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채기 공주 내책꽂이
수지 모건스턴 지음, 김나나 그림 / 크레용하우스 / 2015년 10월
평점 :
절판


 

이 동화책을 선택 할 때만 해도 난 좀 뭐랄까 웃긴 이야기 일 거 같다는 느낌이 있었다.  중요한 자리에서 계속 재채기만 해대서 뭔가 일을 망치면서 어쩌고 블라블라.... 뭐 그런 이야기가 아닐까 생각했다.  그런데, 이 동화책을 읽으면서 허, 거참.  부모라는 입장, 공주라는 지위, 그리고 자신의 맘대로 아플 수 없는 어마어마한 고통이 보여서 씁쓸한 느낌이랄까.

 

그러니까 공주가 엄청난 감기에 걸렸다.  시도때도 없이 재채기 하고 곧 신랑감을 맞을 무도회가 있는데도 온 몸이 아파서 제대로 움직일 수 조차 없는데 엄마, 아빠 즉 왕비와 왕은 공주에게 공주는 아파서도 안돼며, 재채기를 함부로 해서도 안되고 아픈 티를 내서도 안된단다.  그것참.

요즘처럼 공주, 왕자, 왕등등 그런 제도가 있는 나라들이 많치는 않치만 여튼 결국 최고의 지위에 있는 사람들의 모습을 보여주는 건데, 도대체 이렇게 거짓으로 미소를 지어가며 꼭 보여주기식을 해야하는 건가?

행사가 예정 돼 있다고 하지만 그렇게 아프면서까지 거짓 미소를 일관해야하고 표를 내서도 안된다니........

 

 

물론 아프다고 계속 징징대는 것도 그렇치만 여기 책 속의 왕과 왕비는 참 매몰차기가...... 애정이 없다고 해야할지.

동화책인데도 뭔가 좀 그런느낌.  애정이 전혀 느껴지지 않는 엄마, 아빠로서의 느낌.

오히려 공주가 찾아낸 왕자가 더 공주를 생각하고 애정을 가지고 있으니 거 뭐, 참....... 씁쓸하네.

 

그래도 동화답게 마지막이 해피엔딩이어서 나쁘지 않다.

결국 왕비 자신도 감기 걸려서 자기는 재채기를 해도 되고, 자기는 쉬러 가도 되는 그런 어이없음.

그러면서 자기 딸 공주는 그래선 안된다는 어른들의 이중잣대.

아놔, 동화책 보면서도 막 성질나네.

 

 

이 책은 오히려 어른들이 읽고 아이들의 모습을 어찌 대해야할지 생각하는 게 더 나을 거 같다.  아이들이 읽기보다는...

여튼 막 동화읽으면서 열 내고 화내는 어른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