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지 19 - 5부 4권 박경리 대하소설 토지 (마로니에북스) 19
박경리 지음 / 마로니에북스 / 2012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먹는 데서 인심 나더라고 밥 한술, 술 한잔 나누어 먹을 것이 없게 된 세상, 늙었거나 병들었거나 의지할 남정네 없는 젊은 아낙들 아이들, 이슬같이 서글픈 명줄이나마 잇기 위해 식량배급에만 매달려 있는 일상에서 사람들은 원시세계로 돌아간 듯 일체를 생략하고 살았으며 냉수 한 그릇 떠놓고 혼례하는 것이 예사요, 장례식인들 무슨 수로 조문객 대접을 하겠는가. 징용 나가는 아들 남편을 위해 주먹밥이라도 몇 개 뭉치고 나면 식구들 죽그릇에서 푸성귀만 돌아야 했다. 극도로 이기적인가 하면 극도로 외로워하고 거리에서 직장에서 혹은 집 마당에서 기둥 뽑아 가듯 젊은이들을 잡아가지만 그것도 거의 일상화되어 울음소리 한숨 소리 위로의 말도 들려오지 않는 것 같았다. 배급을 받아 절반은 팔아서 다음 배급 탈 돈을 마련해놓고 배급의 절반으로 연명하는 기막힌 처지도 있었고 생산량이 날로 줄어만 가는 양조장의 술 찌꺼기, 두부공장의 비지조차 구하기 힘들게 되었다. 식량 배급소의 유세는 대단했으며 배급계 관리들은 살림이 윤택하여 태평성세였다. - P42

인간이란 의식주가 모름지기 중요한 법이다. 그 중에서도 먹는 행위가 가장 중요함은 두말할 필요도 없을 것이다. 먹을 것을 뺏긴다? 먹고 살 길이 없어진다? 막막하다? 이런 상황에서 인간은 이성을 잃을 수밖에 없다. 먹을 수 없으면 인간은 죽는다. 내 것을 뺏기지 않으려면 최소한 지키거나 남의 것을 뺏어야 하니 인심은 사나워질 수밖에 없다. 물론 이것은 어디까지나 중하층 계급의 이야기고 상층 계급은 없는 사람들을 더 착취하고 빼앗기 위해 혈안이 되었을 것이다. 구체적인 년도는 안 나와서 알 수 없지만 전시 체제 막바지임이 느껴진다. 아마도 1944년 무렵이 아닐까 싶다. 학병제는 진작 시작되었고 조선인 징용제가 시작된 것을 보면 말이다.

상부층은 협력을 해야만 조선 민족이 살아남는다는, 자기 자신조차 믿지 않는 논리를 리코딩하여 되풀이 되풀이하여 판을 돌리고 있었다. 열혈의 조선 청소년들이여! 국가 위난을 보고만 있을 쏜가, 총칼을 들고 전선으로 나가라! 대군(大君)의 신금을 우리는 보위해야 하느니, 펜을 버리고 총을 들라! 오오 감읍(感泣)의 극(極)이로소이다. 폐하의 적자로 조선 백성을 안으신 그 크나큰 성은을 어찌 우리가 잊을 쏜가! 저 하늘의 태양이 영구불멸이듯 우리의 인군 또한 그 영광이 무궁하리, 오오 조선의 청소년들이여! 일어나라! 일어나라! 총을 들고 전선으로 나가 적을 무찌르라! - P63

이광수가 每新에 새해 첫 날 발표한 시로 조선인들이 황국신민이 되어야 한다는 취지의 내용을 일장 연설해놓았다. 한문 해석하면서도 부들부들했다. 대체 그 좋은 머리 갖다 무얼 했는가. 그러면서도 나중에 본인은 억울하다, 해방이 될 줄 몰랐다 세례라니. 1940년 이후의 신문 기사를 찾고 싶었으나 이 무렵은 이미 조선, 동아일보 폐간으로 기사 자체가 검색해도 나오지 않는다. 그래서 이광수를 비롯한 친일 지식인들은 연설회나 강연, 논문 등을 통해 친일 행위를 했던 것으로 보인다. 가장 화가 나는 것은 학병들을 동원하는 데 적극 앞장섰다는 점이다. 생각할수록 기가 찬다.

