 받들고 가서맞이하니, 龔勝은 병이 위독하다고 핑계 대었다. 使者가 印綬를 가지고 가서 龔勝의 몸에 가하자 龔勝이 곧 물리치고 받지 않고 문인 고휘 등에게 이르기를 "내가 漢나라의 두터운 은혜를 입었으나 보답하지 못하고 이제 나이가 늙었다. 의리상 어찌 한 몸을 가지고 두 姓의 군주를 섬기겠는가." 하고는 말을 마치자,
마침내 다시는 입을 벌려 음식을 먹지 않아서 14일 만에 죽었다.
漢書- 龔勝 - P18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7

우리가 아브젝시옹이라 불렀던 주관성의 한계라는 열광적인 상태와 이야기가 충돌하는 경우, 이야기는 공포와 고통의 비명이라는 주제 앞에서 굴복하고 만다. 왜냐하면 공포와 고통에 사로잡힌 주제는 이야기의재현 안쪽의 아브젝시옹 상태에 대한 최후의 증인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우리가 아브젝시옹의 가장자리로 조금 더 다가서려 할 때는 더 이상 이야기도 주제도 발견할 수 없게 되는 것이다. 그저 시의 폭력과 침묵만이 존재하는 통사와 어휘의 끊임없는 수정만을 발견할 따름이다. - P214

스스로를 방어하는 것은 오로지 갈고 닦는 것이다. 스스로를 방어하는 또 다른 방법은 선험적인 것이 아닌 신비로운 단축이다. 셀린은 신비적이라는 단어를 다음과 같이 사용한로라의 육체로의 여행은 "신비로운 해부학의 모험이다" "그들(우리가 두려워하는 인간들의 행동은 당신을 약하게 만들고, 시간을 빼앗았던 그 더럽고 신비스러운 매력을 더 이상 발휘하지 못한다." 사랑하는 여인의 신비함과 더러운 인간들의 신비함은 어떤 내세에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각각 그 역할을 판단하고 결국하나의 아브젝시옹으로 귀결되는 그러한 것이다. 한편은 지상적인것으로 나를 붙들고 또 내가 붙드는 타자의 담화, 즉 자연 · 육체·내부라면, 다른 한편은 정신적인 것으로 타인이나 외양과 관련되어 있다. 그런데 진실은 지상적인 낮은 것에 있다. 벌거벗겨진 면, 그럴 듯함이 제거된 가식 없는 오염되고 죽은, 불편함과 질병·공포에 있는 것이다. - P217

셀린의 세계는 모든 것에도 불구하고 측은히 여기는 조롱 속에서 간헐성과 지속성을 통해 밖의 존재를 담지한다.
결국 그 자신을 위해 셀린이 선택한 길은 공포 속에 침잠하는 것과그에게 가장 필수적인 혐오의 마음 자체로부터 극소의, 동시에 무한함을 지닌, 말하자면 아주 약간의 거리를 두고서 구별하고 기록하는 일이다. 표면적으로 그의 글쓰기는 성욕이나 그것의 등가물을 그리고 있지만, 결국은 어린이를 위한 숭고한 사랑인 글쓰기의승화로 열린다.
그 가장자리에 여성들이 있다. - P219

이야기의 저편에서 현기증은 자신의 언어를 발견한다. 그것은 어머니와 죽음의 목소리가 웅크리고 있는 상상적인 라 - P221

이벌의 은유일 뿐만 아니라 이야기의 숨결 같고 문장의 리듬 같은음악이다. - P222

그곳에서 내밀한‘ 고통은 육체적이고 동시에 정신적이어서 성적인 넘쳐남과 만난다. 이같은 본능의 벌거벗은 장면 속에 흥분시키거나 매료시키는 그 어떤 외설성도 없다. - P224

우리는 전쟁이 얼마나 끔찍한가를 알고 있지만, 셀린이 그리는 전쟁세계는 전쟁의 기록 자체와는 다소 거리가 있다. 셀린이 몰아내고 추적하고 펼쳐 보이는 것은 시체 앞에서의 도취와 기질 속에깃든 사랑과 죽음인데, 이것은 내가 존재하고 다가설 수 있는 바와는 다른 것이며, 이 공포와 또 이 공포 속에 사는 관능성인 또다른 성(性)과 나는 더 이상 의사 소통조차 할 수 없다. 다만 나의동일성이 형언할 수 없음 속에서 전복되는 지점에서 내가 보유하고 나를 넘쳐나고 내 속에 사는 것이다. - P227

셀린의 글쓰기는 고통이 극대화된 장소인 죽음에서 죽음이 촉발하는 공격성에, 결국은 공격성으로 야기되는 전쟁 속에서 그의 밤과 최후의 지지를 길어 올린다. 아브젝시옹은 살해로 이루어져 있다. 그런데 살해를 멈추게 하는 힘은 아브젝시옹이다.
******************************** - P228

셀린이 보기에, 나약한 문화에서 거의 전능에 가까운 위력을 지닌 고통과 살해라는 면모는 인간 종족의 진실인 것이다. 즉 작가에게 있어 의미의 실마리와도 같은 글쓰기의 출발점이라고 할 수 있다. 셀린의 관점이 묵시록적인 것이어서 불가능한의미(선이나 권리에 대한)의 진리로서 그 신비적인 강조점을 악에고정한다 할지라도 말이다. 어쨌든 만약 묵시록이 인식론적인 하나의 세계관을 의미한다면, 철학적 진리 (aletheia)와는 반대되는미로 그것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인간 모두 세계적인 붕괴의명 속에서 벌벌 떨거나 화염 속에서 터질 수밖에 없는 존재라는사실과 누구나 부족한, 홈이 팬 실추한 묵시록적 존재라는 사실을부인할 수 있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 P233

해산이란 삶과 살육의 극치이자 머뭇거림(안/밖, 나/타자, 삶/죽음), 공포와 아름다움, 성욕과 성적인 것을거칠게 부인하는 것들이 함께 타오르는 순간이다.

