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뮈로부터 온 편지
이정서 지음 / 새움 / 2016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을 처음 읽을때 분명 소설이라고 알고 읽었는데 어째 읽을수록 소설인 듯, 소설아닌 소설같은 책이네.  카뮈의 <이방인> 번역관련한 이야기를 소설로 내 놓은건데 아무래도 소설로 치부하기엔 작가가 현실 그대로를 옮겨 놓은 듯 해서 읽으면서도 모호~하다.

 

보자보자, 내가 카뮈의 <이방인>을 읽은때가 언제였더라?  사회생활을 시작한 지 얼마안돼서 읽은거 같은데..... 꽤 오래됐네.  난 원체 문장 하나하나 단어 하나하나에 의미를 두는 책읽기를 못하는 인간인지라 책을 읽을때 전체적인 느낌으로 책의 감흥을 기억하는 편이다.  그런의미에서 이 책의 작가가 말하는 번역의 오류에서 오는 책읽기의 버거움이 있었던가? 하는 생각을 한참했다.  결국 나는 <이방인>을 꽤나 재밌게 읽어서 딱히 문장이 부자연스럽다 어떻다고 못 느낀거 같은게, 역시 문장 하나, 단어 하나 보다는 전체 맥락으로 본 경우인 듯 해서 기억을 못하는 듯 싶다.

 

 

초반 작가가 말하는 번역의 의문점들을 보였을때 나는 솔직히 감을 잡지 못했다.  뭐가 다르다는 건가?  책 속의 강고해 편집장이란 별반 다름없는 반응이었고, 오히려 기존의 번역 문장에 익숙해 있어서 그런지 비교 문장을 봐도 거부감이 없었다.  한두단어나 쉼표하나에서 오는 다른 느낌이 있을 수 있지만, 나는 그 변화나 다름을 전혀 깨닫지 못했다는 말이다.  하지만, 작가는 카뮈라 자처하는 사람의 편지를 받고 아이들이 읽기 어렵다는 내용을 접하고 번역을 시작하면서 그 의미 하나하나가 다르게 다가옴을 느끼고 기함을 하는것이다.

뭐, 그리 별스러운가..... 라고 솔직히 생각했다.  어차피 원서를 첨부해도 읽어내지도 못하는데..... 라며 중얼거리기도 하고....

 

 

근데, 후반부즈음에 와서 그제서야 나는 번역의 오류에서 오는 문장의 변화를 조금, 아주 조금 눈치 챌 수 있었다.  어쩔 수 없다.  나처럼 깊이 있는 책읽기보다는 겉핥기식의 책읽기를 하는 사람에겐 그 문장이 그 문장 같으니까..... 게다가 그리 크지 않는 변화에 딱히 색다름을 느낄 수 없었으니까......  그런데, 역시 뜻하나 등장인물의 성격이 달라지고, 내용의 전체를 뒤엎는 느낌이 되고보니 어라? 나도 <이방인>을 다시 읽어야 할 거 같은 느낌이 들었다.  그때 느꼈던 감정과 지금이 같은지, 그리고 책 속에서 제기하는 번역의 오류가 어떤지......

 

책속의 김수영 역자에 대한 이야기가 많이 나와 실존하는 인물인 줄 알고 검색까지 해봤다.  뭐, 전혀 아닌 사람이라고 말은 못하겠지만..... 어쨌거나 번역문제는 뭔가 민감한 사안인듯 하다.

그러고보니 나역시 몇년전 고전 책을 읽는데 번역의 오류로 재미난 책을 어마어마하게 실망하며 본 적이 있어서 사실 번역의 중요성을 잘 알긴 하는데, 이런 세세함까지는 신경쓰지 못했었다.  읽기에 껄끄러움이 없으면 잘 된 번역이라는 생각이 있었던 듯 하다.  이번 책으로 읽기에 편한 것이 다 가 아님을 어렴풋이나마 깨닫는다.  책속의 이야기 자체가 아예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나저나, 그럼 이제껏 내가 알던 <이방인>은 제대로 된 <이방인>이 아닌건가!  간만에 다시 <이방인>을 꺼내 들어야 할 것 같다.  물론, 이번에 새로이 번역 돼 나온 <이방인>도 같이 비교해서 읽으면 더더욱 문장의 의미를 잘 전달 받을 수 있을 듯 하다.

 

 

일단 알베르 카뮈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알아보고 말이지.  간만에 카뮈 관련 글을 읽으니 그에 대해 더더욱 궁금해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