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위기와 동기 사이의 주된 차이는, 이를테면 후자가 방향적 자질을 가지고 있다면, 전자는 단지 단계가 있는 것일 뿐이라는 것이다. - P122
동기는 어느 정도 긴 시간 동안 지속되지만, 분위기는 단지 다양한 빈도로 재발하며, 때로는 정확히 알 수 없는 이유 때문에 나타나거나 사라지거나 한다. 그러나 아마 분위기와 동기 사이의 가장 큰 차이는, 우리에 관한 한, 동기가 그것이 성취하려고 하는 목적과 연관하여 "의미 있게 되는 것"이라면, 분위기는 그것이 유발되었다고 생각되는 조건과 관련하여 "의미 있게 되는것"이다. 우리는 동기를 그것의 달성이라는 맥락에서 해석한다. 그러나 분위기는 그 근원에 의해서 해석한다. - P123
인간의 인지능력이 쓸모없어진다거나 혹은 이 직관이 예리한 형태로만나타난다는 불안감을 인간에게 야기시키는 것이 단지, 또는 주로, 이상한 사건의 갑작스러운 분출일 뿐이라는 것을 주장하려는 것은 아니다. 보다 일반적으로 그것은 자연, 자아 그리고 사회의 특정 측면을 파악하는 것, 즉 파악하기 어려운 현상들을 문화적으로 형성된 사실의 범주로 끌어들이려고 할때 인간이 항시적이고 지속적으로 재경험하는 어려움이다. 그러한 어려움은인간을 항상 불안하게 하며, 따라서 그 어려움 쪽으로 징후적 상징의 보다균등한 흐름을 향하도록 만들게 된다. 일상의 실제 생활의 배경으로 어렴풋이 나타나면서, 보통의 인간 경험을 형이상학적 관심의 영원한 맥락에 위치짓고, 자신이 불합리한 세상에서 떠돌게 될지도 모른다는 희미한 의심을 마음 한구석에 유발시키는 것은 용인된 지식의 비교적 고정되어 있는 첨단 영역을 넘어서 존재하는 것이다. - P128
역설적으로, 종교적 문제로서 고통의 문제는 어떻게 고통을 회피하느냐가 아니라, 어떻게 고통을 당하느냐, 어떻게 육체적 고통, 개인적 상실, 세속적 패배, 또는 타인의 고뇌를 무기력하게 바라볼 수밖에 없는 것을 참을 만하고, 견딜 만한 것 우리가 흔히 말하는 고통 당할 만한 것으로 만드느냐이다. - P131
악의 문제는, 또는 아마도 악에 관한 문제라고 해야겠지만, 본질적 - P135
으로 당혹 또는 당혹에 관한 문제나 고통 또는 고통에 관한 문제와 동일한종류에 속한다. 그리고 이러한 의심에 대한종교적 반응은 각각의 경우에 동일하다.
적어도 종교적인 사람에게 중요한 것은 이러한 알 수 없는 것이 설명되어야 한다는 것, 그것은 원칙, 설명또는 형식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사실의 결과가 아니어야 한다는 것, 인생은불합리한 것이며, 경험으로부터 도덕적, 지적, 감정적 의미를 만들려는 시도는 무익한 것이라는 사실의 결과가 아니라는 점이다. - P136
관점이란 보는 방식의 하나이며, 본다는것은 "식별하다", "파악하다", "이해하다" 또는 "납득하다"의 확장된 의미에서이다. 이는 우리가 역사적 관점, 과학적 관점, 미학적 관점, 상식적 관점또는 심지어 꿈이나 환각에서 구현된 괴이한 관점에 관해서 말할 때처럼, 인생을 보는 독특한 방식이며, 세상을 해석하는 독특한 태도이다. - P139
종교적 개념이 진실이며, 종교적 지시가 옳은 것이라는 확신이 어떤 식으로든 발생하는 것은 의례 - 즉 신성화된 행위 에서이기 때문이다. 신성한 상징이 인간에게일으키는 분위기와 동기, 그것들이 인간을 위해서 형성하는 존재의 질서에대한 일반 개념이 서로 만나 강화하는 것은 어떤 종류의 의식(儀式)의 형식 - 비록 그것이 신화의 낭송, 신탁(神託)에 묻는 것, 또는 무덤의 장식에 지나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ㅡ에서이다. - P14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