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의 하루 - 실록과 사관이 미처 쓰지 못한 비밀의 역사 하루 시리즈
이한우 지음 / 김영사 / 201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역사를 좋아하다 보니 늘 역사에 관한 책만 나오면 끌리고 손이 가게 된다.  그래서, 역사책은 늘 콜~이다.  어쩌면 그건 고등학교때 국사선생님의 영향도 컸던 거 같다.  물론, 그 전부터 좋아하긴 했지만, 국사선생님이 멋지다보니(오해마시길, 여자 선생님이셨다는......) 국사, 역사에 더 관심을 가지게 된 계기가 된거 같기도 하다.  

 

사실, 조선의 역사라고 하면 원체 많이 접해왔고 얼마전 영화 "광해"도 만났고해서 늘 어느정도 안다고 생각하지만 막상 책을 펼쳐 연대순으로 읽어가다보면 머리가 아파온다.  인조반정이 먼저였는데, 중종반정이 먼저였는지, 무오사화, 갑자사화가 먼저였는데 헷갈리기 일쑤다.  오죽하면 사육신과 생육신의 이들마져 헷갈릴까나.  그래서, 역사에 관한책은 읽어도 읽어도 끝이 없고, 까먹을 만하면 한번씩 읽어줘야 한다는게 내 철칙이긴 하다.  그래도 어째 머리가 나빠도 이리 나쁜지 읽을때 마다 헷갈릴까나?  이러기도 쉽지 않을텐데.......

나름 많은 역사책들을 만났는데도 여즉 이렇게 헷갈리는 정도니 나도 참 어지간하지 않나 싶다.

 

<왕의 하루>라고 해서 사실 좀 기대가 컸다.  왕의 하루하루에 대해서 세세하면서도 중요한 하루들이 기록되어 있을거 같아서 그만큼 기대치가 높았던 거다.  물론, 그 하루로 당최 이 두께의 책을 낼 수 없다는 사실은 알고 있었지만, 또 제목이 <왕의 하루>이다 보니 뭔가 특별한것을 기대했던것도 사실인거다.  뭐 기대했던대로 첫부분에 왕의 하루에 대해 세세히 적고 있는건 사실이다.  왕이 아침에 일어나는 시각과 일어나 세수를 하고 식사를 하고, 윗전들께 문안인사를 하고, 경연을 벌이고 등등 그야말로 왕이 어떤 하루를 지냈는지 적고있긴 하다.  그런데, 그런 부분들을 나는 좀더 깊이있고, 중점적으로 다뤘으면 했었다.

 

앞부분에서 왕의 하루가 다뤄지자 이야기는 이제 그야말로 조선의 역사를 파고 들어간다.  소현세자가 죽게 되는 이야기, 어쩌면 연산군은 반역을 알고 있었으면서도 그저 살고자 하는 욕망이 그다지 크지 않았을꺼라는 새로운 해석을 곁들인 이야기 등등 어떤것들은 이미 알고 있었던 사실이고, 또 어떤것들은 색다른 시각으로 저자의 생각이나 사료를 통해 이야기 하고 있기도 했다.  하지만, 그건 사실 <왕의 하루>라는 제목보다는 그저 <조선왕조실록>의 이야기에 더 맞는게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해본다.   저자가 조선왕조실록을 엄청나게 읽었고, 역사에 대한 이야기들을 세세히 조사해 적은터라 더 그렇긴하지만, 난 정말 "왕의 하루"를 소상히 자세히 알고 싶었던거 뿐이거늘........  이야기가 다른 곳으로 막 새는거 같아서 좀 안타까웠다.  내가 원한건 조선전체를 아우르는 이야기가 아니었기에 좀 아쉬움이 남았다고 할까.  저자의 방대한 조사에 대해서는 박수를 보내지만 아쉬움이 드는것도 사실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