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차가운 밤 ㅣ 세계문학의 숲 4
바진 지음, 김하림 옮김 / 시공사 / 2010년 8월
평점 :
참 표지한번 멋드러지 고나. 중국의 전통의상이 돋보이는 이 책은 그야말로 표지에서부터 나를 확 사로잡는다. 고전에 대한 기대감이 있고, 그러면서도 늘 고전을 읽고나면 힘들다는 느낌이 남지만 언제나 고전을 찾게되는게 이상하기도 하면서 그게 또 고전의 매력이고 힘이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한다. 사실 바진이라는 작가에 대해서는 잘 알지 못해 이렇다할 느낌은 갖지 못했지만 일단 표지를 보고, 중국문학이라는 사실하나만으로도 믿음을 가져보자고 했다. 가끔씩 읽게 되는 중국문학에는 뭔가 말로 표현하지 못할 묘함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일단, 이책을 읽으면서 나는 한 사람을 두고 두가지 생각으로 엄청난 갈등을 해야했다. 거의 딱 세사람의 등장으로 이루어진 이책은 왕원쉬안, 그의 어머니, 그리고 그의 처 수성이 이책의 모든 부분을 차지한다. 그중에서도 나는 주인공보다 왕원쉬안의 아내인 수성에게 촛점이 맞춰져 버렸다. 내가 여자인 입장이라 그런건지, 아내라는 타이틀을 가진 이유때문인지 어떤지는 확실히 알 수가 없지만, 아무튼 나는 지지리 궁상에 병약하기만 한 왕원쉬안보다 그의 아내 수성의 갈등상황에 직면했고, 그녀의 선택을 눈여겨 보는 입장에 가까웠다.
사실, 이책은 그야말로 단조로움의 연속이라고 해야옳다. 전쟁의 암울함속에 모두들 힘들어하는 삶, 거기에 더해 왕원쉬안은 고부간의 갈등을 감당해내야 하는 처지에 빠져있다. 부부간에 서로 사랑은 하지만, 그 사이에 어머님이라는 존재가 끼어드는 상황에서 우리의 허약한 주인공은 이도저도 어쩌지 못하는 상황에서 헤매는 것이다. 거기에 생활은 점점 더 궁핍해지고, 그것을 견뎌내기엔 왕원쉬안은 너무나 나약하고 허약하다.
단조로움과 함께 늘 주인공들의 같은 이야기의 갈등을 읽다보면 누구든 무슨 액션을 취해주길 바라는 마음이 책을 읽으면서 들게 마련이다. 하다못해 어떤 결론이라도 빨리 지어져버렸으면 하는 안달함이랄까. 이책이 딱 그런느낌이 든다. 그들의 갈등과 고민은 해결될 줄을 모르고 늘 한자리를 머무른다. 왕원쉬안은 아내를 놓아줘야하나 잡아야하나로 고민하고 그녀는 사랑하는 남편을 떠나기엔 가슴이 아프고, 지지리 궁상으로 그의 병상을 지키자니 미래가 없고 허망하다.
책을 읽으면서 나는 수성의 입장에 놓여 '얼른 이집을 나가버려' 라고 마음속으로 소리치기도 하고 '안돼, 그래도 이 어려운 시기에 남편을 버린다는건 정말 인간으로서 할 도리가 아니야' 라고 생각하기도 했다. 여자의 일생으로 보자면 수성이 그를 떠나는게 맞다고 손뼉을 쳤지만, 그래도 가족이라는 울타리를 생각하면 그녀가 너무 이기적이지 않은가 하는 생각을 해야만 했다. 물론, 결론에 이르러서는 웬지 감상적이게 되고 말았지만 말이다. 그녀의 선택을 존중하지만 뭔가 좀 걸리는게 많아지는 것도 사실이고.......
차가운 밤 속에서 살아가는 그들의 이야기가 단조롭게 이어진다. 그리고 그 속에서 그시절의 암울함과 인생을 이야기한다. 그리고 그들의 갈등을 이야기하고 있다. 깊이 있는 뭔가 묵직함이 울리는 책이 아닌가 싶다. 단조로움속에서 복잡다단한 인간상이 아프게 울리는 책이다. 그래서 더 기억에 남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