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 빵의 위로
구현정 지음 / 예담 / 201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실, 나는 위장이 그렇게 튼튼하지 않은 관계로다 밀가루 음식을 그다지 좋아하지 않는다.  어쩌면 위장의 튼튼유무관계를 떠나 집안내력인지도 모르겠다.  아버지때부터 그렇게 밀가루 음식을 좋아하지 않았다.  심지어 학교다닐적에 라면한번 먹은적이 없을 정도로 나는 밀가루와 친하지 않은 사람이었다.  그런데, 결혼을 하고 유독 빵을 좋아하는 빵돌이 남편과 살다보니, 자연스레 빵과 급격히 친해졌고, 완전 밀가루 음식인 빵에 관심이 갔다.  아빠가 빵돌이여서 일까나?  우리 꼬맹이도 툭하면 "엄마 빵 사오세요." 라고 전화를 한다.  갑자기 다 잠들 저녁에 "빵 먹고 싶어요."라는 말도 예사로 하는거 보니 피는 못 속이나 보다.  빵돌이 아빠에 빵순이 딸. 
 
그렇치만 아직 제대로 된 베이킹을 해 본 적도 없는 나이기에 늘 그저 큰 프랜차이즈 빵집에서 흔하디 흔한 단팥빵이랄지, 소보로랄지, 그런것들을 덥석 집어오는게 다다.  언젠가 한번쯤은 집에 있는 오븐으로 빵을 구워주리라 결심을 하지만, 늘 결심에만 그치고 만다.  게다가 빵에 대해 잘 알지 못하니, 뭔가 이번참에 빵에 대한 공부도 하고 싶었던 터다.  그런 순간에 이 책이 눈에 띄였으니, 오호~ 운명일지라.
 
이책은 독일에서 살았던 저자의 경험을 바탕으로 빵에 대한 추억과 때에 따라 먹는 빵 종류등 그야말로 유럽에서 찾은 빵의 위로를 책에 고스란히 담고 있었다.  유럽문화는 빵이 없어서는 안될 주식이다 보니 빵집도 흔하고, 빵 종류도 다양하며, 우리나라처럼 대기업의 프랜차이즈식보다는 개인빵집이 더 활성화 되고 소문난 빵집은 찾아가보기도 하는 분위기 인것같다.  독일에 살았던 저자였기에 조금만 차를 타고 나가도 국경을 넘어 다른 나라들로 여행할 수도 있고 유럽 전체의 빵을 맛 볼 수 있는 기회이기에 그녀의 책을 읽으면서 원없이 빵냄새를 맡고, 유럽의 냄새를 맡은 느낌이다.
 
자신을 반하게 했던 빵 洹뮨옌壙� 2년동안 정들이기 힘들었던 브로트 그리고 아침마다 먹었던 브뢰첸, 크루아상등등 그녀가 나열하는 빵이름은 도통 모르겠지만, 사진으로 보니 언뜻 또 우리나라 빵집에서도 본 적 있는것도 같아서 읽으며 아하~ 하는 감탄사도 내보고, 저자의 설명만으론 그 맛을 알 수 없으니 이런 이런 안타까울때가 하는 한숨도 내 봤다.  물론, 요즘은 어느정도 빵맛에 길들여져 있다곤 하지만 결국 우리나라에서 맛 볼 수 있는 빵맛은 한정된 것이기에 유럽에서만 느낄 수 있는 빵에 대한 애정을 과감없이 책으로나마 느낄 수 있었던 기회가 아니었나 싶다.  게다가 유럽, 그들의 결혼식에서의 빵 역할은 그야말로 없어서는 안될 주인공이었다.
아, 나는 언제쯤 과연 주인공처럼 그 맛난 유럽의 빵들을 맛볼수 있을꺼나......
 
책 읽으며 유럽의 빵들에, 그리고 간접적으로 체험되어지는 그들의 문화적 모습에 감탄이 일었고, 부러움이 일었다.  뭐, 어쨌거나 내가 젤 좋아하는 빵은 바게트라고 할 수 있는데, 결혼전 상사의 심부름으로 빵을 한번 사서 맛보고 난뒤 완전 반해버렸더랬다.  지금도 그 집 빵맛은 잊을 수가 없는데, 역시 맛있는 빵을 만나는 기분은 이런건가 하는 생각을 그때 했었더랬다.  나도 저자만큼의 빵애정자(?)는 아니지만, 그래도 빵돌이 남편과 빵순이 딸을 데리고 유럽의 빵집을 순례해 보고 싶긴하다.  그 만큼 유럽의 빵이 매력적으로 다가온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