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바리데기
황석영 지음 / 창비 / 2007년 7월
평점 :
얼마전 황작가님의 "강남몽"을 읽고, 또다른 황작가님의 책이 읽고싶어서 내 책장을 휘둘러보니 "바리데기"가 보였다. 솔직히 말하면 내가 좋아하는 스타일의 글은 아니지만, 웬지 시대적 아픔을 잘 표현하는 듯 해서 한번 읽으면 다른책들도 궁금하긴 하다. 워낙 유명한 분이시지만 내가 만난책은 "심청1,2권"과 "강남몽"이 전부였다. 그리고, 이번엔 "바리데기"를 만난것이다.
사실 처음 이 책을 선물받았을때 "바리데기" 라는 뜻이 무척이나 궁금했었던 기억이 난다. 물론, 원체 귀찮은 성격으로 결국 찾아보지도 않고 책장 한구석에 쌓아둬 버렸지만 말이다. 그리고, 읽으려고 책을 들었을때 다시금 '무슨뜻이지?' 하고 갸우뚱 거렸다. 도저히 감을 잡을 수가 없었기 때문이다. 해녀들을 가리키는 "비바리"들과 비슷한 느낌이 아닐까 어렴풋이 생각은 했었지만 어쨌거나 확신은 없었다.
처음 몇장을 읽어가면서 탄식을 내질러야했던건 웬지 예전에 읽은 "심청"이 생각났기 때문이다. 모진 고생도 고생도 그런 고생이 없이 한여인의 삶이 참으로 안타깝고 아프게 그려졌었기에 이 책 역시도 그런 느낌으로 나아가자 나는 다 읽기도 전부터 마음이 아려오기 시작했다. 늘 극한으로 주인공들을 밀어넣는 그 느낌이란......
결국 바리데기는 우리의 주인공 바리의 이름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북한에서 일반인들보다는 먹고 살 형편이 나았으나, 외삼촌이 남한으로 넘어가는 바람에 온 집안이 그야말로 풍비박산이 나고, 가족들은 뿔뿔이 흩어진다. 그런 와중에서도 바리만은 어린나이에도 겨우겨우 살아남아 중국으로 넘어갔다가 결국엔 저 머나먼 영국땅까지 밟게 된다. 어릴적부터 뭔가 과거를 보고 미래를 보는 눈이 있었던 바리는 어려움속에서도 꿋꿋히 자신을 다독이지만 세상살이가 정말 녹록치 않고 쉽지 않다. 알리라는 무슬림 남자와 결혼을 하지만 테러로 촉발된 사건으로 남편이 실종되고 딸 순이까지도 잃게 된다. 과연 우리의 바리에게는 희망이라는 것이 존재하는가?
책을 읽으면 읽을수록 아파서, 책장이 넘기기가 두려울 정도였다. 도대체 어쩌면 이렇게 한 여인의 삶이 기구할수 있단 말인가. 같이 아파하고자 해도 너무 큰 아픔이어서 생각만으로도 마음이 찡하고 답답함이 느껴졌다. 그런데, 읽어갈 수록 뭐랄까. 몇년전에 읽었던 "심청" 과 비슷한 맥락의 소설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물론, 바리가 지닌 신적인 능력은 심청에겐 없었지만, 그 모티브는 비슷한게 아닌가 하는 느낌이 들었다. 책을 다 읽은 후 작가의 말에서 연작 소설의 느낌이 없지 않다는 걸 알게됐지만 또다른 심청을 만났다고나 할까.
현시대적인 남북분단속의 굶주림과 실제 9.11테러를 다룬 이야기들이지만, 간접적인 느낌만으로도 너무 아파서 읽기가 버거운 책이었다. 시대적 아픔이 이리도 큰 여인이 실제 존재하겠지만 나는 요즘 이렇게 아픈 소설은 싫다. 바리는 꿋꿋했지만, 읽는 내가 버거웠던 소설이 아니었나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