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삼관 매혈기
위화 지음, 최용만 옮김 / 푸른숲 / 2007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허삼관 그에게서 나는 진한 감동을 보고, 웃음을 보며, 아픔을 본다.

 

주위에서 모두들 추천하길래, 워낙 베스트셀러나 강력추천하는 작품들에 약간은 거부감을 지닌 사람으로서

봐야할지 말아야할지 무지 망설였었다.

물론, 추천하는 만큼의 값어치를 분명 하지만 그만큼 사람의 기대심리를 갖게하는 뭔가가 또 있기 마련이고

그것이 나에게 충분하지 않았을때 오는 실망감은 언제나 베스트셀러나 누구나 추천하는 책들에 대한 거부감을

더 들게 만들었는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그런책들은 꼭 언젠간 한번쯤은 읽어봐야한다는게 또 말도안되는

나의 지론중 하나다.  그건 그책들이 한바탕 분위기를 휩쓸고 난후, 잠잠해질쯤에 읽어보는 나의 이상한 버릇에

들어간다고 해두자..

어째꺼나, 사랑받는 책인지라 다시금 새옷을 입고 나온다는 사실은 그만큼 흡입력이 있다는 말이 아니겠는가..

 

책을 펼치고 그 속에서 허삼관을 발견하자 마자 나는 폭소를 터트렸다.

피를 파는 이야기..  그게 언제적 얘긴가? 예전엔 피를 이렇게 사고 팔았구나..

우리나라도 이런 일들이 있었던가? 

피를 팔아봐야 튼튼하다는 말에 친구따라 강남가는 제비처럼 허삼관은 첨으로 피를 판다.

열심히 일해서 번 돈 보다 많은 양의 돈.. 그는 그돈을 결혼하는데 사용한다.

그리고, 일락, 이락, 삼락 삼형제를 두게 되는 허삼관..

그런데, 알고보니 일락이 자신의 부인 허옥란이 결혼전 실수로 얻은 자식이었던 것이다..

9년이나 그 사실을 모르고 있다가 알게된 허삼관.. 게다가 일락이 이웃집 아들을 상처내 병원비를 내야하는

상황에 이르렀다.  그러자, 허삼관은 일락의 친아비에게 돈을 내라고 한다.

그러나, 순순히 그걸 인정하고 돈을 낼 사람이 과연 몇이나 될까..  결국 집안의 모든 물건들을 뺏기자 다시

피를 팔게되는 허삼관..  이부분에서 난 웃음을 참지 못했다.

책 속에 스민 허삼관의 모습이 왜 이다지도 웃기는가..  자신의 자식이 아니라고 박박 우기면서도 그는 일락을 위해

피를 파는 것이다.  그리고 "넌 내 자식이 아니다."를 언제나 주입시킨다.

그리고, 식구들이 굶어 힘들어지자 또 피를 판다.  그때는 일락이만 두고 모두들 국수를 먹으러 간다. 

아..정말 유치한 허삼관.. 아들이 아니라고 하면서 끝까지 키우는 건 뭐며, 아들이 아니라고 하면서 제일 아끼는

이유는 뭔가.  그러면서 왜 그렇게 일락이에게 넌 내 자식이 아니라고 주입시키는가..

그러나, 결국 그는 진정한 일락의 친아버지 였다.  비록 피는 섞이지 않았으나 진정으로 자식을 사랑하는 허삼관..

그는 총 11번 정도의 피를 판다.  그건 모두 자식을 위해서, 가족들의 생계를 위해서 였다.

자신을 위해서 피를 판적은 단 한순간도 없었다.

그러면서도 그는 그런 피를 팔 수 있는 건강한 몸을 지닌것을 자랑스러워 했다.

자신이 죽을수도 있음에도 일락의 병원비를 위해 상하이까지 가는 도중 연달아 피를 파는 그의 모습을 보면서

진정한 부모의 모습을 발견했다.  그리고, 마음이 조마조마 그렸다.

이러다 우리의 주인공 허삼관 죽는건 아닌가.. 이러다 책 불행하게 끝나는거 아닌가...

 

위화" 처음 접한 작가이면서도 그의 글에선 웃음과 감동과 아픔이 함께 섞인 맛깔나는 글을 써내는 작가라는

생각이 들었다.

어찌나, 웃겨주는 허삼관의 모습들..그 가족들의 형태들..

그리고, 그들의 대화내용이나 머리채를 안고 싸우는 모습들을 보면서 폭소를 자아냈다.

그러면서도 또 감동을 자아냈다.  일락을 업고 국수를 먹으러 가는 장면... 일락이 자신의 아들이라고 피를 보이는 장면.

일락을 위해 자신의 모자란 피를 팔고 팔고 또 파는 장면.. 그리고, 비판의 대상이 된 아내를 위해 밥을 해다 나르는 장면..

그는 진정한 우리부모의 모습이었고, 우리 이웃의 아저씨 모습이었으며, 우리에게 웃음을 주는 따듯한 가족의 모습이었다.

위화라는 작가의 발견도 좋았지만, 어쩌면 나는 허삼관의 팬이 되어 버릴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들었다.

얼마나 멋진가.. 우리의 인정많은 허삼관 아저씨....

허삼관 아저씨의 모습에서 우리의 아픔과 웃음과 감동을 느끼며, 울고 웃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