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책을 읽을 때는 잠시 정신이 들기도 하는데
마지막 책장을 덮는 순간 또 알아차리게 된다.
조금 전 나의 희미한 깨달음은 '먼지 낀 눈에 보이는 허공꽃' 같은 것이라고.
지난 봄, 지리산의 한 암자 책꽂이에서 책을 훔쳐왔다.
남회근 선생의 알기 쉬운 <불교수행법 강의>.
'훔쳤다'고 표현했지만 밥을 먹고 나서 일행과 차를 마실 때
스님에게 말씀 드렸다.
눈독 들이고 있는 책이 몇 권 있는데 그 중 한 권 가져가도 되냐고.
스님은 알아서 하라고 반승낙(?)을 하셨고 나는 얼씨구나 하고 다음날 아침
그 두툼한 책을 가방 깊숙이 넣어 왔던 것.
몇 년 전 그 암자에 처음 갔을 때 사랑방 책꽂이에서 내 눈을 사로잡은 건
박종철 출판사에서 나온 <칼 맑스 프리드리히 엥겔스 저작선집>이었다.
집으로 돌아온 나는 그 두툼한 선집 중에서 달랑 한 권(제1권)만 주문했다.
읽어본 적도 없고 보나마나 앞으로도 읽지 않을 책을 전집으로 주문해 꽂아두는 건
허영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런데 딱 한 권은 품에 지니고 싶었으니, 그건 무슨 심리일까?
얼마 전 <엄마가 뿔났다>를 보는데 1년 휴가를 얻어낸 김혜자가 혼자 사는 방
책꽂이가 눈에 띄었다.
몇 권 기우뚱 나이브한 제목의 책들 사이에 <막스 레닌주의와 언론>이 눈에 들어왔다.
김혜자의 방 책꽂이에 꽂힌 책도 작가 김수현이 직접 골랐을까?
아니면 김혜자가?
아니면 순전히 어쩌다가?
그런데 참 이상한 일도 다 있다.
지리산에 다녀온 지 얼마 안 되어 훔쳐온 그 책을 어느 친구에게 선물받았다.
나는 뻔뻔하게도 '이럴 줄 알았으면 딴 책을 가져올걸!' 하고 속으로 생각했다.
이번 주말 친하게 지내는 가족들과 어울려 2박 3일로 지리산에 다녀왔는데
남회근 선생의 그 책을 도로 가져가 스님 몰래 얌전히 책꽂이에 꽂아두고 왔다.
생각해 보니 나에게는 '도벽'이 좀 있는 것 같다.
어릴 때 지구본 저금통, 그리고 백수 시절 엄마 아버지의 주머니를 뒤진 것부터 시작해서......
어제 아침 모 방송 프로그램에는 조선왕조 궁중음식 기능보유자 한복려 선생의
인터뷰 장면이 잠시 나왔는데, 그의 작업실 벽에는 누군가 붓으로 멋지게 쓴 觀자가
액자에 걸려 있었다.
형형한 눈빛이 나를 지켜보는 듯 살아 꿈틀거리는 필체였다.
누군가의 방 벽에 걸린 액자 속의 글이나 책꽂이에 꽂힌 책들에
시선을 빼앗기곤 한다.
그 사람에 대한 관심의 일환이라고만 편하게 생각했는데 지금 생각해보니 그게 아니다.
얼마 전 신문기사인지 인터넷 포털 기사인지 잘 기억이 나지 않지만,
이런 글이 눈에 띄었다.
- 김장훈 득도.
눈을 비비고 다시 한 번 봤더니 '득도'가 아니고 '독도'였다.
착시현상이 요즘 부쩍 심해져서 형이상학적으로 처리,
눈에 먼지가 낀 것이라 믿고 싶지만 그것이 아님을 너무도 잘 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