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람과 그림자의 책 뫼비우스 서재
마이클 그루버 지음, 박미영 옮김 / 노블마인 / 2008년 1월
평점 :
절판


제목이 참 멋지다..

"바람과 그림자의 책"

그 제목에서 느껴지는 느낌은 어떤것일까?

바람, 그림자 실존의 형태를 지니지 않는다.  바람은 주위를 흐트러트리며 자신의 존재를 알리지만, 그자체가 존재하는지

사람들은 실제 만질수 없다.  그리고, 그림자 역시 본체의 모습을 그대로 비치지만 다만 손에 잡히지 않는 까만 모습의

형태만 존재할뿐 실제가 없다.  아무것도 부여잡지 못한다는 의미에 책이 더해졌다면 그 책 역시 실제 존재의 여부가

가능한가 하는 의문이 생기지 않을수 없다.

 

책소개에 세익스피어의 밝혀지지 않은 희곡의 발견이라는 타이틀이 나를 사로잡았다.

세익스피어..그가 누구인가.. 영국의 자존심이며, 다른나라의 그 무엇과도 바꿀수 없는 존재로 자리매김한 희곡작가다.

그의 작품들은 우리가 언제나 한번쯤 읽었다는 착각속에 살 만큼 너무도 유명하고, 제목을 한번도 들어보지 못했다면

거짓말이 될 정도로 우리와 가까이 숨쉬고 있는 존재다.

오죽하면, 나 역시 로미오와 줄리엣을 읽었다는 착각을 하고 살았었다.  지금에 와서야 단지 영화로만 접했을뿐

실제 희곡을 본건 아니라는 사실에 스스로 얼마나 놀랬던가.

그런 그의 미발표 곡을 둘러싼 음모라니..

이 얼마나 흥미진진한 일인가.. 

그런 대단한 내용을 파고 든 만큼 두께 역시 만만찮았다.

어느날 우연히 발견된 세익스피어의 미발표된 희곡이 있다는 단서를 발견한 크로세티와 롤리..

그리고, 문서를 둘러싼 죽음과 희곡을 찾기위해 암호문 해독에 고심하는 그들의 쫓고 쫓김..

우연히 사건에 연루된 미쉬킨 법률가..

 

긴박함과 손에 땀을 쥐는 느낌보다는 크로세티가 그 문서를 발견해 가는 과정과, 세익스피어 문서를 찾는 단서가 되는

브레이스거들의 옛날편지.. 그리고, 고문서를 우연히 접하게 되는 미쉬킨의 얘기가 버물려지며 추리에 추리를 하게 하는

재미가 있었다.

읽어갈수록 '이여자가 범인인가?', 아니면 '그 희곡은 과연 어디에 있는가?' 라는 상상을 하며 책을 읽은 덕분에

500여페이지의 분량에도 불구하고 전혀 지루할 틈이 없었다.  물론 두께가 두께이니 만치 읽는 속도는 역시 좀 느리긴

했지만 말이다..  

 

"바람과 그림자의 책" 과연 세익스피어의 그 무형태적 책은 존재하는가?

우리가 바라는 그의 멋진글은 과연 우리곁에 가까이 있는가?

책을 읽어갈수록 웬지 세익스피어의 삶이 더욱더 궁금해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