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머사회 - 솔깃해서 위태로운 소문의 심리학
니콜라스 디폰조 지음, 곽윤정 옮김 / 흐름출판 / 2012년 8월
평점 :
절판


큰일이다.  요즘 책 한권을 들면 이상하게 진도가 안나간다.  이책만해도 읽기 시작은 애저녁에 엄청 일찍 시작했음에도 한권을 오지게도 오래 들고 있었다.  사실, 이런 책이 재밌게 쓰면 진짜 재밌지만, 연구와 사례를 바탕으로 이야기가 전개되다보면 좀 지루한 면이 없지 않아 있기에 그런부분에서 꽤 애를 먹고 있었던거 같다.

 

정말 나는 솔깃했다.  이런 루머들에 대한 보고서라면 과연 어떤 이야기들이 담겨있을까?  그리고, 사람들이 루머에 솔깃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그리고 그들의 심리는..?  이라는 호기심이 강하게 일었다.  하지만, 실지 생각해보면 나역시도 소문을 양산해내는 인물이기도하고 소문을 터트리는 인물이라는 사실을 간과하고 있었다.

 

실례로 예전에 나는 모 아나운서 둘이 얼굴과 이름이 비슷하다는 이유로 전혀 근거도 없으면서 자매라고 주위사람들에게 말했었다.  무슨이유에선지 난 그 사실(아니, 소문)에 확신이 있었다.  흔하지 않은 성도 비슷하고, 얼굴도 비슷하지 않은가 말이다.  이럼서 주위사람들에게 저두사람은 자매야~!라고 확신을 했던 말도 안되는 소문을 퍼트렸던거다.  결국 후에 그녀들은 당최 아무 연관이 없고 단지 같은 방송사 선후배간이라는 사실을 알았지만, 그 사실을 난 사람들에게 말하지 않았다.  왜 그랬을까?  진실을 다시금 되돌리며 사실대로 말했어야 한거 아닌가? 하는 생각을 요즘도 가끔씩 하지만 그냥 이런 기분이었던거 같다.  '뭐 별거아닌 사실이니까 그냥 내실수(?)쯤은 그냥 넘어가지' 라는 가벼운 생각.  그런데, 만약 내가 퍼트렸던 그 소문이 큰 사건이었다면 어떻게 됐을까?  그건 정말 걷잡을수 없을 정도로 커져서 어쩌면 온 동네(?)가 떠들썩 해져 버렸을지도 모른다.  그렇게 소문은 양산되고, 사그라들지 않는것이다.

 

이책엔 내가 했던 일들처럼 소문이 도는 이유와 왜 그런 심리로 소문들이 커져가는지에 대한 사례와 연구들이 가득하다.  일단 사람들은 불안하면 소문에 더 쉽게 녹아들고 더 빠른속도로 소문을 퍼트린다.  사실이 아님에도 소문을 들었다고 생각되어지면 사람들은 선입견을 갖고 사람을 대하거나 기업의 이미지를 대한다.  그래서, 경쟁자의 입장에 놓인 사람들은 사실이 아닌 루머들을 퍼트려 상대의 이미지를 망치거나 매출을 떨어트리는 효과(?)를 얻는것이다.  결국 사실이 아님을 상대방이 주장해도 사람들은 쉽게 마음을 돌리지 않느다.  그러기에 이미 선입견에 길들여져 버린것이다.  이런경우엔 소문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표현과 실제 사실들을 논리적으로 반박하라고 말하고 있다.  물론, 때와 장소를 가려서 말이다.

 

대체로 소문이 자판기나 정수기등..적어도 두사람 정도가 담소를 나눌수 있는 장소에서 양산되어진다는 사실은 알고 있었으면서도 이책에서 그부분을 언급할땐 아하~했었다.  그렇다.  소문이란 결국 사람과 사람의 소통속에서 점점 살이 붙고 커져가는 것이다.  그러니, 사람들이 가벼이 담소를 나눌수 있는 장소는 최적의 소문진앙지인거다. 

 

책이 꽤 공들여 쓰여진건 읽으면서 느낄수 있을정도로 진지한 얘기들이 깊게 다가온다.  단지, 흠......  지루한건 어쩔수 없었던 부분이 있다.  꽤 흥미로웠지만, 길게 들고 읽어야할만큼 머리도 좀 아팠던 것도 사실이다.  루머사회..결국 그건 끝나지 않는 네버엔딩 스토리가 아닐까?  이세상에서 소문(루머)가 없어지는 일은 없을테니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