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리언 그레이의 초상 현대문화센터 세계명작시리즈 26
오스카 와일드 지음, 하윤숙 옮김 / 현대문화센터 / 2009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오스카와일드의 "행복한 왕자"를 읽으며 어린시절을 보냈다.  감동적인데다 생각할 거리를 많이 던져준 그 책에 대한 무한한 애정으로 그의 이름을 발견하자마자 즐거운 맘으로 책을 집어 들었던거 같다.  특히나, 요즘 좋아하던 고전을 제대로 읽어보지 못해 간만에 만나는 고전소설은 나를 흥분되게 했다.

이책은 도리언 그레이라는 젊은 청년과, 그 청년의 초상화를 그린 바질, 그리고 청년을 타락의 길로 끌어드리는 헨리라는 세남자의 이야기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우연히 바질이라는 화가의 모델을 서게된 도리언 그레이는 바질의 화실에서 헨리를 만나게 된다.  바질은 헨리가 도리언 그레이를 타락의 길로 인도하게 될까 불안해 하는데 아니나 다를까 어린시절 남의 귀에 혹한다고 해야할지 도리언 그레이는 헨리에게 호감을 가지게된다.  그리고, 그 셋이 모인 자리에서 젊음에 대한 부질없음을 얘기하며 자신의 초상화가 모든 악을 지니고 늙어가고 자신은 젊음을 그대로 유지한다면 악마에게 영혼이라도 팔겠다는 부질없는 욕심을 부린다.  하지만, 어찌된 일인지 바질에게서 선물받은 초상화는 도리언 그레이가 사악한 일을 벌일때마다 점점 악인으로 변해가고 그는 그대로의 젊음을 유지하게 된다.  실제 자신의 소원이 이루어져 버린것이다.  게다가 그 사악함으로 인한 초상화의 모습은 징그럽기까지하다.  자신이 사랑한다고 생각한 여인을 하루아침에 차 버리고 돌아선 그가 그녀의 죽음에 대한 일말의 책임감도 느끼지 않자, 사진속의 모습은 말 그대로 추악한 모습으로 변해있었다.  도리언 그레이가 쾌락속에 악마와 손을 잡으면 잡을수록 사진속의 초상화도 점점 추악해 지는 것이다.  그 사실이 즐거우면서도 자신의 초상화 보기를 두려워한 도리언 그레이는 그 분노와 좌절을 바질에게 분풀이 한다.  결국 그를 살해하고 점점 더 악귀가 되어가는 도리언 그레이.  그의 악의 끝은 어디인가.  그가 원하는 젊음은 평생을 유지될 것인가.

읽는 내내 일어날수 없는 일이 일어남을 의아하게 생각했지만, 안타깝게도 더욱더 타락의 길로 들어서는 도리언 그레이에 대한 연민마져 생기는 느낌이었다.  물론, 절대 그를 이해할수는 없지만 말이다.  그런데, 고전소설이라 번역에서 오류가 난 것일까? 아니면 오스카 와일드 자체가 그런 난해한 문장들을 써 낸 것일까?  읽는 내내 줄거리를 얘기할 수 없을 정도로 난해한 소설이었다.  도리언 그레이와 헨리의 대화는 겉돌았고, 깊이를 깨닫기 보다는 활자를 읽어내는데 급급해야했다.  물론, 그걸 나의 무지로 탓한다면 어쩔수 없지만 말이다.  한마디로 읽는내내 지루함이 극에 달해 한권을 읽는데 무척이나 오랜 시간이 걸렸다.  좀 아쉬움이 남는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