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숙빈 - 숙종시대 여인천하를 평정한 조선 최고의 신데렐라 숙빈 최씨
김종성 지음 / 부키 / 2010년 4월
평점 :
절판


드라마 "동이"를 보진 않치만, 요즘 최숙빈을 재조명하는 책들이 많이 나타나고 있는듯하다.  드라마의 편성에 붐해서 확 일어나는 유행처럼 한쪽으로 치우치는 것은 경계해야하지만, 역사속에서 묻혀져 있던 인물들을 끄집어 내 새로움을 알게 해준다는 것은 무척 좋은 일이라고 생각한다.  물론, 드라마를 잘 보지 않아서 모르겠지만 얼마전 감독이 80프로는 소설적인 내용이라고 하니 역사적 고증없이 흥미위주로 재조명되는건 좀 위험한 일이 아닌가 싶다.  그런점에서 드라마를 챙겨보지 않는건 어쩌면 잘한 일인지도 모르겠다.  일단은 역사를 좋아하는 나로서는 어느정도 고증을 거친 역사가 좋다.  너무 허구적인 이야기로 꾸며진 소설이나 드라마보다는 사실에 입각한 역사가 좋은 것이다.  그런의미에서 "최숙빈" 영조의 어머니를 찾아 나서는 이야기를 접하게 된건 무척 기쁜일이다.

조선시대 3대 성군중에 든 영조의 어머니에 대해 많은 사료들이 남아있지 않은건 무척 아쉬운 일이고, 이제껏 재조명 되지 않은건 아쉬운 일이긴 하나 지금이라도 이렇게 새로이 부각되는것이 역사를 제대로 알지 못하는 나에게는 고마운 일이 아닐수 없다.  역사는 알면 알수록 목마르고 깊이 알고싶어지기에 새인물의 재조명은 그만큼 내 목마름을 조금은 축여주는 일이 아닌가 싶다.  역사서나 드라마에서 언제나 무수리로 등장하는 탓에 나역시도 늘 영조의 어머니는 궁녀중에서도 하급층에 분류되는 무수리로만 생각했었다.  하지만, 일단 이책에서는 무수리라고 명확한 근거는 없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물론, 천애 고아이고 다른 왕들의 모후에 비하면 하찮은 계급임은 분명하니 영조가 신분에 대한 콤플렉스가 대단했다는 것은 익히 알고 있는 사실이었다.  

언젠가 "장희빈"이라는 드라마에서 최숙빈으로 분한 여자탤렌트가 참하고, 심성도 고왔으며 그에 비해 강단도 있었기에 그 드라마속 이미지가 지금도 솔직히 최숙빈에 대한 이미지로 남아있었다.  그런데, 책을 읽다보니 최숙빈의 외모나 심성이 그와 비슷한듯 하다.  숙종을 처음 대면한 자리에서 폐위된 인현왕후의 생일상을 차리고 있었다 말할 수 잇을 정도로 강단이 있었고, 대담성이 있었다.  그리고, 의리 또한 있었다고 할 수 있다.  자신이 모시던 윗어른에 대한 예의와 옳은것에 대한 굳은 심지라고 해야하나.  게다가 복잡한 당파싸움에서 자신의 자리를 알고 무소속적인 이미지를 높이면서도 실리를 챙긴 그야말로 조선시대 신데렐라라고 할 수 있었다.  최하위 궁녀의 신분에서 영의정 정도의 빈이 되기까지 파란만장한 사건들도 있었지만, 그 만큼 자신의 자리를 알고 처신을 제대로 행해 이어진 일이 아닌가 싶다.

일단 인현왕후와의 인연으로 서인쪽에 가까웠던 최숙빈은 숙종의 총애도 남달랐다.  숙종은 악독한 장희빈에 휘둘린 인물이기보다는 책속에서는 당파싸움속에 여인들의 운명을 흔들었던 임금이 아니었나 싶었다.  서인과 남인을 서로 경계하며 저울질 하면서 서인의 편을 들때는 장희빈을 내치고 남인의 편을 들때는 인현왕후를 내치는 정치를 하므로서 어느정도 당파싸움에서 주도권을 경계하면서 군신간에 서로 쉽게 볼 수 없음을 이용한게 아닌가 싶은 마음이 들게했다.

흔히들 숙종시대 장희빈과 인현왕후의 대립구도로 이어가지만, 실지 장희빈과 최숙빈의 대결이 더 대단했고 목숨을 내걸고 싸웠음을 이 책에서는 새롭게 제기하고 있었다.  나 역시도 이제껏 그 두 여인이 주인공이라고 생각했었는데 책을 읽다보니 정말 최숙빈의 비중이 대단했었음을 실감하지 않을 수 없었다.  최숙빈으로 인해 장희빈의 목숨이 좌지우지 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었다.  복잡한 당파싸움속에서도 자신의 아들이 왕이 되고 조선시대 성군으로까지 키워낸 최숙빈이야말로 당파싸움 여인천하속에 최후의 승자가 아닌가 하고 저자는 설명하고 있었는데, 읽고 보니 그런 느낌이 강하게 들었다.  외국에 신데렐라만 있는 것이 아니라 우리나라 조선시대에서 어느순간 펑하는 유리구두를 거머쥔 최숙빈이 있었음을, 그리고 그 최숙빈이 역사의 한 획을 그었음을 잊지 말아야 할듯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