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불안해하면 안 되나요? 왜 안 되나요? 시리즈 16
김지현.황준원 지음, 천필연 그림 / 참돌어린이 / 201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는 불안증을 안고 살아가는 사람이다.  세상의 온갖 걱정, 고민거리는 내가 다 지니고 있고, 집을 지었다 부수기를 반복하는 생각들이 온 머리로 가득하다.  사실, 그래서 처음 임신을 했을때 내 이런 성격이 아이에게 영향을 끼치지 않을까 무척 걱정했다.  산모가 맘이 편해야 한다는데 나는 좀 그러질 못해서 우리 꼬맹이가 태어나면 나의 이런 걱정과 고민을 갖게될까봐 두려웠었다.

그런데, 아직은 모르겠지만 현재로선 우리 꼬맹이는 성격이 밝고, 개구쟁이에다 겁이 없다.  그런면에선 나와 완전 반대라 지금은 '휴~다행'이라고 생각하고 있다.  물론, 아직은 좀 더 지켜봐야 하지만 말이다.

 

이책은 사실 그런의미에서 우리 꼬맹이도 그런 느낌을 가지고 있지 않은가 해서 비교해 보고자 읽은 동화책이기도 하다.

발표를 하게되면 얼굴이 붉어지며 가슴이 두근거리는 친구.(그러고보니 내가 학교다닐때 그랬구나.  지금도 그렇다.  그런데, 난 그냥 꿋꿋하게 한다.  심장 떨려가면서....), 친구가 뭔가를 물어도 수줍어 대답을 잘 못하는 친구.  그래서 괜스레 자신과 친해지는걸 싫어하나보다 하는 오해를 받게되는 친구등등 아이들이 어릴적 가질 수 있는 불안에 대한 이야기들이 가득하다.  그리고, 그런 아이들의 상황을 어떻게 대처하고 변화할 수 있는지에 대한 이야기들이 들어있다.

 

책을 읽으면서 내가 괜스레 '이건 어릴적 내 얘기구나.'라는 생각도 하고, 조금은 이해 안되는 경우도 있어서 우리 꼬맹이의 상황을 대비해보며 읽으면 꽤 도움이 될거 같은 생각이 들었다.  게다가 요즘은 아이들은 생각보다 불안증이 많다는 사실이 오히려 더 놀라운 일이 아닌가 싶다. 

 

세상이 변해가매 있어 아이들도 읜湯� 즐거워해야 할 일보다 과잉보호로 나약해져서 조금만 작은일을 겪어도 불안해 지는 경향이 많아지니 아이의 독립심을 키우기 위해서는 어느정도 아이의 독립성과 사생활을 지켜주되, 이야기도 많이 들어줘야 한다는 걸 깨닫기도 했다.  특히나 과잉보호는 아이를 사랑하는게 아니라 아이를 더 힘들게 할 수 있다는 생각이 들어서 나는 그런 엄마가 아닌가 하고 되돌아 보는 계기가 되기도 했다.

 

모든게 두려운 아이들이여.  우리 모두 힘을 내서 외쳐보자.  "이런 두려움 따위 별거 아니라"고.  이겨낼수 있다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