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대로 된 책을 읽어봐야겠다 생각할 무렵 인문서에 눈을 돌리기 시작했다. 서양 고전 중 대표작이라고 하면 일리아스와 오디세이아를 빼놓을 수가 없는데 그렇게 두 권의 고전과 관련 입문 책을 한동안 계속 읽었던 기억이 있다. 그리스 신화는 재미가 없었지만 일리아스, 오디세이아는 역사적 배경을 갖고 있는데다 관련 인물들이 흥미로워서 읽는 과정이 지루하지 않았다. 이 책은 고전 일리아스를 기본으로 하여 쓰여진 소설이다. 원전 일리아스는 잘 해석된 번역본이 존재하지만 너무 웅장(거창)해서 쉽게 다가가지 못하는 면이 있다. 이 책은 소설인데다 문체도 부드러워 술술 읽혀서 좋았다. 일리아스의 역사적 배경이 된 트로이 전쟁은 과거만 해도 실제 있었던 전쟁이냐를 놓고 진위 여부가 논란이 있었던 적이 있었다. 현재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트로이 전쟁은 실제 하는 사건이었다고 이야기한다.트로이 전쟁을 다룬 영화 <트로이(2004)>가 있다. 전쟁의 줄거리를 비교적 충실히 다루어서 나도 원전을 읽으면서 그 영화를 보았고 감명을 받았던 기억이 있다. 일리아스의 주인공은 아킬레우스지만 나는 그의 서사보다 오히려 헥토르와 헥토르의 가족 이야기에 공감이 더 갔었다. 특히 헥토르가 사망한 뒤 프리아모스가 아킬레우스를 찾아간 장면은 잊을 수가 없다.일리아스를 하나의 단어나 문장으로 요약하라면 결국 ‘아킬레우스의 분노‘ 아닐까. 아킬레우스를 분노하게 한 것은 파트로클로스의 죽음 때문이었다. 그리스 연합군의 전투에 참여했던 아킬레우스는 아가멤논의 도를 넘은 행위에 화가 나서 더는 전쟁을 가담하지 않겠다 선언했다. 오디세이아 등이 가서 설득해보았지만 역부족이었고... 꿈쩍 않는 아킬레우스 대신 파트로클로스가 대리 참전을 했고 그것이 그를 죽음으로 이끌고 말았다. 아킬레우스에게는 파트로클로스가 그만큼 소중한 존재였음을 방증한다. 이 책에서는 연인 설정으로 나오는데 굳이 연인이 아니었다고 해도 아주 깊은 관계였음을 느낄 수가 있었다. 아킬레우스는 보통 영웅시되는 경우가 많지만 이 책에서는 영웅적으로 그려지기보다는 인간적으로 그려진다는 인상을 받았다. 누구나 여러 선택에서 고민을 하는데 아킬레우스도 별반 다를 것이 없다는 것이다. 특히 책에서 헥토르와 아킬레우스 간의 전투 장면은 문장 하나가 전부다(그만큼 아킬레우스의 전투력보다는 그 외에 것에 비중을 훨씬 두었다). 물론 그는 신분상 신과 인간 사이에서 태어나서 특별히 존귀한 취급을 받는것으로 보인다(어머니인 테티스도 신의 아들임을 강조한다). 아킬레우스 삶의 전환점마다 테티스의 역할은 중요할 수밖에 없었다. 이야기를 소설화하니 모자 관계가 왠지 더욱 두드러지는 느낌이어서 흥미로웠다.결국 아킬레우스를 차지하지 못했지만 데이다메이아란 여인도 있었다. 둘 사이에서 태어난 네오프톨레모스(피로스)가 전쟁을 마무리짓게 되는 것도 왠지 운명적이다.개인적으로는 케이론의 역할이 가장 좋았다. 그는 아킬레우스와 파트로클로스에게 의술 및 여러 인생의 가르침을 훈육한 스승이다. 나는 그가 지식 뿐만 아니라 알면서도 모르는 척 해주는 그런 모습이 있어서 좋았다. 이런 것이 현명함과 지혜 아닐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