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공허한 십자가
히가시노 게이고 지음, 이선희 옮김 / 자음과모음(이룸) / 2014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http://book.interpark.com/blog/blogfiles/userblogfile/2/2014/12/11/18/in0427_6440622461.jpg)
그가 돌아왔다!!!!! 라고 부르짖어야 하나? 아, 그럴수도 있는데 쪼끔, 아주 쪼끔 약해서 그냥 그의 귀환으로 반가움만 표해 본다.
뭐, 굳이 내가 말하지 않아도 글을 앉으면 책을 한권씩 펑펑 쏟아내는 인간인지라(?) 책 사재기를 하는 나도 유일하게 따라 잡을 수 없는 속도로 이곳저곳에서 마구마구 쏟아져 나오는데 그래서 늘 게이고옹의 책은 최악, 최고의 정점을 찍는 경우가 허다하다. 그렇게 쏟아내니 어떤건 허접이요, 어떤건 멋지다~!! 막 이럴 수도 있지만 이 아저씨는 정말 그 파고가 너무 높아서 당최 간혹은 '이 책 진짜 게이고옹이 쓴 거 맞아?' 라는 의심을 부를때가 있다. 마구마구 바닥을 찍다가도 그 다음 책을 잡으면 최고를 찍어주니 밀당의 대가라고 혼자 나불거리기도 하는데 여튼 그래서 이 인간 책을 놓을 수는 없다. 결국 그에게 질질(?) 끌려가는 팬인가? 크크
![](http://book.interpark.com/blog/blogfiles/userblogfile/2/2014/12/11/18/in0427_6934760980.jpg)
얼마전 <나미야잡화점의 기적>을 읽고 게이고옹의 사회파, 문제적 작품을 좀 읽고 싶어서 선택했는데, 오호~ 잘했구나 싶다. 딱 고민거리를 던져주는 책이다. 어떤 결말도 낼 수 없지만 깊이 생각하게 되고, 공감하게 되고, 아니라고 도리질도 할 수 있는 그야말로 생각에 생각을 거듭하게 하는 책.
물론, 내가 그의 책 중 엄지 척 드는 <방황하는 칼날>에 미치지는 못한다. 그 작품에서 그에게 홀딱 반했었는데 그 후로 그래서 이 아저씨책엔 무조건 기대감 백프로 증폭이건만 들쭉날쭉이더니 오랜만에 또 한껀 해주신다.
그래, 이거거덩~
![](http://book.interpark.com/blog/blogfiles/userblogfile/1/2014/12/11/18/in0427_4524572918.jpg)
사형제도에 대한 심각한 고민. 솔직히 말하면 나는 요즘은 너무 무서운 세상이고 잔인하고 잔혹한 일들이 많기에 어느정도 찬성쪽으로 기울어지는 형국이지만 그래도 늘 오판으로 인한 잘못된 집행의 우려를 생각치 않을 수 없기에 갈팡질팡이긴 하다. 그러나, 일단 이 책의 시작부터에서는 당연히 찬성, 찬성, 찬성이었다. 당해보지 않으면 알 수 있을까? 사랑하는 자식의 죽음을...... 그 억울함을.
아무것도 남지 않더라도 범인에게 사형사형사형. 쾅쾅쾅. 그 소리를 얼마나 듣고 싶어 하겠는가.
특히 "사람을 죽이면 사형에 처한다- 이판단의 최대 장점은 그 범인은 이제 누구도 죽이지 못한다는 것이다." 이 말은 그야말로 비수로 와 꽂힌다. 이 문장을 읽으면서 아~ 했다. 그래, 다 아는 내용인데도 그런데도 이 한 문장만으로도 뭔가 속시원해 지는 느낌.
![](http://book.interpark.com/blog/blogfiles/userblogfile/2/2014/12/11/18/in0427_9675618222.jpg)
그런데 말이다. 그런데 역시나 게이고옹은 그 한쪽으로 모든 결론을 내지 않는다. 역시 내가 이뻐라 하는 아저씨답게......
사형제도에 대한 의문과 결국 감옥안해서 허무하게 공허한 십자가를 짊어진 범인과 감옥이 아니지만 밖에서 그 무게를 감당 할 수 없는 십자가를 짊어지고 살아가는 범인. 과연 우리는 그 두쪽에서 누가 더 고통스럽우며 또 어떤 형태의 처벌을 바라는 건지, 그리고 그럼으로써 피해자가족들이 얻는 위안은 어떤 건인지...무지막지 고민하게 만든다.
아무것도, 어느것도 사랑하는 이를 잊는 것을 대신할 수 없다. 죽인 범인이 사형에 처해진다고 해도 결국 사랑하는 사람은 돌아오지 않는다. 그렇다고 또 그대로 범인을 놓아두는 건 억울하고 한맺힌는 일이다. 결국 십자가를 짊어지고 이세상을 살아가는 사람은 피해자의 가족이 아닐까? 평생토록 그 고통으로 마음아파하며 어떤것으로도 위로받지 못하고 살아가는 그들.......
이 책을 읽다보면 결국 어느 쪽에도 손을 들 수 없게 만든다. 그리고, 어느 쪽으로 결론을 내릴 수 없어 고민만 더 깊어지게 만든다. 이쪽저쪽 이해를 하면서도 이해하기엔 너무 아픔이 깊기도 하다. 역시, 게이고옹인가. <방황하는 칼날>에는 못 미치지만 그래도 그의 이런 고민거리를 던져주는 이 이야기가 반갑다. 히가시노 게이고의 귀환이로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