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네가 잃어버린 것을 기억하라 - 시칠리아에서 온 편지
김영하 글 사진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09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김영하" 라는 작가가 우리나라에서 너무 유명해 그의 책을 읽어보고자 했지만, 아직까지 한권도 읽지못했다. 지인이 입에 거품을 물며 칭찬하던 작가이건만 생각보다 빨리 그의 작품을 만나지 못해 괜히 스스로 미안한 마음까지 들 정도다. 그렇게 까지 칭찬할정도면 어느정도일까 하는 호기심은 있지만, 여전히 호기심에 불과하다. 그런그가 여행에세이를 냈다는 사실이 특이했다. 그전에도 여행에 관련된 책이 있고, 다큐에도 출연했다고 하지만, 자세히 알지 못하는 난 처음이라는 착각을 했었다. 그래서, 소설을 쓰는 작가가 쓰는 에세이는 어떤맛일까 하는 기대감이 컸다고 할까.
어느정도 인지도를 쌓고, 대학에서 강의를 하고, 라디오 방송과 신문에 연재를 하는 바쁜삶을 하루하루 살아가는 작가에게 어쩌면 그 삶이 인생의 성공이고, 모든것의 다라는 생각은 공허한 메아리일 뿐일것이다. 자신이 바라는 삶이 그게 아닌지라 그런것들을 가졌다고해도 행복이라고 말할순 없으리라. 그래서, 학교를 그만두고 라디오도 그만두고 소설에 전념하기로 한 작가는 어느날 여행을 결심하게 된다. 그런데, 그곳이 "시칠리아"라는 뜬금없는 장소였다. 이탈리아의 자치주이자 지중해 최대의 섬이라고 자랑하는 그곳 시칠리아로 떠나기로 한것이다. 자신이 자리잡은 모든 터전의 짐을 정리하고, 아내와 훌쩍 떠나기로 한 여행. 얼마의 기약이 있을지, 어떤 새로운것들을 접하게 될지의 기대감보다 가진것들의 정리로 한바탕 소란을 피우고, 그들은 길을 나섰다. 우리나라에서 크게 비중있게 다루지 않는 여행지이기에 그만큼 사전지식을 습득하기도 쉽지 않아 여행을 시작하는 순간부터 만만찮은 여정임을 실감해야했다.
게다가 많은 여행객들이 찾는 곳인 이탈리아라는 나라가 파업도 파업이지만, 제대로된 안내문구하나 없어 시칠리아를 찾아가는 길이 결코 만만치 않았음을 작가는 얘기하고 있었다. 책을 읽는 나조차도 그속에 동화가 되어 작은 난관에 부딪힐때마다 얼굴이 찡그려질 정도였으니......
아무튼 어렵사리 찾은 그곳에서 아파트를 대여해 마치 그곳에 오래 살았던 사람처럼 현지인들과 적응해가는 몇주간의 삶은 여유롭기 그지없었다. 게다가 새롭게 발견하는 그곳만의 특유의 풍경들. 새로운 문화. 작가가 전하는 그곳의 모습을 그리며, 이래서 여행이라는 걸 하는거구나 하는 느낌이 전달되었다고나 할까.
시칠리아라는 섬에 대해 한번도 호기심을 가지거나, 가보고 싶다라는 생각을 해본적이 없으면서도 그곳을 향해 훌쩍떠나 몇달을 여행하고 돌아온 그들 부부를 보면서 나 역시도 그곳으로 날아가고픈 욕구가 생겼다. 마치 그들이 보고온 풍경들이 책을 다 읽은순간 내 속에 그대로 녹아난 듯하다. 그렇게 훌쩍 떠날수 있는 그의 용기가 부럽기도하고, 새로운 경험을 통해 또다른 눈을 가진 것이 부럽기도 하다. 시칠리아라는 곳을 평생 가보지 못할지도 모르지만, 그의 눈을 통해 본 그곳이 마치 손에 잡힐듯 아른거리는 느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