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로 3장까지 읽었다. 특히 2장이 많이 아쉬워 솔직히 실망스러웠다. 왜 그랬을까 생각해보니 기존에 해왔던 이야기를 답습하는데다가 책의 주제와도 크게 관련없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러다 마음을 먹고 3장을 읽었는데 다행스러웠고 읽기 잘했다 생각했다. 개인적으로 3장이 이 책의 가장 핵심이 담겨있는 듯하다.


내가 선사시대 여성들에 가졌던 생각은 여신의 이미지, 다산과 출산, 여성성과 아내의 표상, 풍요로움과 비옥함의 이미지였다. 특히 신석기 시대 이후는 말이다. 왜 그런가 생각해보았는데 이는 역사 공부를 하면서 배웠던 자연스런 수용과정의 일환이었던 것 같다. 

'신석기시대 농경과 목축을 시작했고 기존의 이동생활에서 정착생활로의 전환이 이루어짐으로 인해 여성은 아이를 돌보고 가정을 책임지는 사람이 되었다'라는 틀이 내 머릿속에 잡혔다. 

대부분 우리들이 가진 선사시대 여성에 대한 이미지는 구석기 때는 동굴 생활을 하면서 무리 생활을 하고 거기서도 남성이 주로 사냥을 하고 여성은 채집을 한다 라는 식으로 정의되어 있고 신석기 때는 정착 생활을 하며 여성에게 가정을 안전하게 보살피는 역할이 강조된다는 식으로 자리잡혀져 있을 것 같다. 거기에 우리 머릿속에 18, 19세기 이후 여성에 대한 잘못된 해석이 덧붙여지면서 여성이 특정한 일을 담당한 것으로 규정되고 강화된 것이 아닐까. 여기에 페미니스트들이 선사시대 여성에 대한 편견과 가설에 대한 해석을 폄하하는 경향도 불에 기름을 부은 것이라 여겨진다. 저자는 특히 보부아르의 생물학적 결정론에 대해 강하게 비판하고 있다. 

결국 저자가 말하는 바는 이것이다. 구석기시대에 여성이 사회, 경제, 문화적 활동에 참여하지 않았다고 배제할만한 고고학적 증거는 전혀 없다. 여성도 남성과 마찬가지로 인류의 진화에 공헌했다. 


"처음부터 원래 그랬다"라는 내용을 자주 읽지만, 신화는 원초적인 모습 그대로 전해지지 않는다. 새로운 버전이 나와 옛것을 덮어쓰고 대체하는 것이다. [P217]


새롭게 발굴되는 고고학 자료에 우리가 관심을 기울이고 주목해야 하는 이유는 끊임없는 새로운 연구가 발견되면서 기존의 가설이 뒤집히기 때문이다. 과학에 '반증가능성'이라는 용어가 있는 것처럼 말이다. 


기존에 가부장제의 창조를 잘 읽었는데 이 책은 거기에는 담겨 있지 않은 최근 고고학의 발견을 통해 재정의된 여성의 모습이 담겨 있다고 생각한다. 이 책이 값진 점이 거기 있는 것 같다. 


재미를 보장하기는 어렵지만 역사, 과학을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흥미롭게 읽을 수 있을 것 같다. 


그리고 3장을 읽으면서 가장 충격적이었던 것은 사라 바트만의 이야기였다. 3장은 내용이 길기도 길어서 읽는데 시간이 제법 걸릴 수 있다. 나는 자료를 찾아보면서 이미지를 확인하며 읽느라 더 걸렸지만 그만큼 충분히 값진 경험이었다. 


대다수 인류학자와 선사학자는 성별 노동 분업이 이미 구석기시대의 공동체에서도 나타났다고 생각한다. 성별 노동 분업을 인간 사회에서 최초로 등장하는 사회적 노동 분업의 형태로 생각하는 연구자가 많지만, "사실 선사시대 노동의 대부분은 체력이 기본으로 되는 일은 거의 없고, 남녀 상관없이 기술적 능력이 필요한 일이었다." [P152]


