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불꽃처럼 나비처럼 2
야설록 지음 / 형설라이프 / 2009년 9월
평점 :
책을 읽어내려가면 갈수록 영화속의 주인공인 조승우와 수애와 겹쳐진다. 표지에도 그들의 모습이 있기에 책속 주인공 무명과 민자영의 모습이 자꾸만 겹쳐지는 것이다. 불행인지 다행인지 아직 영화를 보지 않은 터라서 그들의 모습은 상상될 뿐 그들이 하나하나 이루어내는 연기는 그대로 흡수가 되지 않으니 고나마 다행이라면 다행인듯하다.
1권에서는 우연히 만난 민자영에게 반한 무명의 모습과 초반 무명의 어린시절이 주였다면, 2권에서는 횡보스님에게서 살아돌아온 무명이 민자영의 곁을 지키는 수비대로서 살아가는 모습을 보여준다. 내금위 대장이 되어 그녀가 가는 곳 어디든 그림자처럼 따라다니고, 한사람을 위해서라면 목숨 또한 아깝지 않음을 여실히 보여준다. 그리고 대원군과 민자영의 대립각과 그로인해 대원군 수하로 있는 이뇌전이라는 사내가 다시금 무명을 죽이는 순간이 오고, 민자영의 곁에서 점괘를 짚어주던 함선이라는 무당은 그런 무명을 거둬들여 죽을뻔한 그를 다시 살려낸다. 여기서는 함선의 사랑도 눈물겹다. 민자영을 향한 무명의 마음이 깊어질수록 그를 바라보는 함선의 마음은 더더욱 미어오는 것이다. 결국 대원군과 민자영이 벌이는 싸움에서 외세를 끌어들여 일본군이 "여우사냥"을 시작하고 그 사실을 알게된 무명은 자신을 지키는 함선의 사랑을 뒤로한채 민자영, 명성황후를 지키기위해 대궐로 향한다.
그들의 사랑은 용서될수 없지만 책을 읽다보면 결국 그들은 마음속 깊이 나눈 사랑의 마음으로 세상을 헤치며 살아간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었다. 특히나 무명은 민자영이라는 여인 하나만으로 숨쉴수 있는 이유가 있었고 목숨바쳐 살아갈 이유가 있었다. 오로지 한 여인을 위해 그렇게 변해버린것이다. 완전 허구속 얘기지만 웬지 있을법한 이야기다. 우리가 모르는 은혜하는 은인이 있을수 있고, 우리가 알지 못하는 만남이 있었을 수도 있다. 그러나, 분명한 것은 남모르는 사랑에 대한 것이 아니라, 끝이 없도록 한사람을 위해 서로가 서로에게 베푸는 사랑으로 살아가는 아름다운 연인이 있음을 보여주는 느낌이 드는 책이었다.
비록 역사적인 사실보다는 그들의 사랑과 무명이라는 한 젊은이에 관한 내용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그의 검을 다루는 모습이 사실적으로 묘사돼 있어서 읽은 내내 영화를 보지 않아도 한편의 영화를 보는 듯한 느낌이었다. 검이 등장하다보니 조금은 잔인한 면들이 그대로 속속들이 묘사되어 있었지만 그 만큼 사실적인 책이라는 표현이 맞을 거 같다. 그러나, 1권과 마찬가지로 조금은 지루했으며, 끊임없이 싸우는 이뇌전과 이무명의 싸움은 조금은 식상해 지는 느낌이었다. 게다가 무명은 늘 죽어도 죽지않고 불사신의 모습으로 살아나니 현실감이 좀 떨어진게 아닌가 싶은 생각도 들었다. 하지만, 민자영이라는 인물에게 이무명이라는 새로운 사람을 심어주는 독특한 발상은 무척이나 특이했고, 새로웠다. 그들은 과연 존재했던 사랑일까? 픽션인데도 웬지 그런일이 있었을듯한 생각이 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