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45년 미국은 세계 경제에서 꼬박 3분의 1의 비중을 차지했다. 그런데 1970년에 그 수치는 4분의 1 이하로 계속 떨어졌다. 이는 놀랄 일이 아니었다. 제2차 세계대전 직후 주요 경쟁자는 폐허 그 자체였지만, 한 세대 뒤 이 나라들은 재건되었고 따라서 더 효과적으로경쟁할 수 있었다. 미국의 정책 결정권자들을 정말로 우려하게 만든것은 낮은 국내 성장률과 높은 정부 지출, 특히 방위 지출이 결합되 - P556
었다는 사실이다. … 경쟁자들은생산성에서도 전반적으로 미국을 따라잡았다. 1971년 미국 정부는 자국의 경제 이익을 지키는 행동을 했다. 달러를 금으로 교환하는 고정환율을 돌연 중단함으로써, 사실 다른화폐에 대한 미국 달러의 가치를 평가절하하면서 미국의 수출업체와기업을 도왔다. 이로써 미국은 다른 대다수 화폐를 고정환율로 달러에 연동한 브레턴우즈체제를 의도적으로 파괴했다. - P557
닉슨은 적어도 가까운 장래에 소련과 미국의 관계에서 안정된균형을 찾고자 했다. 그가 추구한 목표는 전쟁 위험을 줄이고, 시간이흐르면서 미국이 창조한 국제체계에 들어오도록 모스크바를 구슬리는 것이었다. 닉슨이 볼 때, 소련은 혁명을 지나온 국가로, 이데올로기보다는 국가 이익이 더 중요했다. 소련이 미국의 세계 권력에 도전하지 않는 한, 대통령은 기꺼이 다른 초강대국으로 소련을 인정하고동유럽에서 패권을 유지하게 내버려둘 것이었다. 소련의 러시아 지도부는 어쨌든 동료 유럽인이라는 게 닉슨의 결론이었다. - P571
리처드 닉슨이 중국과 관계를 트자 그에게 가장 중요한 측면에서 뚜렷한 성과가 있었다. 주적 미국과 데탕트를 이룰 기회를 놓칠수도 있다는 사실에 갑자기 두려움에 사로잡힌 레오니트 브레즈네프는 미국과 무기 제한을 협상해 합의로 밀어붙였다. 닉슨이 베이징방문 3개월 뒤인 1972년 5월 모스크바에 도착했을 때, 1차 전략무기제한협정(SALT I)이 조인될 준비가 끝났다. 브레즈네프에게 이 정상회담은 정치인 경력에서 최고점이었다. 전략무기제한협정은 소련이전략 핵전력에서 미국과 맞먹는 수준에 도달했으며, 따라서 군사적으로 동등해졌다고 가정했을 뿐만 아니라, 지난 20년간 소련이 국제관계에서 내놓은 핵심 개념 일부가 포함된 전체적인 문서를 미국 대통령이 기꺼이 받아들이기도 했다. - P579
긴장완화 과정은 무계획적이고, 일부 중요한 쟁점은 모순적이었지만, 1975년에 그 수준까지 끌어올리는 데는 정말로 용기가 필요했다. 노년의 브레즈네프는 이를 필생의 작업으로 삼았고, 데탕트로 평화를 지킬 수 있다고 믿었다. 그와 동료들은 마르크스주의적인 시각에서 세계 자본주의가 구조적 위기에 접어들었고, 따라서소련이 국제문제에서 우위에 선 것이 아닌지 의심했는데도 말이다. 중국 지도자들도 비록 긴장완화 과정에서 얻은 안보를 국내에서 한층 사악한 목적으로 활용하고자 했지만, 그래도 과거와 용감히 단절한 공로를 인정받아 마땅하다. 하지만 이 모든 것을 가능케 만든 것은 바로 리처드 닉슨이다. - P58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