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Che, 회상 - 체 게바라의 부인이자 혁명동지 알레이다 마치 회고록
일레이다 마치 지음, 박채연 옮김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08년 4월
평점 :
절판


 
체 게바라.. 내가 그를 알게된게 몇년전이던가?  과거를 회상해 본다.  그렇게 긴 시간이 아니었음에도 불구하고 나는 그의 평전을 읽고 그에게 빠져들어 버렸고, 그를 가장 좋아하는 인물중 한명으로 손꼽게 됐으며, 그에 관한 모든책들을 읽고 싶어하는 욕심에 그의 표지가 있는 책들은 수집하는 버릇이 생겼다.  영화도 체에 대한 얘기라면 무조건 찾아 봐야한다.  심지어 그의 영원한 동지이자 친구인 피델카스트로에 관한 글을 읽으면 그에 대한 얘기들이 나오지 않을까 하는 생각에 이제는 카스트로에 대한 책까지 찾아 읽어 볼 정도로 나는 그에 열광하고 그를 좋아한다.  그의 이념을 사랑하느냐고 묻는다면 난 결단코 아니라고 말한다.  난 그의 이념을 따르자는게 아니라 인간적인 체의 모습과 그 속에 녹아든 그의 열정을 사랑하는 것이다.  그리고, 도전했던 그의 도전정신에 무한한 감동과 박수를 보내는 것이다.  게다가 이건 우스갯말이지만 잘 생기기까지 했다.  이런 멋진 남자에 대해서 열광하지 않고 배길수 있겠는가. 

 

어째꺼나 그가 끄적인 시, 그가 찍힌 사진들을 실은 화보집, 그리고 그의 어록들까지 판을 치는 마당에 그를 상품화해서 나오는 책들은 무지 많았다.  어느새 혁명가의 아이콘으로 떠오른 그에 대해 사람들은 이제 한 혁명가의 모습이 아니라 그를 상품화 시키고자 애를 쓰는 그런 아쉬운 모습이 더 많았다.  이책 저책 수집을 하다보면 어떤책은 정말 그가 이룩하고자 했던바를 잘 나타내 준 반면, 어떤책은 정말 말도 안되는 짜깁기식 글들로 그를 더 깎아내려 버리는 것들도 제법 있었다.  그런 모습을 대할때마다 씁쓸한 기분이란 이루 말할수 없다.  그런데, 그의 영원한 정신적 동지이자 사랑하는 아내 알레이다 마치가 책을 내다니..  이런 믿기지 않는 사실에 흥분을 감출수가 없었다.  게릴라전을 위해 늘 떨어져 지낸 시간이 많아 바로 옆에서 늘 지켜봤다고 할순 없지만 그 누구보다 체의 가장 개인적인 부분을 잘 알고 있는 그녀가 아니던가.  그리고 체의 핏줄을 잉태한 여인이 아니던가.  일단 그녀가 직접 정리한 회고록이라는 사실이 나를 흥분되게 했다.  체에 대해 좀더 개인적이면서도 인간적인 모습을 가까이 할수 있을거라는 욕심...

 

아니나 다를까 흔하게 보아온 체의 모습은 물론, 아직까지 보지 못했던 사진들도 제법 실려 있었고, 개인적인 사랑고백등을 담은 편지들이 일레이다 마치의 글을 통해 전해지고 있었다.  그리고, 서로 사랑하게 된 과정과 그들이 주고 받은 개인적인 얘기들..  혁명가로서만 기억하고 있던 나에게 또다른 체의 모습을 보게 해주는 새로운 시간이었다고나 할까..  한장 한장 넘기는 순간이 아까울 정도였다.  내가 체를 좋아하는 만큼 혁명가가 아닌 한 인간으로서 아버지로서, 한 여인을 사랑하는 남자로서 만나는 체는 또 다른 느낌을 갖게 했다. 

 

표지에서 보이는 그야말로 편안하고 다정한 모습의 알레이다 마치와 체 게바라...

그들이 이렇게 한가로운 모습으로 함께한 시간은 비록 얼마되지 않았지만 그 순간만큼은 이 책속에서 영원히 빛나고 있을것이라 생각된다.  체에 열광한 만큼 또다른 모습의 체를 만난 기쁨이 두배인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