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풍 ‘카눈’이 오고 있다. 아주 느리게 강력한 힘을 고스란히 지켜내며 오고 있다고 한다. 한반도의 뜨거운 열기가 태풍에게 힘을 더해줄 거라고 한다. 내가 사는 곳은 아직 비가 오거나 바람이 강하게 불지 않지만 밤부터는 다를 것이다. 태풍이 지나고 나면 더위를 사라질까, 그런 기대보다는 이 태풍이 피해 없이 무사히 지나가기를 바란다.
태풍이 오기 전에 책을 주문했다. 태풍 핑계로 냉큼 주문한 게 맞다. 클라리시 리스펙토르의 『아구아 비바』는 서재나 이웃이 올려주는 문장이 좋아서 궁금했다. 실은 표지가 예뻐서, 책 만듦새가 예쁜 이유도 있다. 클라리시 리스펙토르의 작품을 읽은 게 없어서 이 작품이 나에게 어떤 느낌을 줄까 기대한다.
크리스티앙 보뱅의 책은 신간 알림을 받고 바로 장바구니에 담았다. 『지극히 낮으신』은 13세기의 성인 아시시의 프란체스코의 삶을 그려낸 책으로 2008년에 마음산책에서 나온 『아시시의 프란체스코』를 읽은 이라면 새로운 신간이 아니다. 나 같은 독자만이 새로운 신간이 되겠다. 물론 나는 아직 『흰옷을 입은 여인』을 읽지 않았다. 마지막 한 권은 정용준의 산문집 『소설 만세』다. 이 책을 먼저 읽은 블랑카 님이 좋다고 하시니 더욱 기대가 된다. 정용준의 소설에 대한 애정이 가득한 책이 아닐까 싶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3/0809/pimg_7630901653971952.jpg)
더위에 지쳐서 아주 천천히 책을 읽고 있어서 조만간이라고 말할 수 없지만 태풍이 지나가고 폭염이 누그러지면 읽게 되지 않을까 싶다. 내 맘대로 살짝 소개하자면 이렇다. 대답의 책처럼 펼쳐서 나온 구절이다. 『아구아 비바』의 이런 구절, 이 소설 대체 뭘까.
고백할 게 있다. 나는 조금 겁이 난다. 자유가 나를 어디로 데려갈지 알 수 없기 때문이다. 자유 자체는 독단적이지 않으며 제멋대로 움직이지도 않는다. 하지만 내가 거기에 엮여 있지 않다. (『아구아 비바』 중에서)
그녀는 아름답다. 아니, 아름다움 이상이다. 그녀는 더없이 부드러운 새벽빛을 띤 생명 자체다. 우리는 그녀를 알지 못한다. 그녀의 초상화 한 점도 본 적이 없다. (『지극히 낮으신』 중에서) 크리스티앙 보뱅의 문장이다. 그녀는 누구일까. 가톨릭 신자라면 이 책이 더 아름답게 다가올까.
소설을 쓰기 위해 혹은 잘 쓰기 위해 어떤 노력을 하고 싶다면 다른 무엇보다 ‘쓰고 싶다’는 마음이 사라지지 않도록 해야 한다. 마음과 욕망은 꺼지지 않는 불꽃이 아니다. 가만히 두면 언젠가는 사라지는 평범한 불꽃이다. (『소설 만세』중에서)
정용준의 조언처럼 쓰고 싶다는 마음을 잘 키우고 싶다. 달아나지 않도록 잘 붙잡고 싶다. 책에 대한 마음도 읽는 마음도 쓰고 기록하는 마음도 달아나지 않도록 말이다. 태풍이 가까이 왔고 곧 실체를 확인하겠지만 우선은 아름다운 하늘이 좋다. 아이스크림 같은 구름이 정말 예쁘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3/0809/pimg_7630901653971953.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