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돼지책 ㅣ 웅진 세계그림책 1
앤서니 브라운 글 그림, 허은미 옮김 / 웅진주니어 / 2001년 10월
평점 :

앤서니 브라운이라는 동화작가가 꽤 유명한데 개인적으로 내가 읽은 동화책은 한권 정도 밖에 없었다. 이 책도 워낙 유명한 작가라고 하니까 우리 아이에게 한번 읽혀볼까하고 한번 사봤는데, 결국 내가 읽고 끝나는 거지만..... ㅋㅋ 근데, 사실 이 책은 개인적으로 우리 아이도 아이지만 신랑한테도 읽으라고 하고 싶은 이 느낌.
처음 <돼지책>이라고 해서 뭔 동물이야기인가 했더니, 책 내용이 말 그대로 책 표지와 똑같구나.
근데, 읽고 나니 뭔가 씁쓸하면서도 공감되면서도 내가 스스로 불쌍해지는 이 느낌은 뭐지?

두 아이와 남편의 똑같은 행동양식.
두 아이는 정말 열심히 중요한 학교를 갈때나 돌와왔을때 "엄마, 빨리 밥 줘." 를 외치고..
남편 역시도 아주 중요한 회사를 출근 할 때나 돌와와서 "여보 빨리 밥 줘."를 외친다.
그리고 그들은 TV를 보거나 각자의 방으로 간다.
엄마는 그들의 출근과 등교를 돕고 청소를 하고 설거지를 하고 반찬을 준비하고 출근을 한다.
그건 돌아와서도 마찬가지다. 엄마의 일은 그리 중요하게 묘사되지 않는다. 아이들과 아빠의 일은 아주 중요하게 묘사된다.
여기서 내가 감을 잡았어야 했는지도....
암튼, 그렇게 일상이 되풀이 되고... 어느날 엄마는 메모를 남기고 사라진다.

"너희들은 돼지야."
음... 음음....
그래, 사실 엄마의 메모도 극단적이긴 하다.
하지만, 그 사이 아무도 어느누구도 엄마에게 힘들다거나 도와준다거나 하는 건 없었다. 당연히 해야할 일이라고 했다.
어쩌면 예전처럼 가사와 사회생활이 정확히 분리되고 아빠는 밖에서 일을 하고, 엄마는 집안일을 한다면 그렇게 전담한다면 또 모른다. 하긴, 그게 아니래도 육아는 당연히 아빠와 엄마가 공존해서 같이 해야한다. 기본적인 케어는 엄마가 하더라도 말이다.
어쨌거나.........
나도 요즘 느끼는 거지만 (고나마 난 어머님이 다 해 놓으셔서 설거지를 다시 하거나 하는 부분은 없어서 편하지만.....)
모든 가족이 모이는 주중에는 다들 나만 기다리고 있는 현실이 암담하긴 하다. 퇴근해서 반찬을 뚝딱뚝딱 만들어서 아이와 어머니와 신랑에게 밥을 주고 설거지를 하고.. (고나마 그게 수요일 딱 하루인게 다행이라면 다행이다.)
그외 평일에도 내일 아침을 위해 밥을 미리 예약하고 반찬을 미리 준비할때도 있고 뒷날 아침일찍 일어나 준비하기도 하고....
주말에는 빨래를 돌리고, 아이들을 돌보고..... 고나마 다행이라면 청소나 그외 분리수거 같은 소소한 걸 도와줘서 버티지만 아주 힘든날은 욱하기도 한다.
나도 앉아 노는 거 같지만 일한다고요~!! 공평까진 바라진 않치만 부엌일이 전적으로 내 일이라는 건 버겁다고요~!! 라고 소리도 지르고 싶어진다. 그래도 그나마 청소를 도와주는 게 어디냐며 위로를 하지만......

그러면 또 사람들은 이렇게 말할까? 옛날 엄마들은 밭에 김도 메고 집안일도 혼자 다했다고.....
아이들도 군소리 없이 다 키웠다고....
어느시기 어느때가 더 치열하고 힘들다 따지고 들 수는 없는 노릇이다. 각자의 상황에 따라 다 힘듦이 틀리고 시대에 따라 상황은 유동적이고......
그래서, 이 동화책은 동화책이라기 보다는 작은 사회를 다룬 그리고 우리가 이야기하고 토론해야 할 그런 책이었다.
쉽게 읽히는 동화책이라기 보다 생각이 엄청나게 많아지는 동화책.
그냥 동화작가가 아니었구나 앤서니 브라운.
그냥 이런 동화는 누구나 한번쯤 읽어봤으면 좋겠다. 본인의 입장으로 얘기해도 좋고, 타인의 입장으로 얘기해도 좋고..
이런 입장차를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동화책이지 않나 싶다.
일단 나는 엄마입장이니 그쪽으로 100프로 공감이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