딩씨 마을의 꿈
옌롄커 지음, 김태성 옮김 / 도서출판 아시아 / 2010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나는 아픈소설은 싫다.  아파서 아파서 눈물마져 나오지 않는 소설은 싫다.  그냥 요즘은 마냥 웃고싶고, 즐겁고, 재미난 소설을 읽고싶다.  그런데, 어쩌다 나는 이 <딩씨마을의 꿈>이라는 책을 만난건가......

 

그래도 책 제목에 "꿈"이 들어가지 않은가?  그래서 나는 어쩌면 희망을 생각하고 미래를 믿었는지도 모르겠다.  그래서, 나는 책을 덮는 순간 느끼는 아픔을 전혀 생각하지 않았는지도 모르겠다. 참, 지지리도 읽으면서 아팠고, 엄청나게도 시간을 끌게 만든 책이다.  왜 그런지 이유는 모르겠지만......

 

처음 "매혈"에 관한 이야기가 나올때만 해도 왠지 또다른 <허삼관매혈기>가 나오나? 하는 생각을 했더랬다.  그렇치만 일단 도입부에서의 글도 심상찮았고, 작가마져도 중국에서 금지된 책이고 어쩌고 하는걸 보니 위화의 책처럼 유쾌하고 재미나게 읽을 수 있을거라는 생각은 애시당초 접었다.  그래도 "매혈"이라는 단어만 봐도 허삼관 아저씨가 생각나는걸 보니 그 파급효과는 대단한거 같다는 생각을 해본다.

 

그런데, 정말 중국은 매혈을 했나보다.  아니면 지금도 하고 있을까?  이건 정말 책과는 딴 얘기지만, 우리나라도 매혈을 하면 어떨까? 하는 생각을 해본다.  늘 피가 모자라서 외국에서 사오는 실정이고 보면 피를 팔아 용돈이라도 벌어 볼 수 있는 사람들에겐 기회가 되지 않을까 하는........ 음, 바보같은 생각인가?  그래도 요즘처럼 피가 모자른 것보다는 낫지 않을까? 라는... 뭐 그런 느낌이랄까...

 

아, 책 내용으로 돌아가자.  이책은 매혈이 근본적인 이유로 에이즈가 창궐하긴 하지만, 사실 그 주된 깊숙한 곳에는 인간의 욕심과 본성을 끊임없이 보여주고 있다.  누가 죽어나가든, 돈만 벌면 된다는 딩후이라는 인간과 죽음앞에서도 권력을 탐하고 싶어하는 사람들, 그리고 조금이라도 자신의 몫을 차지하고 싶은 이들.  모든 하나하나의 인간 군상들이 등장해 딩씨마을을 지키고 있는 할아버지의 삶에 아픔을 안겨준다. 물론, 죽음앞에서도 어쩌지 못하는 가슴아픈 사랑이야기도 있다.  하지만, 그 모든것들이 결국 허무하고, 삶이란 자체가 그다지 큰 기쁨일수도 없건만 인간의 욕망은 끝이 없음을 적나라하게 드러낸 것 같아서 책을 읽을수록 인간이란 존재에 대해 깊이 생각해 보는 계기를 마련해 준 시간이 아닌가 싶다.

 

나 역시 이런 상황이라면 이들 중 한명의 모습으로 밖에 살아갈 수 없겠지만, 그래도 인간말종짓은 하지 말아야할텐데, 하는 느낌을 가져보기도 했다고나 할까.......

 

딩씨마을을 통해 우리는 우리자신을 다시한번 들여다보며, 인간이라는 자체에 대해 더 돌이켜보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을거 같은 생각이 든다.  하지만, 그 속을 들여다 보는 것 자체가 얼마나 부끄럽고, 큰 아픔으로 다가오는지는 각자의 몫일 듯 하다.  일단, 나는 무척이나 아팠다.  그래서, 읽으면서도 진도 빼기가 쉽지 않았던 책이다.  화가 나기보다는 아픈책이다.  무척이나 가슴아픈책.......  그리고, 무엇보다 아쉬운건 딩씨마을에 "꿈"은 전혀 존재하지 않았다는 거다.  꿈이 사라져 버린 마을......... 무엇이 그렇게 만들었는지 그건 우리자신만이 알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