끝내주는 회장님의 애완작가
리디 쌀베르 지음, 임희근 옮김 / 창비 / 2010년 5월
평점 :
절판


요즘 프랑스의 비꼬는 풍자가 좋아서 일부러 소설을 찾아 읽곤 한다.  예전엔 무조건 심각하다고 생각했었는데, 최근들어서 프랑스의 소설들을 읽다보니 특유의 비꼬는 듯하면서도 웃음을 주는 얘기들이 깊이있게 와 닿아서 좋아하게 됐다.  덕분에 프랑스 문화에 대해 조금은 쉽게 다가갈 수 있는 마음의 여유도 가졌다.  물론, 다른 나라의 문화를 모두 이해한다는 건 쉽지 않은 일이고 아직도 이해못하는 부분들이 무척이나 많치만 말이다.

이책 소개글을 봤을때 내가 좋아하는 주제이고 이야기 꺼리일꺼라는 기대가 있었다.  아는사람의 추천으로 눈여겨 보고 있었던 것도 있지만, 아무튼 이제까지 내가 겪어온 프랑스 소설 특유의 웃음이 있을거라는 기대감이 있었다.  제목도 너무 유머러스하지 않은가.  끝내주는 회장님, 그리고 우습게도 애완작가라는 명칭까지.

그런데, 기대감이 조금 컸나보다.  책은 두껍지 않고 가독성은 있어서 엄청나게 잘 읽히는데 반해 웃음을 주는 코드가 어디인지 감을 잡을 수가 없었다.  그리고, 저자의 의도인듯 하지만 ~고, ~고 라는 문장이 무척이나 많았고, 가로가 너무 많았다.  일부러 그런 의도적인 면모를 보인듯하지만, 책 읽기에는 그런 반복적인 어법이 쬐끔 거슬렸고, 가로의 얘기들이 너무 많아 집중하기가 좀 힘들기도 했다.  하지만, 그런면만 아니라면 내용인 측면은 무척이나 재밌게 읽어나갈수 있는 부분이었다.  

세계최고 갑부인 토볼드에게 고용된 작가.  토볼드 복음을 만들기위해 고용된 자칭 애완작가는 늘 "이거 메모했어? 이거 메모해."라는 말을 들어야했고, 문학적인 측면보다 토볼드의 호화로운 생활에 점점 자신도 물들어가는 스스로를 발견하고 자괴감에 빠진다.  빠져나오려면 할수록 호화로움속에 자신이 길들여져 버리는 것이다.  일단 외부적으론 책을 만드는것이 비밀이어야하기에 토볼드의 세컨드쯤으로 여겨지는 우리의 작가는 열달정도 토볼드를 옆에서 관찰한 얘기들을 토볼드가 자신의 삶을 괴로워하며 자선사업가로 돌아서는 시점에 그 자리를 박차고 나와 성서적 느낌이 아닌 한인간을 조명하듯 적어내려간다.

토볼드라는 인물이 독재자적이고, 돈만 밝히는 인물로 그려지지만 밤마다 잠들지못해 괴로워하는 그를 보면 웬지 모를 연민이 생기는 인물이다.  작가앞에서 거리낌없이 행동하지만 외로움이 그만큼 배어있다는 느낌을 지울수 없다.

옮긴이의 글을 보자면 무척이나 재밌는 책이었다는 느낌이 드는데, 원서로의 느낌을 알수 없는 나는 보통정도의 느낌만 와 닿는다.  크게 깊이 있게 와 닿기에는 집중력이 조금 부족한 책이 아니었나 하는 느낌을 가져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