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일째 매미 사건 3부작
가쿠타 미쓰요 지음, 장점숙 옮김 / Media2.0(미디어 2.0) / 2009년 5월
평점 :
절판


이책을 읽기전엔 내용과 제목의 연관성을 찾을 수 없었다.  그리고, 사실 기대했던 내용과는 달리 전혀 엉뚱한 방향으로 달려가는 글을 읽으면서 적잖이 당황했었다.  
가쿠다 미쓰요가 누군가?  맨처음 "사랑이 뭘까?" 라는 책을 접하며 아주 기겁을 했던 작가다.  일본작가에 대해서는 제대로 알지도 못하고 관심이 없었던 시절, 우연찮게 제목에 이끌려 구입해서 읽은책이 그녀의 책이었건만 그 무겁도록 칙칙한 내용과 숨쉬기 조차 힘들게 옥죄어 오는 책속의 주인공의 답답스러움에 책을 읽을때도, 읽고나서도 갑갑해서 다시는 그녀의 책을 만나고 싶다는 생각이 들지 않았다.  그만큼 그녀는 내가 접한 첫번째 작품에서 엄청나게 나를 힘들게 했다.  그리고, 몇년이 흐른후, 어느정도 이름이 알려진 그녀의 책이 단편이라는 이유로 집어들고, 예전의 그 답답함이 조금은 해소되는거 같아 새삼스레 그녀의 작품들을 되돌아 보는 여유가 생겼다.  하지만, 아직도 그녀의 책을 들자면 뭔가 많은 인내와 힘듦을 이겨내야 할 거 같은 생각이 든다.  그러다 간만에 만난 책 "8일째 매미".

유부남과의 사랑으로 온갖 마음의 상처와 고통을 받은 노노미야 기와코.  처음엔 그가 유부남인줄 몰랐고, 알고나서도 매달려 오는 그를 뿌리치지 못했다.  그래서 그 불장난같은 사랑으로 인해 소중한 생명이 잉태됐지만, 아직은 때가 아니라는 남자의 설득을 이겨내지 못하고 결국 낙태를 하게된다.  그러나, 유부남의 "이혼할꺼"라는 말을 믿어서는 안되는 죄 때문일까?  그의 아내가 임신을 하고 둘사이를 알게된다.  허구헌날 쏟아지는 아내의 악담과 소중한 아이를 낙태해서 벌을 받았다는 죄책감으로 다시는 임신을 하지 못하게 된 주인공은 몸도 마음도 부부에게 상처로 물들어 있었다.  한때 사랑했던 남자의 아이를 가까이서 한번만 보고싶은 욕심에 그들의 집에 들어갔다 우는 아이를 안는 순간 마치 자신을 이해한다는 듯한 아이의 표정에서 전혀 예상치 않게 아이를 안고 나오게 된다.  그리곤 시작되는 끝없는 도피생활.
친구의 집에 며칠을 머물고, 전혀 모르는 철거민촌 아주머니와 며칠을 보내고, 그렇게 전전하다 그녀는 "엔젤홈"이라는 사이비적 종교단체에 숨게 된다.  어떤 언론매체도 그 공간속으로 들이지 못한다는 것이 그녀에게는 큰 매력이었다.  그즈음 그녀를 향해 좁혀오는 수사망 또한 그녀를 그곳으로 몰아넣었다.  2년여가 넘는 시간동안 그 속에서 생활하며 아이를 마치 자신의 아이인양 착각하며 살아가던 그녀, 그러나 언제나 안정된 곳은 없었다.  엔젤홈이 경찰조사를 받을 위기에 처하자 아이를 데리고 섬으로 들어가 생활을 한다.  아무것도 없는 생활이지만 그 아이만 자신의 옆에 있다면 아무 걱정이 없었다.  단지 그것 하나로도 충분했던 것이다.  하지만, 범죄가 언제까지나 숨겨질수 있는건 아니다.  4년 반동안의 도피 생활은 우연히 찍힌 아마추어 사진작가의 사진 한장때문에 들통나고 잡히게 된다.

