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처입은 봉황 선덕여왕
김용희 지음 / 다산초당(다산북스) / 2009년 5월
평점 :
절판


 
선덕여왕에 대해 알면 알수록 더 궁금증이 인다.  그래서, 자꾸만 "선덕여왕"이라는 이름이 보이는 책을 발견하면 읽지 않을 수 없게 만든다.  두권의 소설을 읽었고, 역사가들이 펴낸 책을 두권, 텔레비젼 드라마도 열심히 시청하고 있지만 사료가 충분치 않음인지 늘 나를 부족하고 목마르게 하는것 같다.  비슷한 내용이 있기도 하고, 전혀 새로운 얘기들이 전개되기도 해, 역시 역사란 다각도로 살펴볼 필요가 있다는 생각을 다시한번 하게된다.  

선덕여왕을 다룬 소설책에선 주로 선덕여왕의 사랑에 초점이 맞춰졌었다.  자신과 언니의 남편이었던 용춘과의 얽히고 설킨 사랑이야기.  물론 선덕여왕도 사랑을 했을것이고, 그 시대 결혼관이 지금과는 무척이나 틀렸던 시대라 흥미진진하긴했지만, 그런 부분보다는 선덕여왕이 이루려했던 일들과 그 결과들에 대해서 더 알고싶었다.  그런 의미에서 이책은 나의 그런 궁금증을 어느정도 해소해 준듯하다.  게다가 새로운 시각에서 선덕여왕을 해석한 부분들이 많아서 또다른 눈으로 우리나라 최초의 여왕에 대해 알아가는 재미를 줬다.

불국토를 이루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한 선덕여왕.  그래서 엄청난 수의 사찰을 짓고, 황룡사 9층 목탑이라는 어마어마한 사업을 끝마쳤다.  다른 책들에서는 수많은 전쟁으로 지쳐만 가는 국민들의 마음을 다잡으려는 의도로만 해석했지만, 사찰이 들어섬으로서 그 주변의 상권들이 활성화 되어 시장경제가 발달하고 국민들의 삶의 질이 달라지는 점 등을 들어 마음을 하나로 묶는것 이상의 효과를 거두었다고 설명하고 있었다.  지금이야 사찰들이 산속 고즈넉한 곳에 자리를 잡았지만, 그 시대에는 시내 중심가에 자리를 잡고 앉아 사찰이 들어섬과 동시에 활발한 경제활동들이 있었다고 하니, 이제껏 알지 못했던 사실들을 알아낸 기쁨이 얼마나 큰지......
그외 선덕여왕이 국민들의 구휼사업에 힘썼으며, 전쟁이 없는 중에도 국민들의 민생을 돌봐왔다는 것은 전혀 뜻밖의 사실이었다.  웬지 우리나라 최초의 여왕이라는 타이틀로 여왕의 업적이나 사업같은 걸 폄하하려는 의도가 있다고 하더니, 여왕이 펼친 뜻깊은 정치는 조용히 사라지고 없어져 가는 것만 같아 안타까운 마음이 들었다.  지금이라도 재해석되어 텔레비젼이나 책으로 새로이 조명을 받는것이 얼마나 다행한 일인지 모르겠다.

가장중요한 것은 여왕의 죽음에 관한 의문점들이었다.  소설책에서는 병이 들어 자연사 했다고 하는 경우도 있고, 역사서에서는 비담의 난으로 인해 그들의 손에 사라져 갔다는 말도 있었는데, 이책에서 시도한 시각은 전혀 딴판이었다.  하지만, 그 역시 전혀 근거없는 내용이 아닌 저자가 여러가지 조사를 통해 추측한 내용임을 볼때 웬지 다른책들보다 더 신빙성이 더해지는 느낌이 든다.  자연사도 아니요, 난에 의한 처형도 아닌, 조용한 어느 사찰에 유폐되었을 가능성.  전혀 있을수 없는 일이 아닐뿐더러, 적당한 근거까지 제시되고 있으니 그쪽으로 마음이 더 쏠릴수 밖에......

점점 선덕여왕에 관한 책에 빠지다보니, 이번 책처럼 전혀 다른 시각과 새로운 사실들을 발견하게 됨이 무척이나 기쁘고, 새롭다.  비록 사료가 충분치 않아 연구하는 학자들이 어려움이 많아 우리역시도 깊이 있는 역사적 사실을 알지 못하지만 조금조금씩 새로이 알아가는 것들에서 즐거움을 얻는다.  역사의 신비로움을 다시한번 느끼는 계기가 된 듯도 하다.  선덕여왕, 과연 그녀는 누구였을까?  읽을 수록 궁금해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