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청춘극한기
이지민 지음 / 자음과모음(이룸) / 2010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청춘" 이라는 단어는 언제들어도 설렌다. 그시절 내가 무엇을 하고 보냈는지는 몇년지나지도 않았지만 아득한 느낌만 오고, 그때를 즐기지 못하고 조바심만 내며 하시절을 보낸건 아닌지 하는 아쉬움도 든다. 젊어 고생은 사서도 한다는데 그 청춘에 극한기가 왔으니 무언가 호기심이 바짝 일었었던거 같다.
정말 재수 없는 나 옥택선은 몇년만에 나간 소개팅자리에서 처음으로 소개팅을 나왔다는 과학자에게서 이상한 바이러스가 옮겨져 버린다. 말도안되게 사랑을 해 버리는 바이러스. 사람을 들뜨게 하고 마치 사랑에 빠진듯한 느낌이 들게하는 바이러스. 그러나, 그 바이러스는 꽤 치명적이다. 자신을 잡으러 오는 당국의 사람들과 자신에 바이러스를 옮긴 사람의 부탁으로 같이 치료제를 찾아 나서는 이균. 어줍잖은 SF적 모험담이 아니라 한창 우리나라에 신종플루가 유행하던 시기의 이야기들까지 끼여있어 사실적으로 와 닿기도 한다.
하지만, 정말 사랑을 빠지게 하는 바이러스가 있을까? 물론, 우리가 서로 감정을 느끼고 사랑충만한 마음을 갖는다는건 뇌의 조종에 의해 뭔가 있기 때문이긴 할것이다. 그러나, 그것이 사람과 사람간에 옮겨지는 바이러스로 인해서 생겨나다니...... 뭔가 새로운 이야기 거리이긴했다. 그러나, 조심해야할건 이런 주제를 가진다면 스토리가 삼류 로맨스로 빠질 기미가 농후하다는 거다. 그래서, 읽는 내내 나도 이 얘기가 시작되자 마자 '뭐야? 찌질이 로맨스야?' 라는 오해를 할뻔했다. 하지만, 그건 나의 착각이었다고 해야하나? 적당한 유치함이 존재하지만 그런 로맨스는 아니다. 정말 치료제를 찾아 나서는 우리의 청춘이 있으니 말이다.
작가의 스토리를 이어가는 맛은 생각보다 조금 부족하지만, 그 내용속에 간간이 튀어나오는 문장들이 꽤 읽는 맛을 더했다. 감각적이기도하고 생각못했던 이야기들을 툭툭 던져주기도 하고, 읽는 내내 그런 글맛에 매료됐다고 해야할까? 스토리를 길게 이어가면서 조금 유치한 면만 보완이 된다면 꽤 멋진 작가로 이름을 알리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해 본다. 청춘이 유치하지만, 이야기까지 유치해져버리면 곤란하지 않은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