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개 1
김별아 지음 / 문이당 / 2007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거룩한 분노는 종교보다도 깊고

 불붙는 정열은 사랑보다도 강하다

 아 , 강낭콩꽃보다도 더 푸른 그 물결위에

 양귀비꽃보다도 더 붉은 그 마음 흘러라"

라고 시작하는 변영로님의 시 "논개"가 책을 읽는동안 떠나지 않았다..

물론, 다 외우지 못하는 사실이 안타깝긴 하지만, 시에서 전해져 오는 논개의 강한 집념과

정열이 전해져 오는 느낌그대로 책속에서도 역시 논개만의 매력이 흠씬 돋보이는 작품이었다.

사실, 논개라는 이름이 그렇게 흔하지 않은터라 그 이름 자체부터 기생이라하니 "매월", "춘월"

하는식으로 특이하게 지어낸 기생의 별칭이 아닌가 생각했었다.  그런데, 주씨 성을가진 주논개였다니.

가히, 역사적 인물에 대한 나의 문외한과 무관심을 한탄하지 않을 수 없었다.

 

어릴적부터 특이한 사주를 타고 났으니 개띠해에 개시에 낳았다하여 논개라 이름지어진 여인..

양반가의 자손이긴하나, 먹고살기 궁핍하고 작은아버지의 농간에 억울한 송사까지 당하게 된 어머니와

관아의 종이 되길 자처하며 어린시절을 보낸 그녀는 자신을 도와준 은인을 모든 나이차와 모든 신분을

극복하며 사모하고 그를 모시게 된다..

 

솔직히 딱 거기서만 얘기가 끝났음 싶었다.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임진왜란이 없었음 싶었고

그녀가 왜장을 끌어안아야 하는 사태까지 가는 일이 없었음 싶었다.

하지만, 그렇게 된다면 우리가 지금까지 그녀의 이름을 기억하는 일 또한 없으리라..

아니, 어쩌면 다른것으로 이름을 날렸을지도 모른다. 

왜 행복은 거기서 멈추지 않고 늘 불행을 몰고 오는것인지...  한스런 한국의 여인, 모질면서도

고생스런 한국의 여인상을 만나는것 같아 맘이 아려왔다.

 

한여인의 일생을 아름다운 우리나라말로 써내려간 김별아씨의 글은 첨 대해보지만,

우리나라말로 쓰여진 것을 주석으로 알아야 한다는 현실이 안타까웠다.  어쩜이리도 아름다운

우리나라 말들이 많이 쏟아지고 있는것인가..  숨겨진 우리글들을 찾아 내 읽은듯한 느낌이며

한 여인의 일생을 통해 우리나라의 아픔을 강하게 느낀 책이다.

 

약간의 아쉬움이라 한다면, 필요이상의 묘사로 필요없는 인물에 대한 얘기들이 너무 곁가지를

치는경향이 있어 얘기의 흐름이 논개에 집중하려는 것인지, 아니면 그시절 그 역사 배경에

더 깊이를 두려하는것인지 하는 개인적인 아쉬움이 들었다.

하지만, 다시금 변영로님의 시를 음미하며, "주논개"라는 한 여인의 인생을 곱씹는 계기가 되어

그녀의 단아하면서도 곧은 모습을 닮고 싶다는 생각이 들게 해주어 감사하다는 생각이 드는

글이었다.  

 

그러나, 어찌이리 한 여인의 일생은 늘 이다지도 아픈것인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