<새해>(1944년 1월 1일 『每新』)
새해가 왔네.
地球(지구)가 처음 보는 偉大(위대)한 새해
貪慾(탐욕)의 地獄(지옥) 舊世界(구세계)가 무너지고
仁義(인의)와 禮(예)의 새 世界(세계)의 터를 닦는 새해.
太平洋(태평양)의 물결에 잔잔함이 돌아오고
亞細亞(아세아)의 天地(천지)에 復興(부흥)의 萬歲(만세)소리가
우렁차게 일어날 새해.
기뻐라. 나는 이 새해를 보았어라
開闢 以來(개벽 이래)에 처음오는 偉大(위대)한 새해를
노래하는 나의 幸運(제군)이어
그러나 一億(일억)의 同胞(동포)여
이 해 새해는 또 땀을 많이 흘려야할 해.
農夫(농부)는 논밭을 갈기에 가꾸기에 일구기에 鑛夫(광부)는 땅속에서 파기에 깨뜨리기에 저내이기에
工夫(공부)는 공장에서 갈기에 두들기기에 漁夫(어부)는 바다에서 그물치기에 낚기 끌기에 男,女,老,少, 一億一心(남,녀,노,소,일억일심) 쉬일새없이 흘리는 땀이 日本의 國土를 흠씬 적실 때에- 오직 그 때에만야
榮光(영광)의 勝利(승리)는 오는 것이다.
이를 일러 一億 戰鬪配置 戰力增强(일억 전투배치 전력증강) 빛나는 새해 偉大(위대)한 새해
씩씩한 우리 아들들은 銃(총)을 메고
戰場(전장)으로 나가고
어여뿐 우리 딸들은 몸빼를 입고
工場(공장)으로 農場(농장)으로 나서네
말 모르는 마소까지도 나라 일 위해
나서는 느들이 아닌가
千年和平 道義世界(천년화평 도의세계)를 세우랍신 우리 임금님의 命(명)을 받자와 ‘예’ ‘예’하고 집에서 뛰어 나오는 무리 이 날 설날에 半島三千里(반도삼천리)도 기쁨의 日章旗(일장기) 바다.
無限(무한)한 榮光(영광)과 希望(희망)의 偉大(위대)한 새해여! ;

징용은 처음에는 모집 방식이었으나 반응이 없자(시, 도에서 인원을 배분받았을텐데 인원 충족수에 거의 미달이었다고 한다) 나중에는 강제 차출 방식이 되었다. 길에 가다가도 눈에 띄면 끌려가는 형편이었는데 이는 여성들도 마찬가지였다. 결혼하지 않은 처녀들을 원했기 때문에 여성들은 어린 나이에 강제로 시집을 가는 경우도 빈번했다.

"조선인들 징용에 비하면 일본인 징용은 천국입니다. 조선인 노동자는 사람도 짐승도 아닌 기계지요. 일본은 언젠가 벌을 받을 것입니다. 도시락 싸들고 공장으로 일하러 나가는 젊은 여자들, 그들이 불만에 차서 못 견디겠다, 못 견디겠다 하고 있을 때 전선에서는 마구 무차별로 끌고 온 조선 처녀들이 하루에도 수십 명, 심할 때는 오십 명 이상의 군인 놈들을 받아내고 있었습니다."
유키코 얼굴에 피가 모여들었다. 수치와 분노였다. - P152~153

유키코의 수치와 분노, 오가타의 분노를 넘어선 절망 어린 반응을 보면서 이것은 식민지인 조선의 상황을 떠나 인권, 인류애로도 슬픔을 느낄 수밖에 없는 것이 아니었을까 생각했다. 졸지에 가해자가 되어 버린 두 사람의 씁쓸함과 참담함이 느껴지는 것 같다.

"말이야 차차 지 맘 내킬 때 하것지마는 지가 걱정하는 것은 핵교를 그만두는 일보다, 건강이 나쁘다는 것도 큰일이기는 하지만 시국이 시국인 만치로 정신대에 뽑혀가지 않을까 그기이 걱정입니다." 정신대라 했을 때 남희는 강한 반응을 나타내었다. 어쩌면 그는 정신대 내막에 관하여 소상하게 알고 있는 것 같기도 했다.
"정신대라 카믄 여자 보국대 말가."
"예, 수을찮이 처녀 아이들이 뽑히 나간 모앵인데, 이 동네서도 더러 나갔을 걸요?" - P35

