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의 투쟁 - 조선의 왕, 그 고독한 정치투쟁의 권력자
함규진 지음 / 페이퍼로드 / 2007년 12월
평점 :
절판


조선시대 역사는 너무 많이 우려먹었다.  웬지 이젠 눈감고도 알듯한 역사지만, 그래도 늘 역사에 관련된 책을 대하면

새로움을 느끼고 배우게 된다.  그만큼 역사에 자만하지만 그 누구도 역사앞에서 감히 내가 모든 역사의 주역이라 할 만큼

자신있게 떠들수 없는게 우리네 조상들의 과거속이며 역사이기도 하다.

일단 제목에서 느껴지듯 "왕의 투쟁"이라는 의미는 간단히 생각하면 "싸웠다"라는 게 되지만, 그 깊이를 돌려 한번만 더

되새기면 높은 왕좌에서 아픔과 고통을 함께 했다는 시린 마음이 더 깊이 각인되는 느낌이다.

 

이책은 조선시대 "세종", "연산군", "광해군", "정조"를 비교 분석하고 그들이 어떻게 정책을 폈으며, 어떤 형태로 국가를

경영해 나갔는지 비교분석되어 있다. 늘상 근엄하게만 생각해오던 임금들, 무소불위의 권력을 가졌다고 생각했던 군주라는

자리가 결코 자신의 마음대로 할수 있는 것이 아니었으며, 신하들과 의견을 세우고 싸우며, 그야말로 나라 경영을 위해

투쟁을 해야하는 자리라는 걸 새삼느꼈다.  그야말로 인간적인 면을 발견했다고나 할까.. 언뜻 임금하면 늘상 자기마음대로

권력을 휘두르고, 자신의 눈에 나면 무슨 죄목이든 뒤집어 씌어 죽일수 있는 그런 자리라 생각했으나 실지는 신하들의 눈치

보는것은 물론이오, 혈육하나 만나는 것 조차도 쉽지 않았던 외로운 자리였다.

특히 성군이라 알려진 "세종대왕"은 말그대로 역시나 나라 사랑과 국민들의 안위를 위해 노력했고, 조선이 곧 "세종"이라는

말에 어울리듯이 그에 버금가는 임금은 다시 나오지 않을만큼 훌륭하고 멋졌다.  그러나, 그도 한사람의 인간이었던지라

말년에 들어 잦은 병치레를 하고 사랑하던 중전까지 잃고나자 신하들과 사찰하나를 짓네 마네 하는 문제로 큰 마찰을 빚어

성군답지 않은 면모를 보이며 그야말로 신하들의 눈엔 실정을 하는 것으로 비춰지기까지 했다.  지금 생각하면 크나큰

문제로 생각되어지지 않지만, 숭불억제 정책을 펴던 시절에 임금이 대놓고 사찰을 짓는다 하니 신하된 입장에서는 반대를

하고도 남음이지만, 한나라의 임금에 앞서 인간이다 보니 무언가에 의지하고팠던 세종의 마음이 녹아들어 있어 웬지 더

짠한 느낌마져 든다. 

연산군은 폭군이라는 것엔 두말할 나위가 없지만, 자신의 어머니가 폐비가 된 사실을 알고 변한다고 하지만, 이는 사실이

아니라는 새로운 역사적 발견을 접하고 눈이 확 띄었다.  처음 임금이 되고 나름대로 정치를 펴려 했으나 툭하면 반대하고

나서는 것에 욱하는 성질을 지닌 연산군이 점점 자신의 권력을 엉뚱한 곳으로 발산하지 않았나 하는 생각이 든다. 그것은

광해군도 역시 마찬가지다.  야심찼던 젊은시절과는 반대로 임금이 되자마자 신하들은 임금의 말에 귀기울이기보다 사직

상소올리는 시간이 많았다고 하니 광해군이 신하들을 다룸에 있어 얼마나 고달펐을지 조금의 감이 느껴지기도 한다.

그러나, 결국 그들은 신하들이 원하는 모습을 보여주지 못했고, 그로인해 쓸쓸한 최후를 맞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요즘

드라마로도 한창 주가(?)를 올리고 있는 정조..  그는 누가 뭐래도 세종이후 괜찮은 임금이라는 말을 들을 정도로 정책이나

숱한 당쟁속에서도 나라경영을 훌륭하게 치뤄낸 임금으로 손꼽힌다.  하지만, 그에게도 폐단은 많았으니 신하들 갈아치우는게

취미일정도로 아침에는 영의정이 이사람이었다가 저녁에는 저사람으로 바꾸는등 인사이동을 수없이 이룬 임금이기도 하다.

물론, 그 깊은 내막속에는 왕권강화와 언론의 급격한 성장을 차단하기 위해 취해진 행동이기도 하지만, 너무 잦은 인사로 인해

아랫사람들마져 혼란을 겪는 일이 발생하곤 하는것이다.

 

대체적으로 상세하고도 그동안 알지 못했던 임금들의 면모나, 정치적인 이론들이 자세하면서도 재밌게 서술되어 있었다.

읽으면서도 역사책이 어쩜이리도 맛깔나면서 책장이 쉽게 넘겨지는지 멋지다라는 감탄을 연발할 정도였다.

그동안 알지못했던 임금들의 면모를 발견하면서 새로운 깨우침도 얻고, 그들의 모습에서 또하나의 인간을 발견함과 동시에

나라경영의 어려움이 얼마나 깊은 고뇌인지를 새삼 느꼈다.  그리고, 늘상 누군가에 의해 죽임을 당하지나 않을까 하는

좌불안석의 두려움으로 엄청난 스트레스를 지녔을 그들에게 웬지 모를 안타까움 마져 들었다.

작년 중순쯤 "로마황제의 발견"을 읽고 그 화려했던 로마황제들 역시 고뇌하는 하나의 인간이다라는..것을 발견하고 그동안

나와 다른 신쯤으로 생각했었던 깨우침이 있었듯.. 이책 역시도 임금이라는 타이틀 속에 갇힌 또하나의 인간적인 모습을

새로 발견할수 있었던 책이었다.  두책을 비교하며 읽어 가는 맛도 괜찮을거 같다.

어째꺼나 또다른 깨우침을 주는 멋진 역사책 한권을 만난 기분좋은 책읽기 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