성에 따른 노동의 분화는 신석기시대 초기의 예술에서 꽤 분명히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그림에서는 여성들이 채집만 담당한 것처럼 보이지만, 이들의 뼈를 연구해보니 다른 활동도 했다는 것이 밝혀졌다. 신석기시대 중부 유럽의 여성의 팔은 현대의 여성 스포츠 선수보다 더 강했다. 청동기시대와 철기시대에도 몸집이 다부지고 근육이 발달한 여성들이 확인되므로, 이들이 이 시기에 담당했던 역할에 대해 다시 생각해보아야 할 것이다. [P193,194]



댓글(8) 먼댓글(0) 좋아요(3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얄라알라 2023-11-17 23:21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블랙 비너스라 불렸던 그 사라 바트만이요? 고고학책에서 의외네요. 화가님, 저도 이 책 읽는다 읽는다 하다 미루고 있었는데 제목과 표지보고 제가 짐작했던 방향인것 같아요 올려주신 글을 보니^^ 저도 천천히 화가님 따라 읽어야겠네요

거리의화가 2023-11-18 10:09   좋아요 1 | URL
네 맞아요. 마치 동물원의 동물 취급하는 것 같아 기분이 무척 불쾌하더라구요. 저는 이 책이 고고학 비중이 클 거라고 생각했는데 의외로 여성사에 대한 분량이 많았습니다. 3장은 사례가 많아 읽기가 지치기도 하는데 고고학적 사례가 많아서 저는 좋았어요. 알라님께 새로운 지식을 얻게 되는 기회가 되시길 바랍니다^^

다락방 2023-11-18 09:28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거리의화가 님도 2장 재미 없으셨군요!! 어휴 저는 읽느라 미치는 줄 알았어요. 기대하며 3장 읽어볼게요.

거리의화가 2023-11-18 09:42   좋아요 1 | URL
ㅎㅎ 다락방님이 재미있을만한 책은 아닌 것 같습니다^^; 저는 3장 때문에 일단 이 책에 점수를 줬어요! 화이팅입니다.

책읽는나무 2023-11-19 07:41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저도 넘나 길게 나열된 2장의 자료 수집용 인용 예시들이 꽤나 지루해서 시간이 좀 더뎠던 것 같아요.
3장부터는 좀 괜찮았어요.
살짝 생각의 관점도 바뀌었구요.
3장이 가장 핵심이로군요.
아직 3장에 머물러 있어요.^^

거리의화가 2023-11-19 16:37   좋아요 1 | URL
2장은 우리가 기존에 익히 읽어왔던 여성 혐오의 역사여서 지루하게 느꼈을 것 같아요. 처음 접하면 새롭겠지만 그렇지 않다는 것은 우리가 그만큼 그동안 쌓인 지식이 있다는 방증이기도 하겠죠?
역시 나무님도 3장이 더 나으셨나봐요. 다행입니다. 3장이 길기도 하고 여기도 마찬가지로 사례가 많아서 자료 검색하고 하는데 꽤나 걸리더라구요. 사실 포스팅에 그 내용까지 적을까 하다가 너무 길어져서 다 뺐습니다. 나무님 남은 분량 화이팅이에요!

dollC 2023-11-19 13:40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저도 2장 너무 지루했어요. 사례만 나열되다보니 좀처럼 집중하기 힘들더라구요. 그래도 꾸역꾸역 읽긴했지만요;;
최근 비정상회담이란 프로그램을 다시보고 있는데요. 출연자 중 한 분이 하는 말이, 선사시대부터 남자는 사냥하고 여자는 동굴청소하고 어쩌고... 그러더라구요. 하하. 동굴청소라니ㅋ
어쨋든 지금의 상식이나 일반적 지식이 편향된 것일수도 있고, 자기 의견의 근거로 삼기 이전에 재확인할 필요성은 충분한 것 같아요. 하... 동굴청소...

거리의화가 2023-11-19 16:39   좋아요 1 | URL
2장이 지루하셨다는 분들이 많네요^^ 사실 저도 하품하며 읽었어요ㅠㅠ
동굴청소ㅋㅋ 누군가요?
아무튼 고정 관념을 깨는 것은 쉽지만은 않은 일이겠죠. 새로운 관점을 받아들이려고 노력하는 사람이라면 애초에 그런 발언 자체를 덜 하거나 말하기 전에 조심스럽게 내뱉을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