국민징용령은 저항을 우려한 ‘모집’형식 노무동원이었는데 직업소개령에서는 이를 구체화시켜 6개의 관영직업소개소를 설치하고 보다 대대적인 노동력 동원을 강행하였다. 이때 조선인 노동자들은 「종업자이동방지령」「국민노무수첩법」등에 구속되어 있었다. 그러나 39년부터 조선노무협회가 만들어지는 1941년 6월 이전까지의 강제동원은 명목상 ‘모집’의 형식이었다. 그러나 이 모집에는 시종일관 국가권력에 의한 엄격한 통제가 가해졌다. 즉 조선총독부, 경찰당국, 직업소개소 등의 긴밀한 연계와 계획 아래 사실상의 연행이 실시된 것이다. 대부분의 조선인 노동자들은 행선지도 모르고 연행되었으며 연행된 후에는 강제적 노무관리에 의해 육체와 정신까지 구속되어야 하는 형편이었다. 이때의 모집지역은 경기도, 충청남북도, 전라남북도, 경상남북도의 7개도였다. 1942년 3월 이후, 종래의 연행형식은 모집에서 이른바 관알선(官斡旋)으로 바뀌었다. 본부는 총독부에 있었고 지부는 각 도청에, 분회를 부·군·도에 둔 조선노무협회는 관청과 경찰, 일본 사업주가 파견한 노무지도원 등과 협력하여 강제연행을 수행하였다. 관알선은 44년 9월, 징용령이 적용되어 명실공히 강제연행이 시작되기까지 시행되었고 이 시기의 대상지역에는 ‘모집’시기의 7개도에다 강원도와 황해도가 추가되었다. 연행된 노무자들의 생활은 비참한 것이었다. 일본의 탄광노동조건을 예로 보면, 일본의 노동자들이 비교적 조건이 좋은 군수공장으로 이동하자 일제는 노동조건을 개선하지 않고 조선인 노동자의 도입, 여자 및 연소광부의 갱내 사용허가, 심야작업 금지의 완화, 광부의 취업시간 제한의 완화에 의하여 재생산을 꾀했기 때문에 그 악조건은 이입 조선인 노동자들이 그대로 감수해야 하는 것이 되었다. 또한 이 조선인 강제연행은 일본인 노동자의 임금을 억제 또는 인하시키는 정책으로 이용되었다. 거기에 덧붙여 토지관리란 명목하에서 조선인 노동자에 대한 갖가지 훈련이 가해졌다. 그것은 조선현지훈련, 취로지 도착훈련, 황민훈련, 일본어 훈련, 작업훈련, 생활훈련, 체력훈련, 취로 후의 재훈련, 불량자 특별훈련 등 9가지 종류가 있었다. 이들의 노동시간은 10~12시간이었으며 아침밥을 먹은 후 갱내에 들어가면서 점심을 먹어버리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에 밖으로 나을 때 “감독님, 죽여주십시오 일어설 수가 없어요”하고 외치는 사람들이 있었다. 구주(九州:큐우슈우 도요스)탄광의 한국인 합숙소 벽에 남아 있는 한글 낙서 중 “어머니 보고 싶어” “배가 고파요” “고향에 가고 싶다”는 절규는 아직도 우리의 가슴을 쥐어뜯고 있다. (한국사데이터베이스, 한민독립운동사 중 3)강제연행 中)

報道特別挺身隊(보도특별정신대)의 結成式(결성식)이 朝鮮神宮(조선신궁)에서 거행되다. (한국사데이터베이스, 일제침략 한국 36년 사 13권 매일신보 1944.2.1 기사 中)

"국민을 제물로 삼으려는 의도가 뭡니까? 바로 마지막까지 살아남으려는 자들의 본능 아니겠어요? 그 본능 때문에 눈이 어두워 이미 사리판단을 못하고 있어요. 만일 자신들이 죽겠다 한다면 국민은 살릴 수 있겠지요. 군부나 황실이나."
어쨌든 이들은 좋았던 시절에 청소년기를 보낸 사람들이다. (...) 침략과 약탈 덕분에, 저변의 그 많은 생명들이 남의 산하에 뼈를 묻어준 덕분에 누릴 수 있었던 좋은 시절, 그렇다고 본다면 이들 역시 나라의 은공을 부인할 수 없을 것이며 그 숱하게 죽어간 사람들에 대해서도 빚을 지고 있는 셈이다. 이제 죽어야 하는 것은 자기 자신들 아닌가, 미묘한 심리적 딜레마에 빠져들지 않을 수 없었다. 누구를 성토하고 비난할 것인가. - P162~163