여성의 입구나 아브젝시옹의 입구에서 우리는셀린과 더불어 파시즘의 ‘충동적 기반‘이 가장 대담하게 투시된 사건 속에 있게 된다. 왜냐하면 파시즘과 나치즘의 가장 중요한 리비도적인 형태는 공포와 고통의 체제이고, 그 체제가 가장 합리화되고 가동된 형태가 나치즘과 파시즘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론적인이념이나 가벼운 형태의 예술이 아닌 욕망과 쾌락의 일시성이 지배하는 이같은 체제는 아브젝시옹을 포착할 수 없다. - P23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6장

셀린이 야기하는 효과는 그것들과 너무나 다르다. 그는 우리 속에서 방어 기제나 습득 언어 같은 것을 피하게 만들거나 아니면그것에 대항하여 싸우도록 하는 무엇인가를 불러낸다. 나체·유기 · 지긋지긋한 불쾌함 · 실추 · 출혈 등 아무도 고백하지 않지만모두가 알고 있는 것, 즉 비천하고도 대중적이며 인류학적인 모든 허위 속에 자리잡은 비밀의 장소, 셀린은 바로 그같은 것들이 진실이며, 유일하게 진정한 것이라는 사실을 우리에게 믿게끔 한다. - P204

그곳, 그가 우리와 관계를 맺는 자리는 그의 글쓰기에서이다. 희극 배우인가, 순교자인가? 이것도 저것도 아닐 수 있고, 동시에 둘 다일 수도 있다. 마치 자신의 술책을 믿는 진정한 작가처럼 말이다.

길들여진 당신의 아브젝시옹조차 《인형 악단》의 문체가 되어 《미래의 몽환극》은 계속될 것이다. 문학적으로 순수한 문체 속에서, 내부로부터 포착된 초월성과 감각들, 동사의 희열을 위해 문학을 또 한 번 뚫고 나가야 한다……… - P205

의미의 흡인과흡수·삼킴·소화 그리곤 파기, 그곳에는 말의 위력과 죄악만이 존 - P206

재한다. 셀린 교향악의 다중 의미 속에 내재한 음악·흔적·정치함…… 이외에는 신도 유일자도 없다. 아브젝시옹의 현기증은 가장중요하고도 확실한 희열을 보장하는 가장 오래 되고도 가장 한정적인, 물론 증오의 대상을 지니는 권력의 조건 아래서 지탱되고씌어진다. - P207

셀린의 유대인 배격주의는 다른 사람들의 정치적 참여와 마찬가지로 사실 모든 정치적 참여와도 마찬가지로사회적으로 정당화된 환상 속에 주체를 위치시키는 한 그것은 하나의 난간이다. 착각, 그 속에서 우리는 원한다면 사회 현상의 전개와 다양한 합리화를 알게 된다. 즉 문학적으로 말하건대, 착각은미쳐 가는 것을 막아 준다. 왜냐하면 그것은 문학이라는 것, 즉 동일화 과정의 횡단을 위협하는 미쳐 버린 심연을 펼쳐 보이기 때문이다………. - P207

지고한 것과 비루한 것, 숭고한 것과 아브젝트를 접합할 줄 아는카니발의 의미론적인 양가성에 셀린은 묵시록의 가차없는 파괴력을 덧붙인다. - P20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신미 11 - 왕망 3 -

王莽은 府庫의 부유함을 믿고 匈奴에게 위엄을 세우려고 하여 마침내 孫建등을 보내어 12명의 장군을 거느리고 길을 나누어 함께 출격하게 하였다. 이에 嚴尤가 다음과 같이 간하였다.
"匈奴가 中國의 폐해가 된 지 유래가 오래되었으나 上古時代에 반드시 정벌한 자가 있다는 말을 듣지 못했습니다. 후세에 세 나라인 周나라·秦나라 ·漢나라가 정벌하였으나 上策을 얻은 자가 있지 않았고, 周나라는 中策을얻었고 漢나라는 下策을 얻었으며 秦나라는 無策이었습니다.
周나라 宣王 때에 匈奴가 국내로 침입하여 陽에 이르자 장수를 명하여 정벌하게 해서 국경까지 내쫓고 돌아왔으니, 匈奴의 침략을 보기를 비유하면 모기와 등에처럼 여겨서 몰아낼 뿐이었습니다. 그러므로 천하가 英明하다고 칭하였으니 이는 中策이 됩니다.
漢나라장군을 선발하고 군대를 훈련시키며 가벼운 軍裝과 양식을휴대하고 깊숙이 쳐들어가고 멀리 수자리를 시켜 비록 적을 이기고 사로잡은공이 있으나 오랑캐들이 번번이 보복하였습니다. 戰亂과가 끊이지 않고이어진 지 30여 년에 中國이 피폐해지고또한 징계되고 두려워하여 천하가 무제라고 일컬으니 이는 下策이 됩니다.
秦나라 始皇은 작은 수치를 참지 못하고 백성들의 힘을 하찮게 여겨 만리장성을 쌓으니 길이가 만 리에 뻗쳤습니다. 물자를 수송하는 행렬이 바닷가에서부터 시작되어 국경은 이미 온전하였으나 중국은 안으로 고갈되어서 社稷을 망하게 하였으니 이는 無策이 됩니다.
지금 천하가 해마다 기근이 들었는데 북쪽 변경이 더욱 심하니 백성의 힘을 크게 쓰더라도 功을 기필할 수가 없으니, 신은 삼가 이를 걱정합니다." - P18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