우선 1부는 그녀와 아이의 도피행각을 다루고 있었다.  모든 두려움에 휩쌓여서도 아이만을 키우려는 그녀의 마음.  한없이 쏟아지는 아이에게의 애정.  그게 모정이라고 할수 있을까?  일단은 범죄이므로, 그녀를 동정해서는 안되지만, 그게 참 쉽지가 않다.  그리고, 이어진 2부는 그 사건이 일어난 18년후 그 아이가 자라 겪는 고통들이 적나라게 드러나 있었다.  자신의 부모이지만, 자신을 볼때마다 범인을 떠올리는 엄마, 아빠 곁에서 어느쪽도 속하지 못하고 가족이라는 이름조차 어색해 겉돌기만 하는 아이.  그리고, 범죄자가 키웠단 이유로 자신에게 다가오지 않는 친구들 틈에서 그녀는 외롭게 자라난다.  왜 하필 자신이었냐고 고함쳐 보고 싶지만 그 결과는 어디에서고 되돌릴 수 없다.  결국 그런 원인을 만들어낸 아빠와 그녀, 그리고, 자신을 한없이 안아주지 못하는 엄마에 대한 원망으로 살아가는 힘을 얻는다.  어디에도 도피할수 없으므로, 원망안에서 편함을 얻는것이다.  하지만, 그건 일시적일 뿐이다.  근본적인 원인이 될수 없는 고통은 하루하루 그녀를 고통스럽게 했다.  땅속에서 몇년의 애벌래 생활을 하다 허물을 벗고 땅으로 올라와 7일만에 죽는 모든 매미들에 비해 8일째에 눈을 뜨게 되는 매미의 고통이 무엇보다 크게 느끼듯 남들이 보지 않는 것들을 본 그녀의 고통 또한 남들보다 2배이리라는 해석이 내려지지만, 책속에서는 그와는 반대로 희망을 얘기하고 있다.  아무리 남들과 달리 8일째 눈을 뜨더라도 그게 꼭 고통만은 아닐거라고,  남들이 보지 못한 또다른 세상을 향한 뭔가를 새로이 발견할 수 있을꺼라고......

부모도 자신을 키워준 범죄자도 용서할 수 없었던 아이는 결국 자신을 찾아 떠난 여행에서 모든것을 깨닫는다.  그리고,  체포되기 직전 그녀가 남긴 "그 아이 아직 아침밥을 안 먹었어요." 라는 단순한 외침에 그녀 역시도 엄마였음을 시인한다.  비록, 사회적으로 범죄자라 할지라도 자신에겐 엄마였음을.......
사실, 숨쉬기 버거울정도로 힘들게 했던 가쿠다미쓰요의 작품이었지만, 마지막 대사에서 눈물이 핑 돌뻔했다.  자신이 유괴범으로 잡히면서까지 아이의 허기를 걱정했던 그야말로 흔하게 보는 엄마의 모정이 엿보였다고 할까.  그녀는 결코 용서될수 없는 범죄자임에도 그 사실을 잊게 만드는 한마디가 아니었나 싶다.  그리고, 웬지 미워할수 없게 만들어 버린 그녀만의 슬픈문체.  그녀가 그런 유괴로 할수 밖에 없었다고 하는 당위성까지 독자에게 보여지니 책을 덮으면서는 혼란스럽기까지 하다.  그것이 그녀가 원하는 의도이든 아니든 이미 많은 독자들이 그런 감정을 느껴버리는 것이다.  먹먹해지는 느낌으로 책을 읽다보니, 어느새 뚝딱 한권이 다 읽혀지지만, 그 느낌의 끝을 헤아릴수는 없다.  마치, 답이 없는 문제처럼 더 혼란스럽기만 하다.  게다가 곳곳에 묻어나는 그녀의 슬픈문체는 그녀의 글을 읽기 힘들게도하고, 또 다른 매력속으로 끌어들이게도 한다.  어쨌거나, 새로이 그녀의 글에 중독되긴 된것같다.  이렇게 생각이 많아지는 것을 보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