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마의 집
전경린 지음 / 열림원 / 2007년 12월
평점 :
절판


"엄마의 집" 제목을 보고 떠오른건 엉뚱하게도 캥거루였다.

새끼를 뱃속에 넣어두고도 폴짝 폴짝 높이도 뛰어오르는 캥거루..  아마도 엄마의 집이라 함은 그런의미가

아닐까 하는 막연한 느낌이 있었다.  아무리 힘에 겨워도 자식을 뱃속에 넣어두고 아무렇치 않은 캥거루처럼

부모의 맘도 아무리 무겁고 고달프더라도 자식이라는 존재를 자신의 집속으로 따듯하게 맞아들이는 그런기분이

드는 참 따듯하면서도 웬지 모를 또다른 고달픔이 떠오르는 제목이다.

 

아빠와 이혼하고 집을 마련하기 위해 하루 열다섯시간이상 일을 하는 엄마.  자신의 딸 호은이와 살기위해

집이라는 공간을 갖고자 하는 엄마는 무조건 딸에게 미안한 존재였다.  남편과 헤어지면서 딸을 친정에 맡기고

늘 미안함으로 자신이 그리고자 하는 그림보다는 돈을 벌기위한 캐릭터 그리기에 더 열중하는 엄마..

그리고, 몇달에 한번씩 불쑥불쑥 재혼했었던 여자의 아이를 데리고 나타나 밥을 사주는 아빠... 그러나, 막상

엄마가 집을 마련하고 호은과 더불어 살게 됐을때 다시금 집을 떠나 대학 기숙사 생활을 택하는 호은..

그런 호은에게 아빠는 어느날 피한방울 섞이지 않은 동생 승지를 엄마에게 맡아달라며 맡기고 떠나버린다..

그렇게 모든게 불쑥불쑥인 아빠덕에 엄마와 승지의 어색한 동거가 시작되고, 호은은 가끔 엄마의 집에 들러

엄마와 승지와 어울리기도 하고, 과거를 추억하기도 한다.  어울리지 않을듯 하면서도 엄마와 승지는 어울렸고

자신과 어색한듯 하지만 인생을 이미 알아버린 중학생 승지는 자신과도 서서히 맘이 트였다.

그리고, 승지가 아빠곁으로 다시금 떠났을때 호은은 과거 자신에게 화해의 손을 내민다..

 

웬지 어디서 많이 본듯한 가족관계인듯한 것이 아무래도 드라마를 너무 많이 봐 온 탓이 아닌가 싶다.

단막극속에서 간혹 복잡다단한 가족관계속에서 자신의 단절된 모습을 보여주었듯 이책속에서도 엄마와 호은은

서로 숨김이 없는듯이 대화를 나누지만 실제로 모녀는 자신들의 가슴속에 뭔가의 아픔을 끌어안고 살아가고 있었다.

모든 면에서 일반적인 형태의 엄마와 딸과의 대화라기 보다 웬지 친구와 친구가 얘기를 나누는 듯한 느낌이 드는건

호은이 너무 어린나이에 인생을 깨우쳐 버렸기 때문인지도 모른다.

하지만, 친구사이에도 여러유형이 있듯 엄마와 호은의 친구느낌은 깊은 우정보다는 자신의 아픔은 드러내지 않은채

엄마는 딸에게 미안하기만한 느낌으로...호은은 뭔가 한발 물러나 엄마를 바라보는 듯한 생각이 든다..

엄마를 한명의 여성으로서, 친구로서 대하는 느낌..  그느낌이 처음엔 무척이나 불편하다가도 어느순간 모든것의

벽이 무너지며 편안하게 와닿는다.  그게 어떻게 갑자기 변하는지 깨닫지도 못하는 순간에  그런 편안함이 다가온다.

글을 다 읽고 나면 뭔가와 화해를 이룬듯한 기분이다.  매듭이 지어진 깔끔한 느낌이라고나 할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