요시에이와 오가타의 대화는 묘한 감정을 불러 일으킨다. 졸지에 전쟁을 일으킨 국가의 국민이 되어 버린 두 사람은 자국을 욕하면서도 국가가 전쟁과 약탈에 힘을 쏟아 얻은 이익으로 특수를 누렸기 때문에 제 얼굴에 침뱉기라는 것을 느낀다. 내가 두 사람의 입장이라면 어찌 괴롭지 않겠는가. 나라면 이꼴 저꼴 다 보기 싫어서 술로 세월을 보내지 않았을까.

오가타는 쇼지의 반쪽이 이 나라, 가난하고 핍박받는 조선의, 그 민족의 아들이라는 사실을 다시금 뼈저리게 느낀다. '그래 내 아들아! 너의 어머니는 바로 저 불쌍한 동족을 위하여 북만주, 네가 보고 싶어하는 황량한 벌판에서 지금 싸우고 있단다. 가해자로서 괴로워하고 있는 일본인, 나를 언제인가 아버지로 네가 받아들이듯 동족을 위하여 투쟁하는 조선의 여성도 언젠가는 네가 어머니로 받아들여야 한다. 세상은 민족과 민족의 투쟁이 없어지고 억압하는 자와 억압당하는 자의 투쟁으로 진행되어야 하며, 그렇게 될 때 비로소 지상에는 식민지라는 존재가 없어질 것이다. 그리고 너희 어머니와 나의 슬픈 사랑, 비극도 없어질 것이다.' - P192~193

오가타는 아들인 쇼지와 여행을 하면서 인실을 떠올린다. 어디선가 조국을 위해 독립 운동을 하고 있을 인실을 생각하면 이것은 부군으로서가 아니라 인간으로서 존경심을 갖는 것이 아니었을까 싶다. 나는 인실이 어떻게 지내고 있는지 참으로 궁금하다. 아마 마지막 권에 나오지 않을까 싶은데 고통스럽고 힘든 세월이지만 이 때 인실과 같은 사람들이 있었기에 조선의 민중들은 희망을 가질 수 있었을 것이다.

"정면대결 해보아야 뭐 나오는 것 있어? 피장파장인데, 갈 때가 되면 가는 거고, 올 때가 되면 오는 거고, 팔다리에서 힘을 빼버리고, 바다 위에 떠다니는 해파리같이 사는 거지 뭐. (...) 온갖 잡신들이 한낮에 한길을 활보하는 세상, 평범하게 저속하게 진담 반 농담 반 그렇게, 아암 그렇게 살아야지." - P110

유인배는 나일성(송영광)에게 떠다니는 해파리처럼 힘을 빼고 생활하라고 말한다. 이것은 영광이 양현과의 관계에서 갖는 아픔만이 아니라 전선에 있는 위문 공연을 가서 웃으며 연주를 해야 하는 고뇌까지 적용되는 문제일 것이다. 나는 더 나아가서 조선 민중들에게 건네는 메시지로도 읽혔다. 어느 편이든 극단은 살기 힘들었을 시기가 아니었나. 물론 그렇다고 해서 박쥐 같이 살아야 한다는 말은 아니지만 미친 것처럼 모든 것에 일희일비하고 목숨을 걸기에는 36년이란 세월은 참 녹록치 않다는 생각이 든다. 곱씹어봐도 답은 나오지 않는다.

토지 19권은 큰 사건들이 있으나 모두 스포가 될 만한 사건이라 거론하기에는 그렇다. 대부분은 무거운 사건이었지만 스파이가 암살되기도 하고 동네를 쥐새끼처럼 훼방 놓던 놈은 쫓겨나는 일처럼 빛이 되는 일도 있었다. 그 얼마나 다행인가 싶으면서도 그 둘도 죽어도 싸다, 맞아도 싸다 하기에는 찝찝함이 남는다. 어쨌든 그들이 해방 후까지 살아 남았다면 대부분의 친일파들이 늘어놓는 이야기와 비슷한 변명을 했을 것이라는 점은 거의 틀림이 없을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